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29일 (목) 10:44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일계체 (역사) [1,88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20) 일계체(30칸짜리 쌀서랍)</strong><br/> 내가 《왕정농서》에 나오는 곡갑(穀匣) 제도를 본떠 약간 변통하고자 한다. 나무로...)
- 2020년 10월 29일 (목) 10:38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곡갑 (역사) [3,31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9) 곡갑(穀甲)</strong><br/> 곡갑은 곡물을 담기 위해 네모난 널빤지를 층층이 쌓아 만든 궤짝이다. 널빤지 4장을 서로 맞물리...)
- 2020년 10월 29일 (목) 10:32 빨랫줄 (역사) [2,91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빨랫줄</strong>은 옷을 걸어서 햇볕에 말리는 노끈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 2020년 10월 29일 (목) 10:32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용수 (역사) [1,35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9) 용수(篘)'''<ref>용수의 모양은 아래와 같다.</ref> 섬네일| 대를 짜서 만들고, 모양은 바닥이 있는 죽통 같다....)
- 2020년 10월 29일 (목) 10:30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소래기 (역사) [1,097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8) 소래기'''<ref>현재 전하는 소래기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ref> 섬네일| 물 긷는 동이와 이름은 같고 제도...)
- 2020년 10월 29일 (목) 10:28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나무궤짝 (역사) [1,221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8) 나무궤짝[木櫃]</strong><br/> 두꺼운 널빤지로 길쭉한 직사각형 궤짝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매일 쓰는 식기 외에 부족할 때...)
- 2020년 10월 29일 (목) 10:26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바탱이 (역사) [902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6) 바탱이'''<ref>현재 전하는 바탱이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ref> 모양은 지금 날마다 쓰는 작은 항아리 같지만 이보다 커서 물 5~6두를...)
- 2020년 10월 29일 (목) 10:25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찬장 (역사) [2,16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7) 찬장</strong><br/> 무늬가 아름다운 나무로 만든다. 길이는 1장 정도이고, 너비는 4~5척인데, 3칸이거나 2칸이다. 칸의 앞쪽...)
- 2020년 10월 29일 (목) 10:24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중두리 (역사) [1,217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중두리'''<ref>중두리:독보다 조금 작고 배가 불룩한 그릇.</ref> 독 중에 작은 독을 민간에서 ‘중원이(中圓伊)’【중두리】라...)
- 2020년 10월 29일 (목) 10:22 바늘 (역사) [3,39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바늘[針]</strong>은 옷 따위를 짓거나 꿰매는 데 쓰는, 가늘고 끝이 뾰족한 쇠로 된 물건...)
- 2020년 10월 29일 (목) 10:21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쌀독 (역사) [1,68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5) 쌀독[甔]</strong><br/> 원래 쌀을 저장하는 질그릇이다. 글자는 담(儋)으로 쓰기도 한다.<br/> 한(漢)나라의 양웅(揚雄)이 “1~2...)
- 2020년 10월 29일 (목) 10:19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바구니 (역사) [1,92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4) 바구니[籃]</strong><br/> 람(籃)은 대그릇이다. 끈이 없는 그릇은 광(筐), 끈이 있는 그릇은 람인데, 크기는 한말들이와 같다....)
- 2020년 10월 29일 (목) 10:15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광거 (역사) [1,99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3) 광거(筐筥, 대바구니)</strong><br/> 네모난 그릇은 광(筐)이라 하고 둥근 그릇은 거(莒)라 하는데<ref>네모난……하는데:《毛...)
- 2020년 10월 29일 (목) 10:13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죽상자 (역사) [943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2) 죽상자</strong><br/> 죽상자는 대오리로 엮어 만드는데, 네모나거나 둥글다. 그 뚜껑은 바닥까지 덮어 땅에 닿거나 윗머리...)
- 2020년 10월 29일 (목) 10:08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단지 (역사) [2,18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8) 단지</strong><br/> 단지에는 질단지도 있고, 사기단지도 있고, 오지단지도 있으며, 크기와 모양 및 만드는 방법이 일정하지...)
- 2020년 10월 29일 (목) 10:01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병 (역사) [3,54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7) 병</strong><br/> 질병은 곳곳의 도요(陶窯)에서 생산되고, 사기병은 광주(廣州)의 관요(官窯)에서 생산되며, 오지병<ref>오지...)
- 2020년 10월 29일 (목) 09:53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놋합 (역사) [1,47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6) 놋합</strong><br/> 놋합의 제도는 목합과 같고 그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점도 같다. 대개 사기합에는 밀전과(蜜煎果)<ref>밀전...)
- 2020년 10월 29일 (목) 09:50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목합 (역사) [1,128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5) 목합<ref>목합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br/> 200픽셀|섬네일|목합(국립민속박물관)|왼쪽 <br/...)
- 2020년 10월 29일 (목) 09:49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독 (역사) [12,873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독''' 질그릇 중 가장 큰 그릇으로, 또한 날마다 쓰는 가장 필요한 물건이다.<ref>질그릇……물건이다:독의 모양은 지역마다...)
- 2020년 10월 29일 (목) 09:46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사기합 (역사) [1,326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4) 사기합(사기찬합)</strong><br/> 일본에서 만든 합이 좋다. 가요문(哥窯紋)을 만들어 금물로 칠보(七寶)를 그리거나, 아름다운...)
- 2020년 10월 29일 (목) 09:43 다리미 (역사) [3,38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다리미</strong>는 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을 펴주는 도구이다. ==Seman...)
- 2020년 10월 29일 (목) 09:43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죽합 (역사) [760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3) 죽합(대나무합) </strong><br/> 대나무를 쪼개어 나란히 붙여 담장(옆면)을 만들고 뚜껑도 이와 같이 만든다. 반죽(斑竹)으로...)
- 2020년 10월 29일 (목) 09:38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등합 (역사) [1,97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2) 등합(등나무합)</strong><br/> 얇은 나무판으로 토대를 만들고, 위에 등나무오리[藤絲]로 2칸이나 3칸으로 짠 것은 중국에서...)
- 2020년 10월 29일 (목) 09:33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여러 저장 용기:찬합 (역사) [1,32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 찬합</strong><br/> 일본에서 만든 찬합이 좋다. 그 제도는 일정하지 않다. 네모나거나, 둥글거나, 꽃잎 모양으로 만들기도 하...)
- 2020년 10월 29일 (목) 09:31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 (역사) [3,64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다듬잇돌과 다듬잇방망이</strong>는 옷감을 두드려 다듬는 도구이다. ==Semantic Data== ===...)
- 2020년 10월 29일 (목) 09:18 섬용지:불로 요리하는 도구:양조하는 데 쓰는 여러 도구:고내기 (역사) [5,349 바이트] 김현진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7)고내기'''<ref>고내기:그릇의 하나로, 자배기(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넓게 벌어진 그릇)보다 운두가 높고 아가리가 넓다.</ref>...)
- 2020년 10월 29일 (목) 09:16 골무 (역사) [3,19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골무</strong>는 바느질할 때 바늘을 눌러 밀어 넣기 위하여 검지에 끼우는 재봉 용구이...)
- 2020년 10월 29일 (목) 09:06 가위 (역사) [3,10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 - 가위</strong>는 직물이나 종이, 머리털 따위를 자르는 기구이다. ==Semantic Data== ===Node De...)
- 2020년 10월 28일 (수) 22:05 부인교 (역사) [3,24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부인교</strong>는 주로 여성들이 타는 가마를 가리켜 말한다.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
- 2020년 10월 28일 (수) 21:58 이차 (역사) [3,61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이차(쟁기수레)</strong>는 앞 끌채는 낮고 뒷 끌채는 높은 모양의 수레이다. 그 모습이 밭가는 쟁기[犁...)
- 2020년 10월 28일 (수) 21:05 말 타는 도구 (역사) [4,96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말 타는 도구</strong>는 말을 탈 때 사용하는 도구, 즉 안장, 안장걸이, 채찍, 말솔, 도둔에 대한 설명이...)
- 2020년 10월 28일 (수) 18:29 사향 (역사) [5,289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사향(麝香)</strong>은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선(麝香腺, 생식샘) 안에 들어 있는 분비물.<br/> 몸의 막힌...)
- 2020년 10월 28일 (수) 18:24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료:사향 (역사) [5,332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4-2) 사향(麝香)</strong><br/> 도홍경(陶弘景)<ref>도홍경(陶弘景):456~536.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 송(宋)나라의 의학자. 자는...)
- 2020년 10월 28일 (수) 17:58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료:침수향 (역사) [6,91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4-3) 침수향(沈水香))</strong><br/> 소송(蘇頌)<ref>소송(蘇頌):1019~1101. 중국 송나라의 관료이자 의학자. 자(字)는 자용(子容). 우...)
- 2020년 10월 28일 (수) 17:47 탕관 (역사) [2,98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탕관</strong>은 목욕물을 끓이는 도구로 몸통 한가운데 있는 관에 숯을 넣어 물을 끓인다. ==Se...)
- 2020년 10월 28일 (수) 17:43 질그릇대야 (역사) [3,12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질그릇대야</strong>는 흙으로 빚어 500~1000℃ 이하에서 구워 만든 대야이다. ==Semantic Data== ===No...)
- 2020년 10월 28일 (수) 17:37 조두합 (역사) [3,21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조두합(가루비누합)</strong>은 가루비누와 양칫소금을 담는 상자로, 나무나 대나무, 유랍 등으...)
- 2020년 10월 28일 (수) 17:31 정조지:절식:설날의 절식:강정 만들기 (역사) [2,277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강정 만들기== 2) 강정(𩝽飣) 만들기(강정방) 설날 이후에 세배하러 오는 손님이 있으면 반드 시 술상을 봐서 대접하는데, 이를 ‘세찬(...)
- 2020년 10월 28일 (수) 17:30 유황이 (역사) [3,05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유황이(뒷물용 유황대야)</strong>유황을 담아 좌욕을 하는 대야로 놋쇠나 나무, 질그릇으로 만...)
- 2020년 10월 28일 (수) 17:26 양칫물사발 (역사) [2,93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양칫물사발[漱水碗]</strong>은 양칫물을 담아 두는 그릇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 2020년 10월 28일 (수) 17:23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수 (역사) [4,914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4) 향수(香獸)<ref>향수(香獸):향수는 일반적으로 향로 뚜껑이 동물 모양으로 장식된 향로를 말한다. 다만 여기에서는 동물...)
- 2020년 10월 28일 (수) 17:22 수건 (역사) [2,98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수건</strong>은 몸의 물기를 닦는 헝겁으로 아롱베, 모시 등으로 만든다. ==Semantic Data== ===Node...)
- 2020년 10월 28일 (수) 17:18 세숫대야깔개 (역사) [3,00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세숫대야깔개[頮盆藉]</strong>는 세숫대야 밑에 까는 깔개로, 소가죽과 칡베로 만든다. ==Semant...)
- 2020년 10월 28일 (수) 17:11 세수치마 (역사) [2,96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세수치마[盥裳]</strong>는 세수할 때 물이 튀어 옷이 젖지 않게 앞에 두르는 도구이다. ==Semanti...)
- 2020년 10월 28일 (수) 17:09 정조지:절식:설날의 절식:떡국 만들기 (역사) [3,987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떡국 만들기== 1) 떡국[湯餠, 탕병] 만들기(탕병방) 멥쌀떡을 주물러서 가락으로 만든 뒤 적당하게 굳어지면 동전모양으로 가로로 자르...)
- 2020년 10월 28일 (수) 17:06 사기대야 (역사) [3,31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사기대야</strong>는 흙으로 빚어 만든 대야를 말한다. 시대별 도자기의 특성과 맞물려 고려시...)
- 2020년 10월 28일 (수) 17:00 목욕통 (역사) [3,03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목욕통[浴盆]</strong>은 목욕을 하는 통으로, 나무를 파내고 법제들기름, 석록, 석간주 등을 바...)
- 2020년 10월 28일 (수) 16:54 놋대야 (역사) [3,52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놋대야</strong>는 놋쇠로 만든 대야이다. 대야는 물을 담아서 얼굴과 손발을 씻는 둥글넓적하...)
- 2020년 10월 28일 (수) 16:52 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전 (역사) [1,975 바이트] 김용미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13) 향전(香篆)<ref>향전(香篆):전서(篆書) 형태의 틀에 찍어 만든 향. 절에서 시간을 재기 위하여 쓰였는데 후에는 부처 앞에...)
- 2020년 10월 28일 (수) 16:49 나무대야 (역사) [3,24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 씻는 여러 도구 - 나무대야</strong>는 나무를 깎은 다음, 석간주(石間朱)에 법제들기름[法製油]을 섞어 바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