황여헌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여헌(黃汝獻)
대표명칭 황여헌
한자표기 黃汝獻
생몰년 1486(성종 17)-미상
본관 장수(長水)
유촌(柳村)
헌지(獻之)
시대 조선
황관(黃灌)
강미수(姜眉壽)의 딸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이며, 황보신(黃保身)의 증손이다.[1]

1509년(중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저작·박사를 거쳐, 1511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한 뒤 이조좌랑을 역임하고 1515년 전적이 되었다.[2]

이어 이조참의와 울산군수를 지냈으나, 1533년 사건으로 금산(金山) 옥에서 도망하였다가 다시 체포되어 장류(杖流)의 형을 받았다. 그러나 혐의가 있는 전 도사 정공청(鄭公淸)의 죄를 폭로하는 투서를 사헌부에 낸 뒤 양사(兩司)의 주청에 의하여 감형, 석방되었다.[3]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는데, 소세양(蘇世讓)·정사룡(鄭士龍) 등과 어깨를 겨룰 정도로 당시 이름이 높았다. 그가 지은 『죽지사』는 명나라 사람들에게까지 격찬을 받았다. 저서로 『유촌집』이 있다.[4]

한때, 조선 중기의 승려인 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에게 『맹자』를 가르치기도 했다.[5]

지식 관계망

  • 황희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희 황여헌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황보신 황여헌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정공청 황여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촌집 황여헌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황여헌 유정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시각자료

주석

  1. 이동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동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동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동 "황여헌", 『위키백과』online.
  5. 이동 김용덕, "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윤용혁, "황여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여헌", 『위키백과』online.
  • 김용덕, "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