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16일 (금) 12:49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폭서회 (역사) [4,56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월 6일의 폭서회(曝書會, 책 말리기 모임)'''<br/> 《야획편(野獲編)<ref>야획편(野獲編):중국 명(明)나라의 문학가인 심덕부(沈德...)
- 2020년 10월 16일 (금) 11:05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박접회 (역사) [2,78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화조(花朝, 2월 15일)의 박접회(撲蝶會, 나비 잡기 모임)'''<br/> 양만리(楊萬里)<ref>양만리(楊萬里):1124~1206. 중국 남송(南宋)의 시...)
- 2020년 10월 16일 (금) 11:01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한식 (역사) [3,67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한식(寒食)의 들놀이'''<br/> 도성 사람들은 조상의 묘소 찾는 일을 정조(正朝, 설날)·한식(寒食)·단오(端午)·한가위의 4대 명절...)
- 2020년 10월 16일 (금) 10:5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하짓날 (역사) [2,49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하짓날의 전파(田婆, 토지와 곡식의 신)에 제사 지내기'''<br/> 동지[南至]<ref>동지[南至]:해가 황도 위의 동지점을 통과하는 일,...)
- 2020년 10월 16일 (금) 10:53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사반 (역사) [2,59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춘사일(春社日)<ref>춘사일(春社日):입춘 후 5번째 되는 무일(戊日). 앞의 “월별 행사”의 ‘2월’ 조에 나온 사일(社日)과 같다...)
- 2020년 10월 16일 (금) 10:50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중화절 (역사) [5,02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중화절(中和節, 2월 1일)의 풍년 기원'''<br/> 정월 대보름에는 볏짚을 엮어 둑기(纛旗, 소꼬리로 장식한 큰 의장기) 모양으로 만들...)
- 2020년 10월 16일 (금) 10:4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찬앵회 (역사) [1,25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중하(仲夏, 5월)의 찬앵회(餐櫻會, 앵두 먹기 모임)'''<br/> 300픽셀|썸네일|오른쪽|앵두 《예기》에 “앵두[含桃]...)
- 2020년 10월 16일 (금) 10:39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입춘 (역사) [2,65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입춘의 춘반(春盤, 봄 음식)'''<br/> 장자(張鎡)<ref>장자(張鎡):1153~?. 중국 송나라의 문인. 자는 공보(功甫), 호는 약재(約齋). 장감...)
- 2020년 10월 16일 (금) 10:11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인일 (역사) [2,85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인일(人日, 정월 7일)의 높은 곳 오르기'''<br/>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ref>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중국 남조(南朝)의 종름...)
- 2020년 10월 16일 (금) 10:0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설날 (역사) [4,10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설날의 집안 잔치'''</br> 설날을 두는 관례는 저 아득한 옛날부터이다. 대개 4계절의 첫머리요 삼원(三元)<ref>삼원(三元):설날의...)
- 2020년 10월 16일 (금) 09:52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석가탄신일 (역사) [11,40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석가탄신일의 관등(觀燈) 놀이'''<br/> 초파일에는 손님을 맞이하여 음식을 대접하는 데, 유엽병(楡葉餠, 느티떡)·삶은 콩·데친...)
- 2020년 10월 16일 (금) 09:4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대보름 (역사) [8,17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대보름의 다리밟기'''<br/> 대보름[上元] 다리밟기 놀이는 고려시대에 처음 시작했으며, 태평할 때에는 매우 성대하여 남녀가 짝...)
- 2020년 10월 16일 (금) 09:33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단오절 (역사) [3,40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단오절의 쑥떡[艾糕]<ref>쑥떡[艾糕]:《정조지(鼎俎志)》 권7 〈절식지류(節食之類)〉 “단오절식(端午節食)” ‘차륜병방(車輪...)
- 2020년 10월 15일 (목) 17:4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간화국 (역사) [2,45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늦봄의 간화국(看花局, 꽃구경 모임)'''<br/> 승려 중수(仲殊)<ref>중수(仲殊):?~?. 중 국 송나라 승천사(承天寺)에 있던 승려의 이...)
- 2020년 10월 15일 (목) 17:43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비영회 (역사) [2,25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월의 비영회(飛英會, 날리는 꽃잎 즐기는 모임)'''<br/> 범진(范鎭)<ref>범진(范鎭):1008~1089. 송나라의 관료이자 문인. 범촉공(范蜀...)
- 2020년 10월 15일 (목) 17:3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모란회 (역사) [4,98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월의 모란회(牡丹會, 모란 즐기는 모임)'''<br/> 300픽셀|썸네일|오른쪽|모란(국립수목원) 송나라 왕간경(王簡卿)...)
- 2020년 10월 15일 (목) 17:33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하안거 (역사) [4,23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월 보름의 결하(結夏, 하안거 시행)'''<br/> 4월 15일은 승려들이 사찰에 가서 괘탑(挂塔, 방에 들어가 머무름)하는데, 이를 ‘결하...)
- 2020년 10월 15일 (목) 17:27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계제 (역사) [4,57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월 삼짇날의 계제(禊祭, 푸닥거리)'''<br/> 《주례(周禮)》 〈춘관(春官)〉에 “여자 무당이 세시(歲時)에 따라 묵은 때를 깨끗이...)
- 2020년 10월 15일 (목) 16:5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나물 캐기 (역사) [1,8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월 2일의 나물 캐기'''<br/> 장자의 《상심낙사(賞心樂事)》에 남호(南湖)<ref>남호(南湖):중국 절강성 가흥현(嘉興縣) 동남쪽에...)
- 2020년 10월 15일 (목) 13:2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하):꽃과 돌:윤회매 (역사) [19,40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윤회매(輪回梅, 인조 매화)'''<br/> 벌이 꽃의 정수를 가져다 꿀을 만들고, 그 꿀에서 밀랍(蜜蠟)이 생기고, 그 밀랍으로 매화를...)
- 2020년 10월 5일 (월) 12:05 부뚜막 제도 (역사) [3,71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부뚜막</strong>은 솥을 걸 수 있도록 아궁이 위에 흙과 돌을 쌓아 만든 턱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 2020년 10월 5일 (월) 11:44 창 제도 (역사) [3,17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창</strong>은 실내의 환기 및 채광을 위하여 벽체에 개구부를 내고 개폐할 수 있도록 만든 문이다. 중...)
- 2020년 9월 26일 (토) 18:27 벽돌쌓기에서는 빈 공간을 메워야 한다 (역사) [3,43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벽돌쌓기에서는 빈 공간을 메워야 한다</strong>.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
- 2020년 9월 26일 (토) 16:46 영벽 (역사) [3,14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영벽</strong>은 대문이나 중문 안쪽에 병풍처럼 세워 안쪽을 가리는 역할을 하는 장식적인 벽이다. 서...)
- 2020년 9월 26일 (토) 16:16 장생옥 짓는 법 (역사) [3,06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장생옥 짓는 법</strong> 세 가지 방법이다 .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지(林...)
- 2020년 9월 26일 (토) 15:56 벽돌 틈 사이로 풀이 나지 않게 하는 법 (역사) [3,501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벽돌 틈 사이로 풀이 나지 않게 하는 법</strong>이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 2020년 9월 26일 (토) 15:54 벽돌 쌓는 시기 (역사) [3,11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벽돌 쌓는 시기</strong>이다 .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
- 2020년 9월 26일 (토) 15:48 벽돌 쌓는 법 (역사) [3,16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벽돌 쌓는 법</strong>은 벽돌 쌓는 법과 석회 개는 방법 등의 내용이다 .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
- 2020년 9월 26일 (토) 15:44 장벽 (역사) [3,12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장벽<strong></strong>은 본래 담과 벽을 아울러 말하는 담벼락이라는 뜻이나, 여기서는 방의 벽을 가리킨다....)
- 2020년 9월 26일 (토) 15:40 치받이(앙벽) (역사) [3,22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치받이</strong>는 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지붕을 이은 다음 밑에서 흙을 바르는 일이나 그 흙을 가...)
- 2020년 9월 25일 (금) 11:25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회 지붕 (역사) [2,440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회 지붕<br/> 요동(遼東)과 심양(瀋陽) 일대의 민가에는 간혹 회반죽으로 지붕을 얹은 집이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붕에...)
- 2020년 9월 25일 (금) 11:18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돌 지붕 (역사) [1,107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돌 지붕<br/> 두메산골의 민가에서는 간혹 돌판으로 지붕을 이기도 한다. 이때의 돌은 색이 푸르고 나무판처럼 얇은데, 크게는 4~...)
- 2020년 9월 25일 (금) 11:17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캉 제도 (역사) [2,836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캉 제도<br/> 먼저 캉의 기초를 쌓는데, 높이는 1.8척이다. 그리고 바닥을 평평하게 고른 뒤에 벽돌 조각을 바둑돌처럼 놓아 받침...)
- 2020년 9월 25일 (금) 11:15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방과 캉은 제도가 다르다 (역사) [3,405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캉(炕):만주 지역에서 구들을 가리키는 용어. ‘구들[龜突]’이란 방 밑에 화기(火氣)가 통하게 하여 난방하는 구조체로, 온...)
- 2020년 9월 24일 (목) 13:41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부엌과 부뚜막:부뚜막 제도 (역사) [6,137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2) 부뚜막 제도== ===중국의 부뚜막 치수의 상징=== 부뚜막을 만드는 법식에서 부뚜막의 길이 7척 9촌은 위로는 북두칠성을 상징하고 아래...)
- 2020년 9월 24일 (목) 11:35 섬용지:복식 도구:이부자리:이불 (역사) [3,32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 이불 [衾]<ref>이불[衾]:직사각형 모양으로 사람이 잠잘 때 덮어 몸을 보호하는 침구.<br/> 파일:이불(삼재도회).jpg|200픽셀...)
- 2020년 9월 24일 (목) 10:01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부엌과 부뚜막:부엌 (역사) [2,890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부엌 만드는 법== ===부엌 벽, 문, 창 만드는 법=== 부엌에서는 더욱 불을 조심해야 하므로 사방을 벽돌로 쌓아 벽을 만든다. <br/>...)
- 2020년 9월 23일 (수) 17:01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창:창 제도 (역사) [1,406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1) 창 제도<br/> 중국의 창은 모두 남쪽 칸에 설치하는데, 길이와 너비가 칸과 서로 같다. 창을 만들 때는 문살의 간격을 넓게...)
- 2020년 9월 23일 (수) 16:56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벽돌 틈 사이로 풀이 나지 않게 하는 법 (역사) [948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8) 벽돌 틈 사이로 풀이 나지 않게 하는 법<br/> 매년 관계(官桂)<ref>관계(官桂):품질이 가장 좋은 계피.</ref> 가루를 봄에 벽돌...)
- 2020년 9월 23일 (수) 16:52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영벽 (역사) [2,383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7) 영벽<br/> 양혜지(楊惠之)<ref>양혜지(楊惠之):?~?. 중국 당대(唐代)의 화가, 조소가(彫塑家). 오도자(吳道子)와 동시대의 예술...)
- 2020년 9월 23일 (수) 14:47 섬용지:복식 도구:이부자리:두 채의 이불을 나누고 합치는 법 (역사) [2,62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2) 두 채의 이불을 나누고 합치는 법</strong><br/> 겨울밤에는 솜이불로 몸을 덮는데, 목화솜은 두꺼워야 한다. 얇으면 추위를...)
- 2020년 9월 23일 (수) 14:30 섬용지:복식 도구:이부자리:작은 이불 (역사) [2,21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3) 작은 이불 [褡]</strong> 《광운》에서 “횡답(𧝒褡)은 작은 이불이다.”<ref>《重修廣韻》 卷2 〈下平聲〉 “十二庚”;《...)
- 2020년 9월 23일 (수) 13:51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벽돌쌓기에서는 빈 공간을 메워야 한다 (역사) [1,385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5) 벽돌쌓기에서는 빈 공간을 메워야 한다 벽돌벽을 쌓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벽돌이 서로 걸치도록 쌓아 올려야 하니, 전적...)
- 2020년 9월 23일 (수) 13:45 섬용지:복식 도구:이부자리:베개 (역사) [3,37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베개<ref>베개: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받치는 침구의 하나로, 모양은 대부분 직사각형이다. 만든 재료와 장식에 따라...)
- 2020년 9월 23일 (수) 13:38 베개 (역사) [4,54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베개[枕] </strong>는 잠을 자거나 누울 때 머리를 받치는 침구의 하나로, 모양은 대부분 직사각형이다....)
- 2020년 9월 23일 (수) 13:37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벽돌 쌓는 시기 (역사) [1,195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4) 벽돌 쌓는 시기<br/> 벽돌벽 쌓기는 추운 겨울에 할 수 없다. 물과 흙이 얼어서 벽돌과 반죽이 잘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결...)
- 2020년 9월 23일 (수) 13:33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벽돌 쌓는 법 (역사) [3,409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3) 벽돌 쌓는 법(추전법)<br/> 중국은 방을 만들 때 오로지 벽돌에 의지한다. 벽돌은 길이 1척, 너비 0.5척, 두께 0.2척으로, 벽돌...)
- 2020년 9월 23일 (수) 12:57 작은 이불 (역사) [4,36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작은 이불 [褡] </strong>은 잘 때 뿐 아니라 앉아 있을 때 무릎과 허리를 덮기에 편리한 작은 이불이다....)
- 2020년 9월 23일 (수) 12:11 이불 (역사) [4,81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이불[衾]</strong>은 잘 때 몸을 덮기 위하여 솜을 넣어 만든 침구의 하나. 솜이불, 겹이불, 홑이불 따위...)
- 2020년 9월 23일 (수) 12:10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장벽 (역사) [6,604 바이트] 정명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2) 장벽<ref>장벽(墻壁):본래 담과 벽을 아울러 말하는 담벼락이라는 뜻이나, 여기서는 방의 벽을 가리킨다고 서유구가 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