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
특별기고: 당 법장이 신라 의상에게 |
의상(義湘) | |
대표명칭 | 의상 |
---|---|
한자 | 義湘 |
생몰년 | 625년-702년 |
시호 | 해동화엄시조 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 |
이칭 | 義相, 義想 |
성씨 | 김씨(金氏) |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의상의 속성은 김씨(金氏)이고 아버지는 한신(韓信)으로, 경주의 진골귀족 출신이다. [1] 중국의 『송고승전(宋高僧傳)』에는 박씨(朴氏)로 나와 있으나 한국의 『삼국유사(三國遺事)』 등을 참고하면 김씨(金氏)라는 설이 유력하다.[2]
출가수행
644년 19세 때 경주 황복사(皇福寺)로 출가해 승려가 되었다. [3]
한동안 8년 연상의 원효(元曉, 617~686)와 함께 공부한 시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둘은 함께 중국 유학길에 오르게 된다. 북송의 찬녕(贊寧, 919~1001)이 지은 『송고승전(宋高僧傳)』 당신라국(唐新羅國) 의상전(義湘傳)에는 원효와 함께 대당유학길에 올랐던 의상의 전기 등이 자세히 전하고 있다.[4]
650년 원효(元曉)와 함께 현장(玄奘)이 인도에서 새로 들여온 신유식(新唯識)을 배우기 위해 중국의 당(唐) 나라로 유학을 떠나려 했으나 요동(遼東)에서 첩자(諜者)로 몰려 사로잡히면서 실패하고 신라로 되돌아왔다.[5]
구법유학
661년(문무왕 1) 당나라 사신의 배를 타고 중국으로 들어갔다.[6] 의상은 양주에 도착해 유지인의 청으로 관아에 머물게 되었다. 마침내 의상은 종남산 지상사의 지엄을 찾아뵈었다. 지엄은 마니보주(摩尼寶珠)를 보는 꿈을 꾸고 의상을 맞이하노라고 했다. 비로소 의상은 화엄(華嚴)의 깊은 뜻을 해석하게 되었다.[7]
중국화엄종의 제2조로서 화엄학의 기초를 다진 지엄으로부터 8년 동안 화엄을 공부하였는데, 그의 나이 38세로부터 44세에 이르는 시기이다. 이때, 남산율종(南山律宗)의 개조(開祖) 도선율사(道宣律師)와 교유하였으며, 중국 화엄종의 제3조 현수(賢首)와의 교유는 귀국한 뒤까지 이어졌다.[8]
귀국 및 활동
의상은 671년(문무왕 11년)에 신라로 돌아왔는데,[9]『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의상의 귀국 동기는 당나라 고종(高宗)의 신라 침략소식을 본국에 알리는 데 있었다고 하며, 『송고승전』에는 화엄대교(華嚴大敎)를 펴기 위한 것이었다고 하였다.[10] 귀국한 뒤에 동해의 굴에서 관음보살(觀音菩薩)를 친견(親見)하고 낙산사(洛山寺)를 창건했다는 설화가 전해지는데[11], 당시의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은 그의 관음신앙을 알게 해주는 261자의 간결한 명문이다.[12]
그 뒤 676년(문무왕 16)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기까지 화엄사상을 펼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서 전국을 편력하였다. 그가 건립한 사찰은 부석사를 비롯하여 중악 팔공산 미리사(美里寺), 남악지리산 화엄사(華嚴寺), 강주가야산 해인사(海印寺), 웅주 가야현보원사(普願寺), 계룡산 갑사(甲寺), 삭주화산사(華山寺), 금정산 범어사(梵魚寺), 비슬산 옥천사(玉泉寺), 전주모악산 국신사(國神寺) 등 화엄십찰(華嚴十刹)이다. 이밖에도 불영사(佛影寺), 삼막사(三幕寺), 초암사(草庵寺), 홍련암(紅蓮庵) 등을 창건한 것으로 전한다.
그에게는 3,000명의 제자가 있었는데, 오진(悟眞), 지통(智通), 표훈(表訓), 진정(眞定), 진장(眞藏), 도융(道融), 양원(良圓), 상원(相源), 능인(能仁), 의적(義寂) 등 10명이 아성(亞聖)으로 불렸으며, 범체(梵體)나 도신(道身) 등도 뛰어난 제자들이다.
저술로는 『십문간법관(十門看法觀)』 1권,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鈔記)』 1권, 『소아미타의기(小阿彌陀義記)』 1권, 『화엄일승법계도』 1권, 『백화도량발원문』 1권 및 최근 발견된 『일승발원문(一乘發願文)』 등이 있다.
입적
의상은 702년(효소왕 11년)에 78세의 나이로 입적(入寂)하였으며, 고려 숙종에게 ‘해동화엄시조 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1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지엄(중국) | 의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원효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의상 | 법장 | A는 B의 동문이다 | A ekc:isFellowOf B |
의상 | 도선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양양 낙산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의상 | 백화도량발원문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영주 부석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대구 미리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구례 화엄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합천 해인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서산 보원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공주 갑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부산 범어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울진 불영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안양 삼막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영주 초암사 | 의상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의상 | 오진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지통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표훈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진정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진장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도융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양원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상원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능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의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범체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의상 | 도신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십문간법관 | 의상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입법계품초기 | 의상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소아미타의기 | 의상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화엄일승법계도 | 의상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일승발원문 | 의상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고종훈 한국사, "(생생 한국사) 원효와 의상", Youtube, 게시일: 2016. 8. 3.
- 김경호, "의상 대사와 선묘 낭자", Youtube, 게시일: 2015. 12. 28.
각주
- ↑ "진지한 수행자, 우리나라 화엄종의 개조 의상", 한국의 위대한 인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의상", 실크로드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기영, "의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진지한 수행자, 우리나라 화엄종의 개조 의상", 한국의 위대한 인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의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기영, "의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국립민속박물관, "의상", 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 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기영, "의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의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기영, "의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의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기영, "의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의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의상",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진지한 수행자, 우리나라 화엄종의 개조 의상", 한국의 위대한 인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의상", 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 편,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기영, "의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온라인 참조: "의상", 실크로드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