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21일 (수) 17:34 매화 감상 (역사) [3,4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매화 감상</strong>은 납일 전후에 분재 매화를 감상하고 음식을 함께 먹는 세시풍속이다. ==Semantic Data== ===Node Des...)
- 2020년 10월 21일 (수) 17:20 난한회 (역사) [3,64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난한회(暖寒會, 추위 녹이는 연회)</strong>는 추운 겨울에 눈을 쓸고 손님을 맞이하여 술과 고기를 대접하는 세시풍속이다...)
- 2020년 10월 21일 (수) 17:16 난강 (역사) [3,07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난강(煖講, 복습 모임)</strong>은 공부한 내용을 암송하고 술과 음식을 먹는 모임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
- 2020년 10월 21일 (수) 16:41 관연절 (역사) [4,12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관연절(觀蓮節, 연꽃 구경일)</strong>은 음력 6월 24일 또는 삼복에 연꽃을 구경하며 술을 마시는 세시풍속이다. =...)
- 2020년 10월 21일 (수) 16:14 관덕회 (역사) [3,46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관덕회(觀德會, 덕을 살피는 활쏘기 모임)</strong>는 조선시대 각 지방마다 열리던 활쏘기 대회이다.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1일 (수) 16:06 이죽회 (역사) [4,24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이죽회(대나무 옮겨 심는 날의 모임)</strong>는 음력 8월 8일에 대나무를 옮겨 심고 술을 마시며 시를 짓는 세시풍...)
- 2020년 10월 21일 (수) 09:49 유두회 (역사) [3,51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유두회(流頭會)</strong>는 음력 6월 15일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수단을 만들어 먹는 세시풍속이다....)
- 2020년 10월 21일 (수) 09:37 폭서회 (역사) [4,28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폭서회(曝書會, 책 말리기 모임)</strong>는 음력 6월 6일에 책과 옷을 말리는 세시풍속이다. 파일: 사고.png|300픽...)
- 2020년 10월 20일 (화) 17:48 비영회 (역사) [3,81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strong>비영회(飛英會, 날리는 꽃잎 즐기는 모임)</strong>는 4월에 꽃나무 아래에서 손님들에게 연회를 베풀어 술과 떨어지는 꽃...)
- 2020년 10월 20일 (화) 17:40 모란회 (역사) [3,38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모란회(牡丹會, 모란 즐기는 모임)</strong>는 4월에 손님들을 대접하며 모란꽃을 즐기는 세시풍속이다. 파일: 수...)
- 2020년 10월 20일 (화) 17:22 하안거 (역사) [3,34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하안거[結夏]</strong>는 4월 15일에 승려들은 사찰에서 하안거를 시행하고 일반인들은 손님과 죽순ㆍ창포 등 소박...)
- 2020년 10월 20일 (화) 17:06 계제 (역사) [4,19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계제(禊祭, 푸닥거리)</strong>는 음력 3월 3일에 푸닥거리를 해서 묵은 때를 씻고 진달래전이나 쑥떡을 만들어 먹...)
- 2020년 10월 20일 (화) 16:28 나물 캐기 (역사) [3,33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나물 캐기</strong>는 음력 2월 2일에 교외를 유람하면서 나물을 캐는 세시풍속이다. 파일: 채미도.png|300픽셀|썸...)
- 2020년 10월 20일 (화) 15:51 섬용지:복식 도구:의복의 보관:횃대 (역사) [2,06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횃대[椸]<ref>횃대[椸]:옷을 걸 수 있게 만든 막대. 횃대의 양 끝에 끈을 꿰서 벽에 달아 놓고 옷을 걸었다. 옷을 보관하는 장이...)
- 2020년 10월 20일 (화) 15:48 섬용지:복식 도구:의복의 보관:채상 (역사) [1,37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채상(彩箱)<ref>채상(彩箱):대나무의 겉대 부분을 아주 얇게 쪼갠 뒤 여러 가지 색으로 물들여 비단처럼 만든 대나무 고리이다....)
- 2020년 10월 20일 (화) 15:46 섬용지:복식 도구:의복의 보관:옷장 (역사) [1,6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옷장[衣欌]<ref>옷장[衣欌]:물건을 넣어 두는 가구이다. 옷장 안에 횃대를 설치하여 긴 옷을 걸어 보관하기도 했다.파일: 옷장....)
- 2020년 10월 20일 (화) 15:44 섬용지:복식 도구:의복의 보관:옷농 (역사) [1,93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옷농[衣籠]<ref>옷농[衣籠]:각 층이 분리되는 수납용 가구로, 같은 크기의 궤를 2층이나 3층으로 포개 놓고 쓴다.파일: 농.png|300...)
- 2020년 10월 20일 (화) 15:38 섬용지:복식 도구:의복의 보관:옷 보관법 (역사) [4,87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옷 보관법[藏衣法]'''<br/> 모향(茅香)<ref>모향(茅香):흰 띠꽃. 피를 토하거나 피가 날 때 치료하는 약으로도 쓴다.</ref>【밀초(蜜...)
- 2020년 10월 20일 (화) 15:32 섬용지:복식 도구:의복의 보관:버들고리 (역사) [98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버들고리[柳箱]<ref>버들고리[柳箱]:키버들의 가지를 엮어 상자같이 만든 저장 용기. 가벼우면서 튼튼해 서민들이 요긴하게 썼...)
- 2020년 10월 20일 (화) 15:23 섬용지:복식 도구:여자의 복식:족두리 (역사) [8,24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족두리[簇頭伊]<ref>족두리[簇頭伊]:조선 후기 가체(加髢)를 대신하는 의례용 수식(首飾)으로 제도화된 이후 궁중과 민간에서...)
- 2020년 10월 20일 (화) 15:19 섬용지:복식 도구:여자의 복식:저고리와 치마 (역사) [2,90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저고리와 치마[衣裳]<ref>저고리와 치마[衣裳]:여자들의 가장 기본적인 의복. 저고리는 조선시대 남녀노소 모두의 윗옷으로, 남...)
- 2020년 10월 20일 (화) 15:02 섬용지:복식 도구:여자의 복식:원삼 (역사) [1,49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원삼(圓衫)<ref>원삼(圓衫):조선시대 대표적인 여성 예복의 하나로 왕실에서 민가에 이르기까지 혼례 때 입거나 상례 때 습의(...)
- 2020년 10월 20일 (화) 14:59 섬용지:복식 도구:여자의 복식:신 (역사) [1,00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신[鞋]<ref>신[鞋]:신목이 없는 신으로, 겉은 비단으로 하고 안은 가죽으로 하며, 신코와 발뒤꿈치 쪽은 다른 색 비단으로 장식...)
- 2020년 10월 20일 (화) 14:42 섬용지:복식 도구:여자의 복식:비녀 (역사) [1,81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비녀[釵]<ref>비녀[釵]:머리에 꽂는 장신구.300픽셀|썸네일|가운데|사진명300픽셀|썸네일|가운데|사진명...)
- 2020년 10월 20일 (화) 14:38 섬용지:복식 도구:여자의 복식:당의 (역사) [1,89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당의(唐衣)<ref>당의(唐衣):당의는 저고리 위에 입는 대표적인 여자 예복의 하나로 저고리와 달리 길이가 길고, 겨드랑이 아래...)
- 2020년 10월 20일 (화) 14:33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항간 (역사) [2,09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항간(桁竿, 빨래 너는 장대)'''<br/> 《국파총어(菊坡叢語)》에서 “지금 민간에는 항간이라는 것이 있는데, 옷을 햇볕에 말리는...)
- 2020년 10월 20일 (화) 14:19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인두 (역사) [1,29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인두[熨刀]<ref>인두[熨刀]:바느질할 때 불에 달구어 직물의 구김을 눌러 펴거나 솔기를 꺾어 누르는 데 쓰는 도구. 좁은 부분의...)
- 2020년 10월 20일 (화) 14:17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빨랫줄 (역사) [95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빨랫줄[桁繩]'''<br/> 옷을 걸어서 햇볕에 말리는 노끈이다. 지금 사람들은 대부분 종이노끈을 쓰는데 비를 맞으면 바로 썩어 끊...)
- 2020년 10월 20일 (화) 13:49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바늘 (역사) [5,47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바늘[針]<ref>바늘[針]:옷 따위를 짓거나 꿰매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된 물건. 한쪽 끝에 있는 작은 구멍에 실을...)
- 2020년 10월 20일 (화) 13:44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다리미 (역사) [1,56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다리미[熨斗]<ref>다리미[熨斗]: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을 없애는 도구. 안에 숯을 담고 쇠를 달궈 한 손은 직...)
- 2020년 10월 20일 (화) 10:59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역사) [4,58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砧杵]<ref>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砧杵]:다듬이질할 때 밑에 받치는 돌과 방망이. 다듬잇방망이는...)
- 2020년 10월 20일 (화) 10:54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골무 (역사) [1,27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골무[指套]<ref>골무[指套]:바느질할 때 바늘을 눌러 밀어 넣기 위하여 검지에 끼우는 재봉 용구. 손가락이 바늘에 찔리는 것을...)
- 2020년 10월 20일 (화) 10:43 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가위 (역사) [1,07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가위[翦刀]<ref>가위[翦刀]:직물이나 종이, 머리털 따위를 자르는 기구. 날이 있는 2개의 쇠를 교차시켜 가운데 사북(돌쩌귀같이...)
- 2020년 10월 20일 (화) 10:38 섬용지:복식 도구:띠와 신발 :신발 사용법 (역사) [2,06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신발 사용법'''<br/> 갖신[鞋] 바닥은 항상 햇볕에 말려야 하며, 완전히 마르면 오래간다. 신발 바닥이 눅눅해지면 갖신이 쉽게 해...)
- 2020년 10월 19일 (월) 17:49 섬용지:복식 도구:띠와 신발:비 (역사) [1,72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비(屝, 풀로 만든 신발)<ref>비(屝, 풀로 만든 신발):짚을 꼬아서 만든 짚신과 삼을 꼬아서 만든 미투리 등의 신발.</ref>'''<br/> 《...)
- 2020년 10월 19일 (월) 17:39 섬용지:복식 도구:띠와 신발:띠 (역사) [1,42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띠[帶]'''<br/> 옛날에 남자는 띠로 가죽을 썼고 여자는 실을 썼다. 우리나라 부녀자들은 띠가 필요 없어서 실띠는 결국 남자의 용...)
- 2020년 10월 19일 (월) 17:28 섬용지:복식 도구:띠와 신발:나막신 (역사) [93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나막신[屐]<ref>나막신[屐]:나무를 깎아 발이 들어가는 부분을 만들고 앞뒤에 같은 높이의 굽을 단 신발.</ref>'''<br/> 나막신[木履...)
- 2020년 10월 19일 (월) 17:25 섬용지:복식 도구:띠와 신발:갖신 (역사) [3,05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갖신 [屨]''' <ref>갖신[屨]:가죽으로 만든 신의 총칭.</ref><br/> 《자서(字書)》에서 “풀로 만든 신발은 비(屝)라 하고, 삼으로 만...)
- 2020년 10월 19일 (월) 17:21 섬용지:복식 도구:기타 장신구:패도 (역사) [1,82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패도(佩刀)'''<ref>패도(佩刀):옷이나 허리띠 등에 차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작은 칼.</ref><br/> 옷의 띠에 차는 작은 칼이다. 무소...)
- 2020년 10월 19일 (월) 17:18 섬용지:복식 도구:기타 장신구:초혜집 (역사) [1,08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초혜집[抄舌]<ref>초혜집[抄舌]:이쑤시개나 귀이개 등을 담아 휴대할 수 있게 만든 통.</ref>'''<br/> 초혜집은 상아로 만드는데, 모...)
- 2020년 10월 19일 (월) 17:13 섬용지:복식 도구:기타 장신구:주머니 (역사) [1,30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주머니[佩囊]<ref>주머니[佩囊]:몸에 지니고 다닐 만한 물건을 담아 허리에 차도록 만든 물건. 우리나라 의복은 서양 의복과 달...)
- 2020년 10월 19일 (월) 16:37 섬용지:복식 도구:기타 장신구:접부채 (역사) [6,66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접부채[摺疊扇]<ref>접부채[摺疊扇]:접었다 폈다 할 수 있어서 ‘접부채’, 접어서 쥐고 다니기 간편한 부채라는 뜻의 ‘쥘부채...)
- 2020년 10월 19일 (월) 15:59 이운지:휴양에 필요한 도구:여러 휴대용 도구:단선 (역사) [1,89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단선'''</br> 단선에는 <strong>지호(紙糊)부채(종이를 풀칠해서 만든 부채)</strong>가 있고, <strong>죽편(竹編)부채(대나무를 엮어 만...)
- 2020년 10월 19일 (월) 15:15 섬용지:복식 도구:기타 장신구:모선 (역사) [1,44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모선(毛扇)<ref>모선(毛扇):벼슬아치가 추운 겨울날에 얼굴을 가리던 방한구. 네모반듯하게 겹친 비단 양쪽에 털이 있는 가죽으...)
- 2020년 10월 19일 (월) 15:08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탕관 (역사) [3,09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탕관(湯罐)'''<br/> 일찍이 중국에서 만든 백동관(白銅罐)을 본 적이 있는데, 제도가 완자(卍字)탕기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더 크고...)
- 2020년 10월 19일 (월) 15:05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질그릇대야 (역사) [1,56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질그릇대야[陶盆]<ref>질그릇대야[陶盆]:500~1000℃ 이하에서 구워 만든 대야. 그 이상에서 구운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 2020년 10월 19일 (월) 15:03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조두합 (역사) [1,23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조두합(澡豆盒, 가루비누합)'''<br/> 나무를 갈이틀로 둥글게 깎아 2칸짜리 합을 만들고, 1칸에는 조두(澡豆, 가루비누)를 담고 다...)
- 2020년 10월 19일 (월) 15:00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유황이 (역사) [2,03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유황이(硫黃匜, 뒷물용 유황대야)'''<br/> 날마다 뜨거운 물로 앞뒤의 음부(陰部)를 씻으면 하초(下焦)<ref>하초(下焦):삼초(三焦)...)
- 2020년 10월 19일 (월) 14:57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양칫물사발 (역사) [1,1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양칫물사발[漱水碗]'''<br/> 지금 사람들은 날마다 음식을 담는 데 쓰는 작은 사발에다 양칫물을 담아 세숫물이 든 세숫대야에 띄...)
- 2020년 10월 19일 (월) 14:54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수건 (역사) [96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수건[帨]'''<br/> 수건은 연경에서 수입한 청색과 백색이 섞인 칡베 수건이 좋은데, 민간에서는 이를 ‘아롱베[반베]’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