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1월 2일 (월) 11:39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상롱 (역사) [1,41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상롱(침상 겸 침롱)'''</br> 얇은 널빤지로 궤짝 4개를 만드는데, 궤짝 각각은 길이가 4척, 너비가 2척, 높이가 1척이다. 몸통 전...)
- 2020년 11월 2일 (월) 11:30 섬용지:탈것:여행에 쓰는 기타 도구:침롱 (역사) [1,54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침롱(寢籠)'''</br> 싸리나무가지를 엮어 칸막이 넷을 만들되, 덮개도 바닥도 없다. 여기에 종이로 안팎을 바르고, 다시 소가죽...)
- 2020년 11월 2일 (월) 11:15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창 (역사) [10,47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용지:영조지제:창== <strong>1) 창 제도[牕制]</strong><br/> 중국의 창은 모두 남쪽 칸에 설치하는데 길이와 너비가 칸과 서로 같다. 창을 만...)
- 2020년 10월 30일 (금) 15:42 정조지:절식:납평의 절식:참새전 만들기 (역사) [1,46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참새전== 2) 참새전[黃雀煎] 만들기(황작전방) 참새를 잡아서 아이에게 먹이면 천연두에 좋다. 도성에서는 사사로이 조총(鳥銃, 새총)을...)
- 2020년 10월 30일 (금) 15:41 정조지:절식:납평의 절식:납일고기 만들기 (역사) [1,497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납일고기== 1) 납일고기[臘肉] 만들기(납육방) 우리 조정(朝廷)에서는 동지 후 셋째 미일(未日)인 납일(臘日)의 옛 제도에 의해서 산간 고...)
- 2020년 10월 30일 (금) 15:38 정조지:절식:동지의 절식:전약 만들기 (역사) [1,319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전약== 2) 전약(煎藥)<ref>전약(煎藥) : 쇠가죽으로 아교를 만든 뒤, 한약재와 꿀을 넣고 끓여서 족편과 같은 모양으로 굳힌 음식. </ref> 만들...)
- 2020년 10월 30일 (금) 15:28 정조지:절식:동지의 절식:팥죽 만들기 (역사) [2,78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팥죽== 1) 팥죽[赤豆粥] 만들기(적두죽방) 팥을 찌고 멥쌀을 갈아 죽을 쑨다. 찹쌀가루를 새알모양으로 만들어 그 속에 넣고 다시 끓인다...)
- 2020년 10월 30일 (금) 15:27 정조지:절식:중구의 절식:국화주 빚기 (역사) [1,719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국화주== 3) 국화주(菊花酒) 빚기(국화주방) 《서경잡기(西京雜記)》<ref>서경잡기(西京雜記) : 중국 진(晉)나라 갈홍(葛洪, 284~364)이 전한(...)
- 2020년 10월 30일 (금) 15:08 정조지:절식:중구의 절식:꿀밤과자 만들기 (역사) [1,161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꿀밤과자== 2) 꿀밤과자(밀오율니) 만들기(밀오율니방) 밤을 삶아 껍질을 벗겨내고 대략 주물러 부수되, 곤죽이 되지는 않도록 한다. 이...)
- 2020년 10월 30일 (금) 15:07 정조지:절식:중구의 절식:국화떡 만들기 (역사) [2,266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국화떡== 1) 국화떡(국화고) 만들기(국화고방) 국화를 따서 떡을 만든다. 중삼절(重三節, 음력 3월 3일)의 두견화고(杜鵑花糕) 만드는 법...)
- 2020년 10월 30일 (금) 15:06 정조지:절식:삼복의 절식:개장국 만들기 (역사) [1,624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개장국== 1) 개장국(구장) 만들기(구장방) 개고기에 파밑동을 섞어 흐물흐물하게 푹 찐다. 닭고기와 죽순을 넣으면 더욱 좋다. 이것을 ‘...)
- 2020년 10월 30일 (금) 10:05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장생옥 짓는 법 (역사) [10,63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br/> 6) 장생옥(長生屋) 짓는 법<br/> 《서방요기(西方要紀)》에, “서양의 집 짓는 법은 중국과는 조금 다르다. 큰 도시에서는 벽돌...)
- 2020년 10월 30일 (금) 09:52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척도:칸살 (역사) [2,75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칸살[間架]'''<ref>칸살[間架]:간(間)은 두 기둥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기도 하고, 네 기둥 사이의 면적을 가리키기도 한다. 그...)
- 2020년 10월 30일 (금) 09:47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척도:건물의 세 부분 (역사) [4,13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건물의 세 부분<br/> 심괄(沈括)은 《몽계필담(夢溪筆談)》에서 유 호(喩皓)의 《목경(木經)》을 인용하여, “일반적으 로 건물에...)
- 2020년 10월 30일 (금) 09:40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초가 지붕 (역사) [2,99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초가 지붕<br/> 시골에서는 지붕을 이을 때, 대부분 볏짚을 사용하여 볏짚 2~3줌으로 엮어서 이를 비늘처럼 겹쳐 가며 지붕을 얹...)
- 2020년 10월 30일 (금) 07:33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방과 캉:온돌 제도 (역사) [12,93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온돌 제도<br/> 우리나라의 온돌 제도에는 6가지 결점이 있다. 진흙을 쌓아 고랫등<ref>고랫등:구들장을 올려놓는, 방고래와 방...)
- 2020년 10월 29일 (목) 18:13 정조지:절식:유두의 절식:오이채만두 만들기 (역사) [1,345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오이채만두== 3) 오이채만두(과사두) 만들기(과사두방) 오이[黃瓜]는 껍질과 속을 제거하고 가락으로 잘라 실처럼 만든다. 돼지고기·쇠...)
- 2020년 10월 29일 (목) 18:12 정조지:절식:유두의 절식:상화병 만들기 (역사) [1,621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상화병== 2) 상화병(霜花餠) 만들기(상화병방) 밀가루를 고운체로 쳐서 좋은 막걸리 0.02냥, 물 0.01냥으로 축여서 배합한 뒤 자기항아리에...)
- 2020년 10월 29일 (목) 18:11 정조지:절식:유두의 절식:수단 만들기 (역사) [3,782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수단== 1) 수단(水團) 만들기(수단방) 6월 15일을 민간에서는 ‘유두절(流頭節)’이라 부른다 【 《고려사(高麗史)<ref>고려사(高麗史) : 144...)
- 2020년 10월 29일 (목) 17:08 정조지:절식:단오의 절식:제호탕 만들기 (역사) [1,764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제호탕== 2) 제호탕(醍醐湯) 만들기(제호탕방) 오매【1근을 두드려 부수어 물 2큰사발이 1큰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 맑게 가라앉힌다. 이때...)
- 2020년 10월 29일 (목) 17:06 정조지:절식:단오의 절식:수릿떡 만들기 (역사) [1,668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수릿떡== 1) 수릿떡[車輪餠] 만들기(차륜병방) 단오(端午)를 민간에서는 ‘수릿날[戌衣日]’이라고 한다. 수리[戌衣]란, 우리나라 말로 수...)
- 2020년 10월 29일 (목) 16:52 정조지:절식:등석의 절식:자두 만들기 (역사) [1,318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자두== 2) 자두(煮豆, 삶은 콩) 만들기(자두방) 검은콩(서리태)에 소금을 넣고 푹 삶는다. 장원(張遠)<ref>장원(張遠) : ?~?. 중국 청나라의 문...)
- 2020년 10월 29일 (목) 16:50 정조지:절식:등석의 절식:느티떡 만들기 (역사) [2,247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느티떡== 1) 느티떡[楡葉餠, 유엽병] 만들기(유엽병방) 4월 8일에는 집집마다 연등을 켜고 손님을 맞이하여, 느티떡, 삶은 콩, 삶은 미나리...)
- 2020년 10월 29일 (목) 16:29 정조지:절식:중삼절의 절식:탕평채 만들기 (역사) [1,233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탕평채== 3) 탕평채(蕩平菜) 만들기(탕평채방) 녹두유(綠豆乳)<ref>녹두유(綠豆乳) : 물에 불린 녹두를 갈아 전대에 담아 짜서 그 물로 쑨...)
- 2020년 10월 29일 (목) 16:23 정조지:절식:중삼절의 절식:향애단자 만들기 (역사) [4,255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향애단자== 2) 향애단자(香艾團餈) 만들기(향애단자방) 《송사(宋史)》<ref>송사(宋史) : 중국 원나라 황제의 명으로 1345년에 완성된 북송...)
- 2020년 10월 29일 (목) 16:05 정조지:절식:중삼절의 절식:진달래지짐이 만들기 (역사) [1,592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진달래지짐이== 1) 진달래지짐이(두견화고) 만들기(두견화고방) 두견화(杜鶰花, 진달래)를 딴 다음 찹쌀가루와 섞어 둥근 떡을 만든 뒤...)
- 2020년 10월 29일 (목) 15:59 정조지:절식:중화절의 절식:송엽병 만들기 (역사) [2,693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송엽병== 1) 송엽병(松葉餠, 솔잎떡) 만들기(송엽병방) 2월 1일에는 송엽협병(松葉夾餠)을 만들어 노비들에게 나이만큼 대접하였다. 민간...)
- 2020년 10월 29일 (목) 15:53 정조지:과줄:포과:송황다식 (역사) [4,95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4) 송황다식(松黃茶食, 송화가루다식) 만들기(송황다식방)</strong><br/> 송화는 피었는가 싶으면 바로 꽃가루가 날려 떨어지...)
- 2020년 10월 29일 (목) 15:32 정조지:절식:정월대보름의 절식:작율 방법 (역사) [2,161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작율 방법== 3) 작율(嚼栗, 밤 깨물기)<ref>작율(嚼栗, 밤 깨물기) : 작절(嚼癤)이라고도 하는데, 작절의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부스럼을...)
- 2020년 10월 29일 (목) 15:13 유상곡수 (역사) [4,44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유상곡수(流觴曲水)</strong>는 구불구불하게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고 산가지 3개를 던져 산가지가...)
- 2020년 10월 29일 (목) 15:09 횃대 (역사) [2,9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의복의 보관 - 횃대(椸)</strong>는 옷을 거는 막대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
- 2020년 10월 29일 (목) 15:02 채상 (역사) [3,03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의복의 보관 - 채상</strong>은 대나무의 겉대 부분을 아주 얇게 쪼갠 뒤 여러 가지 색으로 물들여 비단처럼 만든 대...)
- 2020년 10월 29일 (목) 14:57 옷장 (역사) [3,26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의복의 보관 - 옷장[衣欌]</strong>은 옷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가구이다. 옷장 안에 횃대를 설치하여 긴 옷을 걸어...)
- 2020년 10월 29일 (목) 14:52 옷농 (역사) [3,12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의복의 보관 - 옷농[衣籠]</strong>은 각 층이 분리되는 수납용 가구로, 같은 크기의 궤를 2층이나 3층으로 포개 놓고...)
- 2020년 10월 29일 (목) 14:52 정조지:절식:정월대보름의 절식:원소병 (역사) [76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원소병== 2) 원소병(元宵餠) 찹쌀가루로 설탕과 대추살을 싸서 작고 둥근 덩이를 만든다. 그 모양은 새알과 같다. 이를 설탕물에 데쳐내...)
- 2020년 10월 29일 (목) 14:48 옷 보관법 (역사) [3,42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의복의 보관 - 옷 보관법</strong>은 여러 가지 향을 옷과 함께 넣어두거나 헹구는 물에 넣어 벌레가 생기지 않고 향...)
- 2020년 10월 29일 (목) 14:41 정조지:절식:정월대보름의 절식:잡과반 만들기 (역사) [5,779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잡과반 만들기== 1) 잡과반(雜果飯, 약밥) 만들기(잡과반방) 찹쌀로 밥을 짓고 대추살·곶감·찐밤·잣을 뒤섞은 다음 다시 벌꿀·참기름·...)
- 2020년 10월 29일 (목) 14:39 버들고리 (역사) [3,30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의복의 보관 - 버들고리(柳箱)</strong>는 키버들의 가지를 엮어 상자같이 만든 저장 용기이다. ==Semantic Data== ===Node...)
- 2020년 10월 29일 (목) 14:33 족두리 (역사) [3,66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여자의 복식 - 족두리</strong>는 궁중과 민간에서 폭넓게 사용하던 대표적인 여성의 머리 장식이다.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9일 (목) 14:26 저고리와 치마 (역사) [3,68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여자의 복식 - 저고리와 치마</strong>는 여자들의 가장 기본적인 의복으로, 저고리는 한복 윗옷의 하나이고 치마는...)
- 2020년 10월 29일 (목) 14:21 원삼 (역사) [3,45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여자의 복식 - 원삼</strong>은 비단이나 명주로 지으며 연두색 길에 자주색 깃과 색동 소매를 달고 옆을 튼 여자의...)
- 2020년 10월 29일 (목) 14:14 신 (역사) [3,50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여자의 복식 - 신[鞋]</strong>은 신목이 없는 신으로, 겉은 비단으로 하고 안은 가죽으로 하며, 신코와 발뒤꿈치 쪽...)
- 2020년 10월 29일 (목) 14:07 정조지:절식:입춘의 절식:오신반 만들기 (역사) [4,178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오신반 만들기== 1) 오신반(五辛盤) 만들기(오신반방) 입춘에 오신채(五辛菜)<ref>오신채(五辛菜) : 자극적인 성질이 있는 다섯 종류의 채...)
- 2020년 10월 29일 (목) 14:01 비녀 (역사) [3,51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여자의 복식 - 비녀[釵]</strong>는 여자의 쪽 찐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
- 2020년 10월 29일 (목) 13:56 당의 (역사) [3,30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여자의 복식 - 당의</strong>는 여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한복의 하나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l...)
- 2020년 10월 29일 (목) 13:45 항간 (역사) [3,13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항간(桁竿, 빨래 너는 장대)</strong>은 옷을 널어 햇볕에 말리는 나무이다. ==Semantic Data=...)
- 2020년 10월 29일 (목) 13:39 정조지:절식:설날의 절식:밀양시병 만들기 (역사) [1,92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밀양시병 만들기== 3) 밀양시병(蜜釀柹餠, 수정과의 일종) 만들기(밀양시 병방) 생강은 껍질을 벗기고 잘라서 얇은 편을 만든 다음 후추...)
- 2020년 10월 29일 (목) 13:12 인두 (역사) [2,97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인두</strong>는 바느질할 때 불에 달구어 직물의 구김을 눌러 펴거나 솔기를 꺾어 누르...)
- 2020년 10월 29일 (목) 11:35 상택지:집터살피기:물과 흙:전국의 유명한 샘:한양의 샘 (역사) [3,726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한양은 인가가 조밀하여 우물과 샘에 모두 소금기가 있고 혼탁하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 훈련원(訓練院) 안의 통정(筒井)과 돈의...)
- 2020년 10월 29일 (목) 11:10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곡물을 가루 내는 여러 도구:맷돌 돌리는 방법 (역사) [12,314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중국의 맷돌 돌리는 법(中國轉磨法)''' 밀은 까부른 뒤에 물로 일어 깨끗이 씻는다. 먼지나 때가 깨끗이 없어지면 다시 햇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