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립(崔東立)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557년(명종 12)∼1611년(광해군 3) = 55세.]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이다. 자는 탁이(卓爾), 호는 와은(臥隱)과 행원(杏園)·행우(杏雨)이다. 본관은 삭녕(朔寧), 남양(南陽) 출신으로 주거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이조 참판에 추증된 영원군(寧原君)최변(崔忭)이고, 어머니 단양우씨(丹陽禹氏)는 별좌(別坐)우성훈(禹成勳)의 딸이다, 영의정최항의 6대손이고, 집의(執義)최동식(崔東式)의 형이다. 대사성우성전(禹聖傳)이 외사촌 형인데, 어머니로 인하여 이황(李滉)의 제자인 추연(秋淵)우성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조부 증 좌승지최계종(崔繼宗)은 최준문(崔濬文)의 아들인데, 증 사헌부 집의최준철(崔濬哲)에게 입양되었다.

선조 시대의 활동

그는 어려서 성품이 호방하고 힘도 세어서 동네의 골목대장 노릇을 도맡아 하였다. 고종 4촌형 최홍한(崔弘僩)이, “이 아이가 우리 가문을 크게 일으킬 것이다.” 하고 글과 예법을 가르치고 그의 호방한 습관을 통렬히 꾸짖으니, 얼마 안 되어 최동립은 학문의 대의(大義)를 깨닫게 되었다. 1579년(선조 12) 23세 때 어머니 상(喪)을 당하여, 17세의 동생 최동식과 함께 여묘살이를 하면서 3년 동안 같이 공부하였다. 1585년(선조 18) 29세 때 사마시(司馬試)에 진사(進士)로 합격하고 성균관(成均館)에 들어갔다가, 1589년(선조 22) 음보(蔭補)로 능참봉(陵參奉)이 되었다.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어가(御駕)를 호위하고 의주(義州)까지 갔는데, 7월 의주에서 시행한 별시(別試)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바로 예문관 검열(檢閱)에 보임되었다.(『선조실록(宣祖實錄)』 참고.) 그때 아버지 최변이 전쟁 중에 돌아갔으므로, 의주에서 혼자 위험을 무릅쓰고 남원으로 돌아와서 여묘살이를 하였고, 이듬해 1593년(선조 26) 조부의 상을 당하여 연달아 승중(承重)의 상복을 입었다.(『월사집(月沙集)』 별집 권6 「황해도관찰사 최공동립신도비명(黃海道觀察使崔公東立神道碑銘)」 참고. 이하 「최동립 신도비명」이라 약칭함.) 상례를 모두 끝마치고, 1595년(선조 28) 11월 예문관(藝文館)에 들어가서 대교(待敎)가 되었다가, 그해 12월 봉교(奉敎)로 승진하였다.(『선조실록』 참고.) 1596년(선조 29) 형조 좌랑이 되었다가, 공조 좌랑·예조 좌랑·병조 좌랑으로 전직되었다.(「최동립 신도비명」 참고.)

1597년(선조 30)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중국 명(明)나라 북경(北京)다녀와서, 6월에 병조 좌랑이 되었다.(『선조실록』 참고.) 이어 외직으로 영해부사(寧海府使)로 나갔고, 독운사(督運使)로 임명되어, 명나라 군사들의 군량미를 수송하는 일을 독려하여, 군량미가 떨어지지 않도록 공급하였다. 그 공으로 사헌부(司憲府)지평(持平)으로 소환되고,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문학(文學)·필선(弼善)을 역임하였다. 1599년(선조 32) 2월에 사헌부 장령(掌令)이 되었다가 3월에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고, 6월 세자시강원 문학(文學)이 되었다가, 7월 사간원 헌납(獻納)이 되었다. 그때 왜군을 추격하여 남하(南下)하는 조선과 명나라 군사들의 군량미를 공급하기 위하여 특별히 독운사로 파견되어, 경기도와 하3도 등 4도에 나가서 군량미 운송을 독려하였다.(『선조실록』 참고.)

최동립이 대간(臺諫)의 헌납과 장령으로 있을 때 그는 성격이 과감하여 누구든지 신분을 가리지 않고 탄핵하였다. 임해군(臨海君)은 선조의 제 1왕자로서 세도를 심하게 부리다가 자주 법망에 저촉되었는데, 그는 재차 임해군을 탄핵하고 여러 번 그 노복을 체포하여 다스렸다. 또 대사헌유영경(柳永慶)이 이이첨(李爾瞻) 등과 야합하여 정권을 마음대로 휘두르자, 그는 풍자시를 지어서 유영경을 조롱하다가, 유영경의 노여움을 사서, 수성도찰방(輸城道察訪)으로 좌천되었다가 곧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그는 남양으로 돌아가서, 향리 사람들과 어울려 시와 술로써 세월을 보냈다.

1607년(선조 40) 7월 사면을 받아 순창군수(淳昌郡守)가 되었다. 전라도 순창은 외진 고을이어서 호족(豪族)들이 관을 무서워하지 않고, 양인(良人)들을 많이 점유하여 부리므로, 관청의 장부에는 누락된 호구가 날로 늘어갔다. 최동립이 부임하여 모두 법대로 처리하고 일절 봐주지 않자, 호족들이 거칠게 항의하였다. 그러나 그는 위풍당당하게 위엄을 보이니, 호족들이 무서워하여 모두 승복하였다.

광해군 시대 활동

1608년(광해군 즉위) 10월 비변사(備邊司)가 전라도관찰사의 장계(狀啓)에 따라, 담양(潭陽)에 산성(山城)을 수축해서 호남·호서의 보장(保障)으로 만들려 기획하였다. 그리고 순창 군수최동립을 이 일의 적임자로 추천하기를, “양호(兩湖) 지방의 산성 가운데 담양의 금성(金城)이 가장 중앙에 위치한 거진(巨鎭)인데, 순창 군수최동립이 관직에 있으면서 고을을 잘 다스린다는 소문이 있고, 또 위엄과 재간이 있다고 합니다.” 하였다.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참고.) 광해군이 그를 담양 부사(潭陽府使)에 임명하니, 담양 부사최동립은 계획을 잘 세워서 담양의 금성을 다시 수축하여 호남과 호서의 제일가는 산성(山城)으로 만들었다. 이때 역사에 동원된 백성들이 조금도 불평하지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품(陞品)하였다.(「최동립 신도비명」 참고.)

1610년(광해군 2) 2월 호조의 재정이 부족해지자 조도사(調度使)를 남부의 4도(道)로 파견하자고 조정의 의논이 모아졌다. 모든 사람들이 “최동립이 아니면 이 일을 해낼 수 없다.”고 하였는데, 최동립은 임진왜란 때 군량미를 공급하기 위하여 독운사로서 지방에 파견되어 군량미를 성공적으로 운송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때 호조에서 아뢰기를, “한 사람이 4도의 일을 아울러 관리하는 것은 길이 멀어서, 순찰하고 심사하는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까 두렵습니다. 양호 지방에는 조도사를 따로 보내고, 최동립은 오로지 경상도·강원도 2도의 일만을 보게 하는 것이 마땅하겠습니다. ”라고 하니 광해군이 최동립은 2도의 조도사로, 조존성(趙存性)은 양호 조도사로 파견하였다.(『광해군일기』 참고.) 오랜 전쟁이 끝난 다음에 조세(租稅)가 잘 거두어지지 않아서 국가 재정이 궁핍하였으므로, 4도에 조도사를 특별히 파견하여, 각 지방을 순찰하면서 조세를 심사하여 조정하고, 징수된 곡식을 서울 경강(京江)으로 조운(漕運)하게 하였던 것이다. 최동립이 조도사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와서 광해군에게 자세히 보고하자, 그해 4월 호조 참의(參議)에 임명하였다가, 8월 우부승지(右副承旨)로 발탁하였다.(『응천일록(凝川日錄)』 권1 참고.)

마침 황해도관찰사의 자리가 비게 되자, 대신들이 모두 최동립을 추천하여, 1610년(광해군 2) 8월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최동립이 부임하여 분연히 부패를 척결하려는 뜻을 가기고 가장 먼저 광해군의 동서 안악군수(安岳郡守)조국필(趙國弼)을 파면시켰다. 여러 고을 수령들이 깜짝 놀라서 그의 지시를 잘 받들었으므로 황해도 지방이 잘 다스려졌다. 그는 공무에 매달리다가 병이 나자, 사직 상소를 올리고 남여(藍輿)에 실려서 집으로 돌아왔다. 1611년(광해군 3) 10월 서울의 집에서 돌아가니, 향년이 55세였다.(「최동립 신도비명」 참고.)

최동립은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서 선유(先儒)들의 모든 예서(禮書)에 대한 주설(註說)을 모아서 상제(喪祭)의 변례(變禮)에 대해 논술하고, 그 증거를 두루 제시하였다. 또 그가 저술한 시문(詩文) 중에 후세에 전할 만한 것이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의 문집은 발간되지 못하여, 후세 사람들이 못내 아쉬워하였다.(「최동립 신도비명」 참고.)

성품과 일화

최동립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키가 크고 외모가 빼어났다. 기개가 크고, 낙천적이어서 평소 안색에 노기를 띤 적이 없었으나, 일을 할 때에는 위풍(威風)이 있어서 사람들이 감히 그 얼굴을 쳐다보지 못하였다. 그는 천성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다. 선조(先祖)의 제사를 받들 때 정성과 공경을 다하였는데, 제사를 지내기 전에 반드시 칠계(七戒)를 지키며 3일 동안 재계(齋戒)하였다. 남의 다급한 일을 보면, 자신의 일을 제쳐놓고 도와주었다. 평소 뇌물을 받지 않았고, 다만 맡은바 직책에 힘썼는데, 자신의 이해를 위해 법과 지위를 이용하지 않았다. 평생 청렴결백하여, 벼슬을 두루 역임하면서 동전(銅錢) 한 푼도 사사롭게 사용하지 않았고, 그가 세상을 떠났을 때 집이 가난하여 장례를 치르지 못할 정도였다.(「최동립 신도비명」 참고.)

1598년(선조 31) 7년 동안 계속되던 <임진왜란>이 끝나자, 당시의 정국이 급박하게 움직여서, 정권을 잡은 동인이 다시 남인·북인으로 나누어졌는데, 대간(臺諫)의 요직을 맡았던 최동립은 그 소용돌이 속에서 부침(浮沈)할 수 밖에 없었다. 원래 북인의 과격파 이발(李潑)·유영경·남이공(南以恭) 등은 모두 유성룡(柳成龍)의 동인에 속하였다. 명나라와 일본의 화해 교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선이 이를 반대하다가 오히려 소외당하자, 북인들은 재상 유성룡을 탄핵하여 실각시키고, 정권을 잡았다. 이때 최동립은 대사헌유영경이 대간의 수장으로서 이이첨 등과 야합하여 권력을 휘두르는 것을 보고, 풍자시를 지어서 유영경을 길가의 돌 뿌리에다 비유하니, 유영경이 그에게 앙심을 품었다.

1599년(선조 32) 유영경의 후임으로 북인 홍여순(洪汝諄)이 대사헌으로 부임하자, 장령최동립은 집의김신국(金藎國)과 이조 좌랑남이공 등과 함께 극력 반대하였다. 이리하여 북인이 다시 소북(小北)대북(大北)으로 나누어졌다. 선조 말엽에 대북파 이이첨·정인홍(鄭仁弘)·홍여순 등과 소북파의 유영경·남이공·유희분(柳希奮) 등이 세자 책봉을 둘러싸고 치열한 정권 다툼을 벌였다. 1600년(선조 33) 2월 최동립은 소북파의 영수 유영경에 의하여 수성도찰방으로 좌천되었으나, 미처 부임하기도 전에 대북파의 홍여순에 의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파직되었다. 최동립은 남양으로 낙향(落鄕)하여 한 동안 조용히 은거(隱居)하였다.

1610년(광해군 2) 8월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어, 방백(方伯)으로서 위엄을 지켰다. 광해군의 장인 유자신(柳自新)의 사위인 안악군수조국필은 탐욕스럽고 용렬하기가 그지없었다. 광해군의 동서 조국필은 전국의 지방 수령관 3백여 명 중에서 온갖 나쁜 짓을 하는 데에 가장 으뜸이라고 소문이 났다. 그러나 전후의 황해도관찰사들은 그의 권세를 무서워하여 누구 하나 감히 손을 대지 못하였다. 최동립은 부임하자마자 그의 죄상을 조사하여 조목조목 나열하여 광해군에게 계문(啓聞)하여 조국필을 파면시키니, 당시의 여론이 통쾌하게 여겼다 그해 12월 장연현감(長淵縣監)유호증(兪好曾)이 관직을 버리고 마음대로 귀향하자, 관찰사최동립이 계문하니, 이조에 회부하여 그를 파면시켰다.(『광해군일기』 태백산본 참고.)

묘소와 후손

묘소는 강원도 원주(原州) 사제리(沙堤里)의 언덕에 있는데, 부인 심씨(沈氏)의 무덤에 합장하였다. 월사(月沙)이정귀(李廷龜)가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월사집(月沙集)』 별집 권6 「황해도관찰사 최공동립신도비명(黃海道觀察使崔公東立神道碑銘)」) 부인이 그보다 1년 전에 돌아가서 경기도 광주(廣州)에 묻혔는데, 최동립이 병이 나서 들것에 실려와서 죽을 때 큰아들을 불러서 부인의 무덤을 다른 자리로 옮기라고 부탁하였다. 큰아들 최호가 산소를 구하였으나 좋은 자리를 얻지 못하였는데, 꿈속에서 부인이 나타나서, “네가 나와 같이 동쪽으로 가보겠느냐?” 하고 데리고 같이 가다가 어떤 말라죽은 소나무 밑에 이르러, “이곳이 복지(福地)다.” 하였다. 최호가 꿈을 깨서 술인(術人)과 같이 동쪽으로 가다가 원주(原州) 사제리(沙堤里) 마른 소나무 밑에 이르러 보니, 꿈속에서 본 길지(吉地)와 닮았으므로 그곳에다 이장하였다. 뒤에 최동립도 그 묏자리에 부인과 같이 묻혔다.(「최동립 신도비명」 참고.)

부인 풍산심씨(豐山沈氏)는 찰방심일장(沈日將)의 딸이고, 고 상국(相國) 심수경(沈守慶)의 손녀이다. 자녀는 3남 3녀를 두었다. 큰아들 최호는 세마(洗馬)이고, 둘째 아들 최환(崔皖)은 생원(生員)이고, 셋째 아들 최교(崔皦)는 참봉(參奉)이다. 큰사위는 김사상(金士尙)이고, 둘째 사위는 김엽(金曄)이고, 셋째 사위는 황입진(黃立震)인데, 모두 선비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월사집(月沙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응천일록(凝川日錄)』
  • 『죽창한화(竹窓閑話)』
  • 『백곡집(栢谷集)』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용주유고(龍洲遺稿)』
  • 『송자대전(宋子大全)』
  • 『염헌집(恬軒集)』
  •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