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한국의 전통 음악

Korea100
이동: 둘러보기, 검색
Eng icon.JPG


국악, 한국의 전통 음악

국악은 한국의 전통음악이다. 크게는 조선왕조의 궁중에서 각종 의례에 쓰였던 아악당악, 속악 등을 포함한 정악과 민속음악으로 나뉜다.

유가에서는 음악을 인간의 도덕적 교화, 즉 미적 체험을 통해 도덕감을 고양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겼다. 유교를 국가경영의 원리로 삼았던 조선왕조는 왕실이 앞장서서 궁중음악을 장려했다. 한글을 창제하여 한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세종대왕은 아악을 집대성한 왕이기도 했다.

고려왕조 때 송나라에서 들여온 아악은 주로 왕실의 의례와 공자를 모시는 성균관의 제례에서 연주되었다. 이 음악의 발상지인 중국에서는 자취를 찾아볼 수 없이 사라졌고 한국에만 남아 있다. 아악보다 먼저 들어 온 당악은 주로 궁중의 조회와 연회에 쓰였다.

향악(鄕樂)당악이 들어오기 이전 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내려오는 한국 고유의 음악을 말한다. 당악곡은 6음계로 되어 있고, 향악곡은 5음계로 되어 있다. 향악곡으로 오래된 음악은 정읍(수제천), 동동, 종묘제향악의 향악계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민속음악은 민중의 기층사회에서 형성되고 애호된 음악으로 과거 상층사회에서 애호되던 정악(正樂)에 대한 대칭적인 개념의 전통음악이다. 민요는 본래 민중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불려온 것으로 각 지방마다 특색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경기민요·서도민요·남도민요로 가른다. 잡가는 소리꾼들이 부르던 통절형식(通節形式)의 긴 노래인데, 특히 경기도와 서도에서는 방안에 앉아 부른다고 하여 좌창(坐唱)이라고도 하며, 경기잡가·서도잡가·남도잡가로 나누어진다. 잡가와 음악형식이 비슷하면서도 야외에서 부르는 노래는 선소리 또는 입창(立唱)이라고 하며, 사설이 산을 주제로 하였기 때문에 산타령이라고도 한다. 경기산타령과 서도산타령이 있으며, 남도의 입창은 산타령이라 하지 않고, 화초사거리라 한다.

판소리는 소리꾼 한 명과 고수 한 명이 이야기를 음악으로 구연하는 장르이다. 표현력이 풍부한 창(노래)과 아니리(말), 사설과 너름새(몸짓) 등으로 엮어진다. 최장 8시간 동안 연행되기도 한다. 판소리를 듣는 청중은 구연 중 흥겨울 때 추임새를 넣어 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서민들 사이에 구전으로 전해오던 판소리는 19세기 말께 문학적으로 내용이 더욱 풍부해져서 도시의 지식인들 사이에서도 높은 인기를 누리게 되었다. 판소리 소리꾼은 다양하고 독특한 음색을 터득하고 복잡한 내용을 모두 암기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수련과정을 거쳐야 한다. 현재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의 다섯마당이 있으며, 판소리는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판소리를 하기 전에 짧게 부르는 단가(短歌)는 서정적인 노래로, 유명한 것만도 수십 가지가 된다.

한편, 병창(竝唱)판소리 중 어느 대목이나 단가를 창자 자신의 가야금 반주로 부르는 소리형식이다. 한 공연자가 반주와 노래를 함께 하므로 지금도 인기가 높다. 산조(散調)는 남도악의 기악독주곡의 형식으로, 가야금, 거문고, 대금으로 많이 연주되며, 아쟁, 피리, 단소, 퉁소, 호적 등으로도 연주된다.

무용음악에는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염불·타령·굿거리 등과 즉흥합주곡인 시나위가 있다. 농악(農樂)무악(巫樂)은 일반인들의 생활과 가장 밀착된 음악이다. 농악은 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와 영동의 농악이 유명하다. 무악은 각종 의식에서 무당이 부르는 무가와 잽이들이 연주하는 반주음악을 말한다. 범패(梵唄)는 사찰에서 재를 올릴 때 부르는 성악으로 엄밀한 의미에서 민중이 즐겨온 음악은 아니지만, 편의상 민속악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국악의 대표적인 악기 편성은 3현6각이다. 향피리 2, 젓대 1, 해금 1, 북 1, 장구 1로 구성된다. 때에 따라서 나발 2, 피리 2, 태평소 2의 편성도 삼현육각이다. 이런 편성을 육잡이 또는 육잽이라고 부른다. 무용·민속극·행악의 기본 악기편성이 삼현육각이다.

현대의 글로벌한 문화 환경 속에서 일반인들이 전통음악을 접하는 기회는 줄어들고 있지만 국악의 보존과 현대화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 창작국악과 다양한 형태의 연주가 국악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동영상

평등하지 않던 세상의 분출구, 탈춤과 가면놀이(문화유산채널)
종묘제례악 중 전폐희문(국악방송)
종묘제례악 (Jongmyo Jeryeak)'전폐희문·기명·역성·소무·독경·영관'(국립국악원)

관련항목

참고문헌

  • 국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싶다면...
김영운, 『국악개론』, 음악세계, 2015.
이성재, 『재미있는 우리 국악 이야기』, 서해문집, 2006.
이주항, 『처음 만나는 우리의 소리 국악은 젊다』, 예경, 2015.
박혜정,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 민속원, 2012.


『국악개론』은 국악이론의 입문서로서 교육용 교재이지만 기존 이론을 서설하기보다 저자의 시각을 담아내었다. 이론 설명에 앞서 ‘국악’, ‘한국음악’, ‘전통음악’에 대해 사회, 역사, 문화라는 맥락 안에서 해석하며 각각의 용어에 접근한다. 또한 음악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음악과 관계된 다양한 맥락을 통해 이 음악이 왜,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설명하여 이해를 돕는다.

『재미있는 우리 국악 이야기』는 광활한 국악의 세계로 안내하는 책이다. 다양하고 섬세한 우리 음악의 모습을 전해주기 위해 국악의 요모조모를 깊이 있게 담아내고 있다. 국악이 어떠한 음악인지 막연하기만 한 사람들에게 우리 음악의 세계를 친절하게 소개한다. 이 책은 쉽고 재미있는 국악 개론서이다. 우리 음악을 크게 나누어, 정악에서 민속악까지 갈래마다 체계적인 이론은 물론,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함께 담았다.

『처음 만나는 우리의 소리 국악은 젊다』는 국악의 다양한 요소들을 일상에서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1부는 저자 자신의 실제 경험이 밑바탕이 되었다. 공연장에 초대한 친구가 《수제천》을 듣고 왜 국악은 지휘자가 없느냐고 아쉬워한 대목, 어린 시절 국악 악보의 한자를 보고 국악을 포기하려했던 저자의 웃지 못할 사연, 판소리 완창에 얽힌 사연, 퓨전 국악의 문제 등은 국악 초보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입문 과정의 에피소드다. 또한, 서양음악과 국악의 음률 차이와 합주 문제,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상징되는 국악 고유의 교육법, 국악과 태교의 상관관계 실험 등은 국악 이론을 실생활 속에서 구현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국악과 세시풍속, 춘하추동』은 전통음악을 우리나라 세시풍속과 연결지어 계절별로 알아보는 책이다. 각 계절의 민족행사나 명절에 행하는 의식과 관련된 국악곡을 발췌하여 의식과 음악의 상관성을 이야기한다. 국악을 통해 선조들의 음악철학을 들여다보고, 서구음악에 자리를 내어줄 수밖에 없었던 우리 국악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 국악과 방송과의 관계가 궁금하다면...
유은선, 『라듸오 국악방송사』, 민속원, 2017.


『라듸오 국악방송사』는 국악이 언제부터, 왜, 방송에서 소외되었던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국가의 중요한 행사나 세계에 전통문화를 소개할 기회에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만 일상의 중심에 있는 방송에서는 그렇지 않은 음악. 올해 90년의 역사를 갖게 되는 한국방송사에서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는, 그렇기에 더욱 중요한 방송에서의 국악 레퍼토리와 연주자를 살펴보았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듣고 있는 레퍼토리, 알고 있는 연주자가 방송에 소개된 내용의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본 조사는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방송이 시작된 해는 1917년이다. 그 중 방송에서 국악곡이 가장 활발하게 소개되었다는 일제강점기 1935~1938년까지의 시기와 해방 직후 미군정 시기에 소개된 국악 곡과 활동했던 국악인들의 수효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어떤 곡들이 어느 명인 명창에 의해서 소개되었는지 이 책속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