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향수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4) 향수(香獸)[1] 만드는 법

향수(香獸)는 사자·기린·오리의 모형에 도금하여 만든다. 향수의 빈 부분에 향을 피워 연기가 입을 통해 나오게 하니, 완상(玩賞)하고 애호할 만한 물건이다. 또 나무로 조각하거나 흙으로 모형틀을 만든 향수도 있다. 《향보》[2][3]

금사자나 옥토끼 모양의 향을 만드는 방법
삼나무 태운 숯 6냥(兩)에 밤나무숯 4냥을 배합한 뒤, 찧어서 가루를 낸다. 여기에 염초(焰硝)[4] 1돈을 더한다음 쌀풀을 섞어서 숯 반죽을 만든다. 먼저 나무에다 사자와 토끼 모형틀을 2개 깎는데, 둥그스름하게 깎아 이 짐승 모양을 닮게 한다. 만드는 법은 먹을 틀로 찍어 내는 법과 같고, 크기는 임의대로 한다. 짐승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비스듬히 파고드는 작은 구멍 1개를 뚫고, 짐승 모형의 머리는 위로 쳐들게 하고, 꼬리는 밑으로 내리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숯 반죽 절반 분량을 모형틀 안에 넣고, 가운데 부분을 오목하게 만들어, 향제(香劑) 1단을 넣은 다음 다시 숯 반죽을 더하여 완전히 다지고, 철사로 만든 침으로 구멍을 뚫는다. 구멍을 뚫을 때는 짐승 입 한가운데부터 찔러 들어가, 꼬리 부분에 가까워지면 멈추고, 이를 세우고 햇볕에 쬐어 말린다. 사자는 관분(官粉)[5]을 몸체에 골고루 펴 바르고, 위의 덮개는 먹으로 검게 칠한다. 토끼는 몹시 고운 운모(雲母)[6]가루를 섞은 아교 반죽을 고루 바르는데, 덮개부분은 또한 먹으로 칠한다. 두 짐승들은 모두 검은 먹을 칠하였고, 내부는 황색과 백색의 2가지 색깔로 나누어져 있다.
1매(枚)를 사용할 때마다, 꼬리 부분을 등불 가까이에 대어 불을 피우고, 향로 안에 놓아두면, 입안에서 향연기가 분출되고, 꼬리부분부터 차츰차츰색깔과 모양이 변한다. 금사자는 꼬리부분부터 황색을 띠며 타오르는데, 향이 모두 타면 형태가 마치 금으로 단장한 듯하고, 향로 속에 웅크리고 있는 모습이 한 달이 지나도 어그러지지 않지만, 건들면 재로 부서져 버린다. 옥토끼는 모양이 여실하면서도 은빛을 띠어 아주 볼 만하다. 비록 매우 우아하지는 않지만, 또한 그윽하게 감상할 만하다.
그 안에 넣는 향료의 질은 쓰는 사람의 취향에 달려 있다. 더러는 항상 사용하는 인향방(印香方)<><> 대로 재료를 마련하고, 유면(楡麪)[7]을 섞어서 향제(香劑)를 만든 다음 이를 비벼서 새끼손가락만 한 거친 단(段)을 만드는데, 길이는 0.08~0.09척 정도로, 짐승의 복부 크기에 따라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 다만 향이 짐승모양의 숯 반죽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해야 좋다. 《준생팔전》[8][9]

각주

  1. 향수(香獸):향수는 일반적으로 향로 뚜껑이 동물 모양으로 장식된 향로를 말한다. 다만 여기에서는 동물 모양으로 만들어진 향을 지칭하기도 한다.
  2. 《香譜》 卷下 〈香之事〉 “水浮香”(《叢書集成初編》1481, 22쪽).
  3.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83쪽.
  4. 염초(焰硝):초석(硝石, 질산칼륨)을 한 번 구워서 만든 약재(藥材)로, 유리 광택이 있으며 투명하다. 물에 쉽게 녹고 쓴맛을 가지며, 목탄 위에서는 튀면서 탄다.
  5. 관분(官粉):화장(化裝)용 백분(白粉)이다.
  6. 운모(雲母):층상구조형(層狀構造型)의 규산염(珪酸鹽) 광물이다. 표면은 반들반들하고 광이 나면서 매끄럽고 유리 모양 또는 진주 모양의 광택이 난다. 손톱으로 긁으면 흔적이 생긴다. 박편은 가볍고 질은 질기며 탄성이 있어 구부려도 절로 펴지며 절단하기 어렵다.
  7. 유면(楡麪):느릅나무껍질을 갈고 빻아서 낸 가루.
  8. 《遵生八牋》 卷15 〈燕閒淸賞牋〉 中 “論香” ‘香方’(《遵生八牋校注》, 600쪽).
  9.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383~385쪽. (풍석문화재단,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