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jin at Bogyeongsa Temple, Pohang
한자 浦項 寶鏡寺 圓眞國師碑
주소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보경로 523, 보경사 (중산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252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이공로(李公老)
서자 김효인(金孝印)
승려 승형(承逈)
건립연대 1224년
승탑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탑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포항 보경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원진국사 승형(圓眞國師 承逈, 1171-1221)탑비.

내용

개요

비신(碑身)[1] 높이 183cm, 너비 104cm, 두께 17cm. 이 비는 이수(螭首)가 없는 형식으로 비신 상단 양 끝을 접듯이 잘라놓았다.[2] 귀부(龜趺)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를 하고 있다. 등에는 6각형의 무늬마다 ‘왕(王)’자를 질서정연하게 새겨 놓았으며, 등 중앙에는 연꽃을 둘러 새긴 네모난 받침대를 조각하여 비신을 끼워두게 하였다. 비신의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장식되어 있는데 이 역시 고려 중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3] 비문은 당대의 문신 이공로(李公老)구양순체(歐陽詢體)로 지었고 김효인(金孝印)이 썼다.[4] 1963년 보물 제252호에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에는 원진국사(圓眞國師)의 생애와 행적이 기술되어있다. 원진국사는 산양(山陽)에서 태어나 운문사(雲門寺) 연실선사(淵實禪師)에게 출가하여 승과(僧科)에 급제하였다. 승려가 된 후에는 조계산에 가서 보조국사(普照國師)에게 법요(法要)를 묻고 문성암(文聖庵)에서 능엄경(楞嚴經)을 열람하고 유점사(楡岾寺) 주지를 지냈다. 이후에는 서울에 가서 고려 강종·희종·고종의 우대를 받고 보경사(寶鏡寺) 주지를 지냈으며 기도와 덕행으로 감응을 많이 남겼다.[5]


비문 보러가기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4: 고려8 비문8",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보경사원진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승형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이공로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writer B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김효인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포항 보경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주석

  1.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2. 김세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김세호,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보경사원진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