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정원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원(淨源)
BHST Monk1.png
대표명칭 정원
한자 淨源
생몰년 1011년-1088년
잠수(潜叟)
백장(伯長)
이칭 진수법사(晋水法師)
출신지 중국 천주(泉州) 진수(晉水)



정의

중국 북송 때의 승려

내용

정원은 송 나라에 화엄종(華嚴宗)의 부흥을 가져와 화엄종의 중시조(重始祖)로 숭앙되며, 화엄종의 7대 혹은 10대 조사(祖師)로 여겨지기도 한다.[1] 정원은『화엄경』을 오대산 승천(承遷)에게, 『합론』을 횡해의 명단(明單)에게, 또 『기신론』과 『능엄경』, 『원각경』을 자선(子璿)에게 배웠다. 천주의 청량사(清凉寺), 오의 보은사(報恩寺), 관음사(觀音寺), 항주의 혜인사(慧因寺) 등에 있었다. 세수(世壽) 78세로 1088년에 입적했다.[2] 화엄종의 4대 조사인 징관(澄觀)의 『화엄경소(華嚴經疏)』에 정원이 주해(註解)를 붙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목판본이 현재 충청북도 청주시의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체 120권 가운데 48, 64, 83권에 해당하는 것만 남아 있는데, 보물 제1409호로 지정되어 있다.[3]

고려 승려들과의 관계

대각국사 의천

정원은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에게 큰 사상적 영향을 끼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의천과는 일찍부터 편지로 교유(交遊)하였고, 의천은 1085년 송으로 유학을 떠나 혜인사(慧因寺)에 머무르며 정원과 화엄(華嚴)과 천태(天台)의 교학(敎學)에 대해 논의하며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당시 의천은 고려에서 지엄(智儼)과 법장(法藏)의 저술을 포함하여 다수의 불교 경전들을 가지고 갔는데, 정원은 이를 계기로 법난을 거치며 잃었던 화엄종의 경론들을 복구해 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많은 학승이 혜인사에 모여 토론을 하며 화엄종 부흥의 계기도 마련되었다. 또한 의천은 고려로 돌아온 이듬해 정원에게 <화엄경(華嚴經)> 한역본 180권과 이 경전을 보관할 서각(書閣) 건립비로 금을 보냈다. 정원은 화엄각(華嚴閣)을 세워 이 경전을 보관했으며, 1088년에는 혜인사의 명칭을 화엄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도량이라는 뜻에서 화엄교사(華嚴教寺)로 바꾸었는데, 고려사(高麗寺)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088년 정원이 입적하자 의천은 수개(壽介) 등 다섯 명의 제자를 혜인사로 보내 제를 올리도록 했으며, 고려 왕실에서도 시주를 하여 2개의 보탑(寶塔)을 세웠다고 전해진다.[4]

원경왕사 낙진

낙진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의 제자로, 1085년 의천이 송나라에 가자 왕명으로 송나라에 갔다. 그곳에서 낙진은 의천과 함께 혜인사(惠因寺)에서 정원을 만나 불법을 배웠다고 전해진다.[5]

지식 관계망

  • 고려 의천과 송 정원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원 항주 고려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원 의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원 낙진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주석

  1. "정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한보광·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정원",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정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정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88쪽.

참고문헌

  • "정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보광·임종욱,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이회문화사, 2011. 온라인 참조: "정원", 중국역대불교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이지관,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116-178쪽.
  • 이지관, "인동 선봉사 대각국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180-214쪽.
  • 이지관, "합천 반야사 원경왕사 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72-10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