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승탑비문관= | =승탑비문관= | ||
[[탑비|탑비(塔碑)]]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이 비에 새겨진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고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함으로써,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웠던 한국 불교사의 다양한 면모를 보다 넓고 자세히 조망할 수 있게 했습니다. 탑비의 내용을 들여다 보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비의 주인인 승려의 행적에 관련된 역사적 사건, 역사적 인물, 그의 자취가 남은 다양한 문화유적을 연결함으로써 그가 살았던 시대의 불교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식 관계망을 구현하였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승탑비 48기를 중심으로 500여 개의 지식 노드(탑비 48기, 사찰 및 사지 113개소, 승려 103명, 관련 인물 68명, 관련 문화유산 95건, 관련 문헌 14건, 개념용어 51건 등)를 추출하고, 각각의 노드에 대한 해설과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 자료를 수록하였습니다. | [[탑비|탑비(塔碑)]]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이 비에 새겨진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고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함으로써,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웠던 한국 불교사의 다양한 면모를 보다 넓고 자세히 조망할 수 있게 했습니다. 탑비의 내용을 들여다 보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비의 주인인 승려의 행적에 관련된 역사적 사건, 역사적 인물, 그의 자취가 남은 다양한 문화유적을 연결함으로써 그가 살았던 시대의 불교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식 관계망을 구현하였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승탑비 48기를 중심으로 500여 개의 지식 노드(탑비 48기, 사찰 및 사지 113개소, 승려 103명, 관련 인물 68명, 관련 문화유산 95건, 관련 문헌 14건, 개념용어 51건 등)를 추출하고, 각각의 노드에 대한 해설과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 자료를 수록하였습니다. |
2017년 11월 28일 (화) 20:56 판
승탑비문관
탑비(塔碑)는 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碑)로서, 이 비에 새겨진 금석문을 통해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탑비를 중심으로 그것과 관련된 여러 지식 노드를 추출하고 서로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구성함으로써, 단일 비문을 읽으면서 곧바로 살피기 어려웠던 한국 불교사의 다양한 면모를 보다 넓고 자세히 조망할 수 있게 했습니다. 탑비의 내용을 들여다 보는 것에서 출발하여, 그 비의 주인인 승려의 행적에 관련된 역사적 사건, 역사적 인물, 그의 자취가 남은 다양한 문화유적을 연결함으로써 그가 살았던 시대의 불교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식 관계망을 구현하였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승탑비 48기를 중심으로 500여 개의 지식 노드(탑비 48기, 사찰 및 사지 113개소, 승려 103명, 관련 인물 68명, 관련 문화유산 95건, 관련 문헌 14건, 개념용어 51건 등)를 추출하고, 각각의 노드에 대한 해설과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 자료를 수록하였습니다.
지식관계망 예시
승탑비문 가상 기록관
기획기사
이미지 | 기사 제목 | 관련항목 |
---|---|---|
당 법장이 신라 의상에게 | 의상, 지엄, 법장, 영주 부석사, 양양 낙산사, 화엄경탐현기, 삼국유사 | |
일본 엔닌이 신라 장보고에게 | 장보고, 엔닌, 적산 법화원, 회창폐불, 입당구법순례행기,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 |
고려 의천이 송 정원에게 | 의천, 정원,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칠곡 선봉사, 교장, 교장도감,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
지눌이 요세에게 | 지눌, 요세, 권수정혜결사문, 백련사, 수선사 | |
고려 혜심이 최우에게 | 혜심, 최우, 지눌, 수선사, 순천 송광사, 팔만대장경 | |
고려 태고가 원 석옥에게 | 보우(고려), 청공, 고려 공민왕, 태고화상어록,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
인도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 지공, 혜근, 자초, 양주 회암사, 밀양 영원사, 여주 신륵사, 여주 신륵사 조사당,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 무학대사비,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 나옹선사부도 및 석등,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 문경 대승사 묘적암 나옹화상 영정, 나옹화상어록, 나옹화상가송 | |
조선 세조가 신미에게 | 신미, 조선 세조, 조선 세종, 김수온, 용비어천가, 월인석보, 합천 해인사,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
조선 보우가 사미 경종에게 | 보우(조선), 문정왕후, 휴정, 유정, 양주 회암사, 춘천 청평사 | |
조선 정관이 사명당에게 | 유정, 휴정, 일선, 조선 선조, 이순신, 권율, 고성 유점사, 평양성, 합천 해인사,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
일본 일요가 조선의 아버지에게 | 일요, 가토 기요마사, 유정 | |
조선 무용이 스승 성총에게 | 수연, 성총, 순천 송광사, 순천 선암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