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이해하는 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orea100
(→한국인의 종교 Koreans' Religions) |
(→조선의 궁중 문화)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Eng Article| | ||
+ | |Article=Understanding Korea through Culture | ||
+ | }} | ||
− | ==의식주의 전통 | + | =='''의식주의 전통'''== |
− | * [[한복]] | + | * [[한복, 다시 한국인의 생활속으로]] |
− | * [[한식]] | + | * [[한식, 한국인의 음식문화]] |
− | * [[한옥]] | + | * [[한옥, 한국의 전통 건축]] |
− | ==한국의 전통 예술 | + | =='''한국의 전통 예술'''== |
− | * [[국악]] | + | * [[국악, 한국의 전통 음악]] |
− | * [[회화]] | + | * [[한국의 회화]] |
− | * [[도예]] | + | * [[한국의 도예 문화]] |
− | ==문식(文識) | + | =='''문식(文識)'''== |
− | * [[한글]] | + | * [[애민 정신이 담긴 글자, 한글]] |
− | * [[한국의 인쇄 문화]] | + | * [[한국의 인쇄 문화]] |
− | ==무예와 기술 | + | =='''무예와 기술'''== |
− | * [[한국의 전통 무예]] | + | * [[태권도 종주국 한국의 전통 무예]] |
− | * [[ | + | * [[최무선의 화약 개발, 나라를 구하다]] |
− | ==한국의 교육 문화 | + | =='''한국의 교육 문화'''== |
− | * [[ | + | * [[전통 시대부터 축적된 교육에 대한 의지]] |
− | * [[ | + | * [[초기 선교사와 미션계 학교가 한국 근대교육에 미친 영향]] |
− | * [[ | + | * [[현대 한국교육의 현실, 그리고 나아갈 길]] |
− | ==한국인의 종교 | + | =='''한국인의 종교'''== |
− | * [[유교]] | + | * [[한국의 유교]] |
− | * [[불교]] | + | * [[한국의 불교]] |
− | * [[기독교]] | + | * [[한국의 기독교]] |
− | * [[민간신앙]] | + | * [[민중과 함께 해온 민간신앙]] |
− | ==조선의 궁중 문화 | + | =='''조선의 궁중 문화'''== |
− | * [[궁궐]] | + | * [[조선의 왕조사가 고스란히 담긴 5대 궁궐]] |
− | * [[의궤]] | + | * [[궁중의 문화와 예법의 기록, 의궤]] |
− | * [[왕릉]] | + | *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조선 왕릉]] |
− | * [[조선왕조실록]] | + | *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 연구의 기본 자료, 조선왕조실록]] |
− | * [[종묘제례]] | + | * [[종묘 제례악과 함께 예술이 된 종묘제례]] |
− | ==현대 한국의 새로운 모습 | + | =='''현대 한국의 새로운 모습'''== |
− | * [[ | + | *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
* [[다문화사회 외국인 거주자 2백만 시대]] | * [[다문화사회 외국인 거주자 2백만 시대]] | ||
* [[스마트폰과 인터넷]] | * [[스마트폰과 인터넷]] | ||
− | * [[ | + | * [[고령화 사회로 변모하는 한국사회]] |
− | * [[ | + | * [[2000년 된 문화와 전통의 서울, 미래로 향하다]] |
− | * [[인구변동과 | + | * [[인구변동과 도시집중화]] |
[[분류:문화로 이해하는 한국]] | [[분류:문화로 이해하는 한국]] |
2018년 1월 10일 (수) 11:22 기준 최신판
의식주의 전통
한국의 전통 예술
문식(文識)
무예와 기술
한국의 교육 문화
한국인의 종교
조선의 궁중 문화
- 조선의 왕조사가 고스란히 담긴 5대 궁궐
- 궁중의 문화와 예법의 기록, 의궤
-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조선 왕릉
-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 연구의 기본 자료, 조선왕조실록
- 종묘 제례악과 함께 예술이 된 종묘제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