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서희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희(徐熙)
"서희테마파크 개원", 이천뉴스, 『이천 미디어시정』online, 작성일: 2016년 06월 16일.
대표명칭 서희
한자표기 徐熙
생몰년 942년(태조 25)-998(목종 1)
본관 이천(利川)
시호 장위(章威)
염윤(廉允)
시대 고려



정의

고려 전기의 정치가 및 외교가.고려 재상.

내용

서희(徐熙)의 아버지는 내의령(內議令)을 지낸 서필(徐弼)이다. 할아버지인 서신일(徐神逸) 때까지는 이천 지방에 토착한 호족으로 보인다. 아들로는 서눌(徐訥)·서유걸(徐惟傑)·서유위(徐惟偉)·서주행(徐周行)이 있으며, 서눌의 딸은 현종(顯宗)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가 되어 외척가문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1]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고려시대 권문세족은 이천 서씨,인주 이씨,해주 최씨,남양 홍씨가 4대 문벌귀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천서씨에서 분파한 대구 서씨(大丘徐氏) 서성(徐渻 증 영의정) 후손이 3대 정승(서종태(徐宗泰 영의정),서명균(徐命均 좌의정),서지수(徐志修 영의정)),3대 대제학(서유신(徐有臣 대제학),서영보(徐榮輔 대제학),서기순(徐箕淳 대제학))을 최초로 6대 연속과 서명응(徐命膺 대제학),서호수(徐浩修 직제학), 서유구 (徐有榘 대제학) 3대 대학자를 연속 배출하여 조선에서는 서지약봉(徐之藥峰)이요.홍지모당(洪之慕堂) 으로 유명했고, 연리광김(延李光金)와 더불어 대구 서씨,풍산 홍씨,연안 이씨,광산 김씨가 조선 최고 4대 양반 가문으로 꼽힌다. 숙종때 이런 일화가 전한다.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비롯한 서씨 성을 가진 참판급 이상 중신이 30여명 이었다. 어느날 조회를 소집한 숙종이 용상에서 가만히 내려다보니, 오가는 대신들이 대부분 서씨들이라, “마치 어미 쥐가 새끼쥐를 거느리고 다니는 듯 하다!” 라고 말해 주변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숙종의 말씀이었으나,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어미쥐로 빗대 그 아래 웅성거리는 서씨대신들의 융성함을 나타내는 기막힌 표현이였다.대구 서씨달성 서씨라고도 부른다.

이천서씨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무신란 이후에도 이부판사 서신(徐愼 종1품),봉성군 서약진(徐若珍),좌복야 서효리 (徐孝理 정2품),밀직사사 서무질(徐無疾 종2품),중추원사 서숭조(徐崇祖 종2품),판도판서 서진(徐晉 정3품),승지 서욱(徐勖), 부령 서익(徐翼),문하찬성사 서기준(徐奇俊 종2품),정당문학 서희팔(徐希八 정2품),판내시부사 서춘(徐椿 종2품), 문하시중 서릉(徐稜 종1품),대광내의령 서린(徐鱗 종1품), 판도판서 서적(徐迪), 문하시중 서원경(徐元敬 종1품),문하찬성사 서영(徐穎 종2품),동지밀직사사 서신계(徐臣桂 종2품),승지 서녕(徐寧), 판밀직사 서념(徐恬 종2품),판내부사사 서진(徐璡 종2품) 평장사 서충(徐忠 정2품) 평장사 서윤(徐玧 정2품), 판사재사 서효손(徐孝孫 종2품),진현관대제학 서성윤(徐成允 정2품),밀직사 서원(徐遠 종2품), 추밀원사 서후상(徐後祥 종2품), 평장사 서희찬(徐希贊 정2품),밀직사 서영계(徐永桂 종2품), 밀직사 서천량(徐天亮 종2품), 봉익대부 서윤현(徐允顯 종2품),정당문학 서균형(徐鈞衡 종2품),평장사 서인한(徐仁漢 정2품) ,문하시중 서신(徐信 종1품),병부령 서수(徐秀 정2품) ,예빈사 소윤 서첨(徐詹),병부낭중 서저(徐氐), 판도좌랑 서평(徐坪), 예빈소경 서광(徐珖), 감찰어사 서의(徐義),계성군 서원기(徐原奇) 주부 서면(徐冕), 소감 서정(徐程),사인 서단(徐亶),병부시랑 서장기(徐長己),주부 서경의(徐聲宜),소감 서화흡(徐化洽),축하사절 서조(徐助),예빈시윤 서추(徐諏), 어사중승 서염(徐琰), 집의 서연(徐延),내의시랑 서희적(徐希積),병부상서 서희량(徐希亮 정3품),승지 서령(徐領),생원 서영보(徐永甫),중정대부 서선(徐瑄), 만호 서혼(徐琿),소감 서황(徐晃),통직랑 서중린(徐仲麟),별가 서윤공(徐允公),호조전서 서의(徐議 정3품), 병부시랑 서의(徐誼), 병부시랑 서간(徐諫),소감 서시의(徐時義),판전객시사 서익진(徐益進),감무 서천부(徐天富),태관서령 서공기(徐公騏),전공총랑 서능준(徐能(陵)俊),판내부시사 서정수(徐貞壽),요동진무사 서현(徐顯),사마 서관(徐寬) ,판도찬중 서원절(徐元節),비인현사 서유(徐愈), 성균관진사 서문찬(徐文贊) 주부동정 서무(徐茂),봉례공 서박(徐樸),연산공 서직(徐稷), 전서 서의(徐義 정3품),봉정대부 서호덕(徐好德) 등 15대 대대로 많은 재상을 배출하였다.

상장군 서보(徐甫 상서우복야.정2품),서유(徐裕),서균한(徐均漢),서민경(徐敏敬),서찬(徐贊),서돈경(徐敦敬),서정희(徐廷希),서홍찬(徐洪贊),서인조(徐仁朝),상호군 서응려(徐應呂),대장군 서후(徐厚),서희(徐曦),서준(徐俊),대호군 서찬(徐贊),장군 서지(徐趾),서칭(徐贊),서정(徐挺),서광순(徐光純),서금광(徐金光) ,중낭장 서긍(徐肯),서찬(徐贊),서정(徐靖),서오(徐敖),시중랑 서문한(徐文漢),호장 서필중(徐必中),서전금(徐田金),서순인(徐純仁),서복(徐福),서자번(徐自蕃) 등이 이름을 드높였다.

대학자로 서시랑도 서석(徐碩 정2품),박사 서선(徐禪),삼국사기 서안정(徐安貞),국성전교수 서인(徐諲),고려화가 서구방(徐九方),고려음악가 승지 서온(徐溫),고려국사 원묘국사 요세(了世),고려대사 서영관, 고려 효자 서식(徐湜),고려 혁명가 서언(徐彦),낭장 서준명(徐俊明),교위 서유정(徐惟挺),서규(徐規)가 화려한 명맥을 유지했다.

고려 황제국 충신으로 사재승 서숭(徐崧),서대창(徐大昌),서필중(徐必重),진봉사 서방(徐昉),위위경지 태사국사 서웅(徐雄),합문통사사인 서연(徐延),예빈시윤 서찬(徐瓚),사복부령 서염(徐廉),정치도감 좌랑 서호(徐浩),항적 서효관(徐孝寬),내수 서양수(徐良守), 기거사인 서언 (徐彦),생원 서복례(徐復禮),공조전서 서보(徐輔), 직제학 서중보(徐仲輔), 중생원 서희준(徐希俊), 사재감정 서광준(徐光俊),통훈대부 서운(徐暈), 장령 서견(徐甄)은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충절을 지켜 끝내 벼슬에 오르지 않아 시흥의 충현서원(忠賢書院)에 제향됐다.

960년(광종 11)에 과거에 급제,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郞)을 거쳐 내의시랑(內議侍郞)이 되었다. 972년(광종 23)에 사신으로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종 때는 근정의 책임을 맡은 병관어사(兵官御事)가 되고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까지에 이르렀다. 993년(성종 12) 거란이 남침하자 중군사(中軍使)로 북계에 나가 적과 대진했는데, 이때 일부 중신들은 서경 이북의 땅을 거란에게 주어 화평하자고 주장했으나, 서희는 이를 반대하고 스스로 거란 진영에 가서 적장 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거란군을 퇴각하게 할 뿐 아니라, 압록강 이남의 장흥(長興)·귀화(歸化) 2진(鎭)과 곽주(郭州)·귀주(龜州)에 성을 쌓았으며, 다음해 안의(安義)·흥화(興化) 2진(鎭), 또 이듬해에 선주(宣州)·맹주(孟州) 2주에 성을 쌓았다. 996년(성종 15) 병이 나 998년에 57세의 나이로 죽었다.[2]

경기도 여주시에 부인과 합장한 묘소가 남아 있다.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연성군(連城君)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徐煕), 서도(徐道), 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徐文伯), 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徐謇), 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徐敏齊) - 원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가족

할아버지: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

할머니 : 합천 홍씨(陜川洪氏) 홍찬(洪贊)의 딸

아버지 :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어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부인 : 청주 한씨(淸州韓氏)
  • 형  : 서염(徐廉)
  • 동생 : 서영(徐英)
    • 아들 :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손녀: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손자: 서수(徐琇 종1품 문하시중 봉 희양대군)
        • 증손자: 서장기(徐長己 정4품 병부시랑兵部侍郞)
          • 고손자 : 서진부(徐振扶 정2품 좌복야左僕射)
            • 고고손자 : 서희적(徐希積 종3품 내의시랑內議侍郞)
              • 고고고손자 : 서영보(徐永甫 성균관 생원(成均館生員)
                • 고고고고손자 : 서선(徐瑄 종3품 중정대부(中正大夫)
        • 증손자: 서준방(徐俊邦 정3품 형부상서(刑部尙書). 평당 서씨(平當徐氏) 시조)
          • 고손자: 서약진(徐若珍 봉성군鳳城君)
            • 고고손자: 서숭조(徐崇祖 종2품 중추원사(中樞院事)
    • 아들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손자: 서정(徐靖) (정2품 평장사.종1품 판삼사사)
        • 증손자:서균(徐鈞 판장작감사.검교상서우복야.좌복야(尙書左僕射). 정 2품. 부총리)
          • 고손자: 서원(徐元)(정2품 평장사)
                  • 원손자:서린(徐鱗 병부상서(兵部尙書).대광내의령 종1품)
                    • 아들 : 서수(徐秀 병부령(兵部令).종 2품.부총리)
                      • 손자: 서희준(徐希俊 중생원(中生員). 정 3품. 고려충신. 장관)
                        • 증손자 : 서운(徐暈 통훈대부 부선공부정(夫繕工副正).도승지(都承旨). 정 2품. 고려 명신.청와대비서실장)
                              • 고손자: 서호(徐顥(灝) 통훈대부 남원부사(南原府使).이조참판(吏曹參判).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정 2품. 전남도지사.서울시장.장관)
          • 고손자: 서영관(穎觀) (헌화사 대사)
          • 고손자: 서공(徐恭) (정2품 평장사.종1품 판삼사사)
          • 고손자: 서순(徐淳(徐諄) (종2품 동지추밀원사)
            • 고고손자: 서저(徐氐 병부낭중. 종 3품. 차관급)
            • 고고손자: 서평(徐坪 판도좌랑)
            • 고고손자: 서광(徐珖-예빈소경))
              • 고고고손자: 서의(徐義 감찰어사.정 3품.장관) 
                • 고고고고손자: 서녕(영)(徐寧 진주부사(晉州副使).좌승지(左承旨)정3품.장관)
                • 고고고고손자: 서온(徐溫.승지.정 3품.장관)  
                  • 고고고고고손자: 서염(徐恬 태관서령 겸 직문한서太官署令兼直文翰署 문하시랑평장사.정 2품. 부수상)
                    • 고고고고고고손자: 서진(徐璡 판내부사사(判內府寺事). 정 3품. 장관)
                    • 고고고고고고손자: 서충(徐忠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종 2품.부수상)
                      • 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신(徐信  원주목사.문하시중. 종 1품. 국무총리)
                        • 고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구(徐矩 덕천군수(德川郡守)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수(徐綏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종 2품 .차관)
                    • 고고고고고고손자: 서윤(徐玧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정 2품. 부총리)
                      • 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원(徐遠 찬성사(贊成事). 정 2품.부총리)
                        • 고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선(徐選)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재상).우의정(右議政).정1품. 부총리)
                      • 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유(徐逾 비인현사(庇仁縣事) 
          • 고손자: 서성(徐成) (정2품 평장사)
          • 고손자: 서염(徐廉) (종2품 사복부령)
            • 고고손자: 서익(徐翼 부령(司僕部令). 종 2 품. 부총리)
              • 고고고손자: 서유(徐裕 상장군(上將軍). 정 3품. 장관)
                • 고고고고손자: 서원기(徐原奇. 계성군(桂城君). 장관)
      • 손자: 서존(徐存) (정3품 병부상서 태원군)
        • 증손자:서청습(徐淸習) (금오위별장 동정(金吾衛別將同正).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
          • 고손자:서효리(徐孝理) 문림랑(文林郞) 태창서승(太倉署丞). 좌복야(尙書左僕射).정 2품)
            • 고고손자:서찬(徐贊) 백주지사 중현대부(中顯大夫).감문위 대호군(대장군).정당문학(政當文學.종 2품)
              • 고고고손자:서희팔(徐希八)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保勝別將). 부제학.정당문학(政當文學)
                • 고고고손자:서춘(徐椿 부여서씨파(扶餘徐氏派 대종) .판내부사사((判內府寺事). 정 2품)
                • 고고고손자:서릉(능)(徐稜 장성서씨파(長城徐氏派)=이천서씨(利川徐氏) 절효공파(節孝公派)).문하시중(門下侍中). 종 1품)
                • 고고고손자:서박(徐樸(부여서씨(扶餘徐氏) 봉례공파(奉禮公派))
                • 고고고손자:서적(徐迪 판도판서. 정3품.남양(당성)서씨파(南陽((唐城)徐氏派)
                • 고고고손자:서직(徐稷(연산서씨파(連山徐氏派)=이천서씨(利川徐氏) 전서공파(典書公派)
    • 아들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손자: 서면(徐冕 정4품 주부)
        • 증손자: 서린(徐嶙) (정2품 판대부사)
            • 고손자: 서찬(徐瓚 (정4품 장령)
              • 고고손자: 서인(徐諲 교수(학자)
                • 고고고손자: 서욱(徐勖 정3품 승지)
                  • 고고고고손자: 서효손(徐孝孫 판사재사 종 2품.부총리) 
                    • 고고고고고손자: 서유(徐愈 정2품 예조판서(禮曹判書).이성군(利城君).양경공파(良敬公派)
                    • 고고고고고손자: 서진(徐晋 정3품 사재감정 교리공파(校理公派))
    • 아들 :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손자: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증손자: 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고손자: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고고손자: 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고고고손자: 서기준(徐奇俊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고고고고손자: 서영(徐穎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고고고고고손자: 서균형(徐鈞衡 종2품 정당문학)
                    • 고고고고고고손자: 서침(徐沈 정3품 조봉대부)
                    • 고고고고고손자: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고고고고고고손자: 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고고고고고고고손자:서미성(徐彌性 정3품 목사(牧使))
                      • 고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거광 (徐居廣 언양현감)
                      • 고고고고고고고고손자: 서거정 (徐居正 좌찬성 종1품)

작은 할아버지 : 서신통(徐新通)

  • 작은 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서씨일가연합회 서일연 (徐氏一家聯合會) [[1]] [[2]]


이천서씨 대종회 [[3]]

서희테마파크(서희역사관)

위치는 경기 이천시 부발읍 무촌로18번길 130 도로명:이천시 부발읍 무촌로18번길 130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은 이천에서 태어나시어 18세에 과거에 급제하고, 태보내사령까지 오르셨던 문신이셨습니다. 특히 서기 993년 (성종12년) 거란이 침입하였을 당시, 단신으로 적장 소항덕과 담판하여 80만 대군으로 내몰고, 위태롭던 나라를 구해내시고 끊이지 않는 북진개척 정신으로 우리 민족의 영토에서 여진족을 몰아내고 강동8성을 쌓아 고려의 영토를 압록강 일대까지 넓힌 훌륭한 지략가이자 외교가이셨습니다. 이러한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의 위업을 되살려 그 업적을 확산, 보급하고 국가의 정신으로 계승, 발전시키고자 설립한 ‘이천시 서희(徐熙)선양사업 추진위원회’를 통해 대대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서희역사관은 이 모든 것들의 중심이 될 것입니다.

설봉서원(雪峯書院)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에 있는 서원이다 설봉공원 내에 있다. 선현을 모시고 유생을 교육하기 위하여 1564년(명종 19) 이천부사 정현이 창건하였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문을 닫았다가 이천시와 문중의 노력으로 2007년 4월 복원하였다. 부지면적 6,612㎡ 건물면적 300㎡ 규모이며 주요 시설로는 대성전, 동·서재, 내·외삼문 등 건물 9개동이 자리잡고 있다. 배향 인물은 서희(徐熙), 서선(徐選), 이관의, 김안국, 최숙정 이다.

새로운 교육문화를 창출하고 인성을 함양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학과 전통예절을 배우는 학생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일반인을 위하여 대학, 논어, 맹자, 중용 등 사서와 시경, 서경, 역경, 예기, 춘추 등 오경을 배우는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숭의전(崇義殿)

조선 시대 고려 태조와 혜종(惠宗)•정종(定宗)•광종(光宗)•경종(景宗)•성종(成宗)•목종(穆宗)•현종(顯宗) 및 정몽주(鄭夢周) 등 15인의 공신을 제사지내도록 한 사당으로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에 있음. 태조 6년(1397)에 태조의 명으로 묘(廟)를 세우고 정종 원년(1399)에 고려 7왕을 제사지내도록 하였으며, 세종 5년(1423)과 문종 2년(1452)에 중건하였는데 문종 때에 숭의전(崇義殿)이란 전호(殿號)를 내려 고려 왕씨의 후손들로 부사(副使) 혹은 사(使)로 삼아 봄•가을로 제사하고 관리하도록 하였음. 제전(祭田)으로 숭의전전(崇義殿田) 12결이 지급되었고, 매년 1차례씩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로 하여금 봉심(奉審)토록 하는 한편, 승지(承旨) 등을 보내 제사를 올리기도 하였음. 그 소속 관원으로는 종3품의 사, 종4품의 수(守), 종5품의 영(令), 종6품의 감(監), 종9품의 여릉 참봉(麗陵參奉) 1원(員)이 있었음.

숭의전.<군 서쪽 5리에 있는데, 본조 태조 원년에 예조에 명하여 마전현에 사당을 짓고, 고려 태조•혜종•성종•현종•문종•원종•충렬왕•공민왕을 제사하게 하고 제전을 주었다. 세종 7년이 되어 유사가 말하기를, “나라의 종묘에도 다만 5실을 제사하는데, 전조의 사당은 8위를 제사하니, 예에 맞지 않습니다.” 하므로, 이에 태조•현종•문종•원종만 남겨 놓고, 봄•가을 이중삭으로 향축을 보내어 제사했다. 문종 2년에 고려의 후손 왕순례를 찾아서 그 제사를 맡아 지내게 하고, 그 사당 이름을 숭의전이라 하여, 왕순례를 부사로 삼았다.

복지겸•홍유•신숭겸•유금필•배현경•서희(徐熙)•강감찬•윤관•김부식•김취려•조충•김방경•안우•이방실•김득배•정몽주 등을 배향했다.

崇義殿<在郡西五里 本朝太祖元年 命禮曹立廟於麻田縣 祭高麗太祖惠宗成宗顯宗文宗元宗忠烈王恭愍王 給祭田 至世宗七年 有司言 國家宗廟只祭五室 而前朝之廟乃祭八位 未合於禮 於是 只留太祖顯宗文宗元宗 以春秋二仲朔傳香祝致祭 文宗二年 求高麗後王循禮 俾主其祀 仍名其廟爲崇義殿 以循禮爲副使 以卜智謙洪儒申崇謙庾黔弼裴玄慶徐熙姜邯贊尹瓘金富軾金就礪趙冲金方慶安祐李芳實金得培鄭夢周配享> [신증동국여지승람 권제13, 16장 앞쪽~뒤쪽, 경기 마전군 사묘]

장위공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

이천시는 외교 협상가로서 장위공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서희(徐熙)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알리고자 서희 선생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사 문화 축제를 연다.

글로벌 축제를 지향하며, 우리나라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갈등 상황에 주목해 평화적 소통과 교류에 대한 방법을 찾아보고, ‘외교, 평화, 역사’를 테마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관내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희(徐熙) 선생의 일대기와 외교적 리더십에 관한 역할극,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꿈을 키우며 갈등을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미래 사회를 이끄는 리더로서의 성장하도록 한다.

9월에 개최되는 ‘장위공 서희(徐熙) 문화제’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안전하게 즐길 만한 지속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며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사전 예약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한다.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을 대상으로 장위공 서희 선생의 얼과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전국미술대회’, 그리고 10월에는 서희(徐熙) 선생 서거 주기 추모제를 개최한다.

잿머리성황당(城頭里城隍堂)

고려시대 서희가 송나라 사신으로 가기 전 제를 지내기 위해 세운 성황당으로 경기도 안산시 성곡동 산76에 위치해 있다.

고려 성종 때 내부시랑이었던 서희가 송나라 사신으로 가던 중 잿머리 해안에서 배를 타려고 하자 갑자기 폭풍우가 일어 배를 띄울 수가 없었다. 장도(壯途)를 비는 제를 지내고 잠이 든 서희의 꿈에 소복을 입은 두 여인이 나타났다. 두 여인은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김부대왕)의 비 홍씨와 장모 안씨였는데 그들은 사당을 마련해 경순왕과 두 모녀의 영정을 두고 제사를 지내 한을 풀어주면 파도를 잠재워 항해를 돕겠다고 했다. 잠에서 깬 서희가 그들의 바람대로 관아의 수장을 불러 사당을 짓게 하고 화공을 불러 영정을 그리게 하여 며칠 후 모두 완성되자 거칠던 바다가 거짓말처럼 잠잠해졌다. 그 후로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과 마을 사람들은 이 사당에 제를 올리며 순탄한 항해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였다. 현재 세워져 있는 성황당은 1990년에 개축된 것이며 당집이 있는 산에는 서희가 쌓았던 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안산시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85년부터 안산의 문화행사로 이곳에서 가을성황제가 이어져 오고 있다.

여주 상산재

□ 소재지 : 산북면 후리 □ 시 대 : 조선(현대 중수)

상산재는 고려의 명재상 정민공(貞敏公) 서필(徐弼, 901~965)과 장위공(章威公) 서희(徐熙, 942~998)를 모신 재실로, 후리 뒷골마을의 동쪽 외곽에 건립되어 있다. 단층의 양옥 건물로 지었으며 옥상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상산재”라 써 놓았다. 두 분의 묘소가 재실 앞쪽의 상두산(象頭山)에 자리 잡고 있어, 그 명칭을 상산재라 한 것이다. 재실의 앞쪽에는 최근에 건립한 서필서희의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서희선생묘(徐熙先生墓)

위치 : 경기도 여주군 산북면 후리 산 53-1 / 경기기념물 제36호

중부고속도로 광주 IC에서 나와 3번 도로를 타고 여주, 이천쪽으로 간다. 곤지암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양평 쪽으로 간다. 렉스필드 CC 입구를 지나 여주군 산북면으로 가다 상품 삼거리에서 우회전한다. 2차선 도로를 타고 가다보면, ‘(서희장군묘)(徐熙將軍墓) ’라는 작은 안내판이 나온다. 작은 안내판을 따라 들어가면, 묘소에 들어가기 전 입구 터가 나온다. 이 입구에 한글과 영문으로 된 안내판과 서희서필 부자의 신도비(神道碑), 사적비, 그리고 묘소를 관리하는 여주 상산재(象山齊)가 있다.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이섭대천종합예술제(利涉大川綜合藝術祭)

새아침의 여명이 밝아오듯이 “빛으로” 찬란하게 예술인들은 자신만의 목소리와 몸짓으로, 또는 자신만의 색채로 우리 이천의 예술을 꽃피우고자 합니다. 우리 이천을 문화예술의 도시로 만드는 가장 큰 원동력이 문화와 예술이듯이 이천의 혼불로 르네상스를 이천예총 각협회가 만들어 가겠습니다. 이천예총은 8개협회(국악협회/무용협회/문인협회/미술협회/사진작가협회/음악협회/연극협회/연예예술인협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천예총이 창의적 생각과 열린마음으로 예술인들의 끼와 혼을 발산시키고 시민들에게 감동과 희열을 느끼게 하는 자리가 바로 이섭대천종합예술제입니다.

서희청소년문화센터(徐熙靑少年文化center)

서희청소년문화센터는 청소년활동진흥법 11조(수련시설의 설치·운영 등)1항, 2조에 의거 이천시장이 설치한 기관으로 (재)이천시청소년재단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꿈꾸는 자유공간! 즐거운 청소년활동! 청소년이 주인인 문화센터’ 라는 비전 아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체육활동을 비롯한 리더십함양,진로탐색활동 지원은 물론 자율적인 청소년활동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이천시민들을 위한 공연 및 세미나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으로 이천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전 효문화 뿌리축제(大田 孝文化 祝祭)

대전효문화뿌리축제는 천혜 자연환경 속에 위치한 뿌리공원, 한국족보박물관, 효문화마을, 효문화진흥원을 아우르는 효문화 인프라를 기반으로 효의 가치와 의미를 경험하며 자신의 뿌리를 찾아보고 가족의 정을 느낄 수 있는 축제이다. 전국에 어르신과 청소년, 그리고 3대가 모두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되어 전국에 효 실천 문화 확산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고려통일대전(高麗統一大殿)

달성서씨 유허비 비문(達城徐氏遺墟碑碑文)

대구 달성공원 (達城公園)의 역사 얽힌 땅은 돌 한덩이 나무 한 그루도 무심히 볼 것이 아니어서 나그네는 멈추고 제 고장 사람들도 이대로 다시 들려보는 것이니 그것은 돌과 나무가 귀해서가 아니라 거기에 아로새겨 놓은 역사가  귀하기 때문이며 그것도 아름다운 역사일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한 법이다.  여기에 달성(達城)공원은 바로 그 역사 얽힌 곳이니 바라보라 저 玄風(현풍) 琵瑟山 (비슬산)이 동북으로 뻗어 最頂上(최정상)이 되고 다시 서북으로 달려 大德山(대덕 산)을 이루고 그것이 또 북으로 뻗어내려 작은 언덕이 되었다가 그대로 서쪽으로  구불거려 圓山(원산)이 되고 거기서 다시 북으로 뻗어졌다 동으로 굽이 틀어 평지로 내려오다 고개 들고 일어나 동향하여 앉는 것이 바로 여긴데 앞에는 嶺南(영남) 의 웅도 大邱(대구)시가요 뒤에는 臥龍山(와룡산)이 병풍과 같이 둘러쳤으며 멀리  동북에는 八公山(팔공산)이 솟아 둘리고 굽이도는 琴湖江(금호강)이 서로 洛東江 (낙동강)이 흘러들어 강산풍경이 이와 같거늘 어찌 인물의 역사가 없을 가 보냐

같이 보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희 고려 현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희 원목왕후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서희 소손녕 A는 B와 대립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서희 거란침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희장군묘 서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서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서희 표준영정 서희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개성 개국사 서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필 서희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서희 서눌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박용운, "서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서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서희테마파크 개원", 이천뉴스, 『이천 미디어시정』online, 작성일: 2016년 06월 16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 참조: "서희", 국역 고려사: 열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박용운, "서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서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서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서희테마파크 개원", 이천뉴스, 『이천 미디어시정』online, 작성일: 2016년 06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