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공간(9)) |
(→기관(9)) |
||
683번째 줄: | 683번째 줄: | ||
* [[희준개구]](犧尊蓋具) | * [[희준개구]](犧尊蓋具) | ||
− | ==기관( | + | ==기관(11)== |
* [[가례도감]] | * [[가례도감]] | ||
− | |||
* [[국장도감]] | * [[국장도감]] | ||
* [[기로소]] | * [[기로소]] | ||
* [[부묘도감]] | * [[부묘도감]] | ||
+ | * [[빈전도감]] | ||
* [[사옹원]] | * [[사옹원]] | ||
+ | * [[산릉도감]] | ||
* [[상의원]] | * [[상의원]] | ||
* [[장례원]] | * [[장례원]] | ||
+ | * [[책례도감]] | ||
* [[한성부]] | * [[한성부]] | ||
2017년 3월 20일 (월) 02:25 판
목차
궁중기록화관
궁중기록화는 조선 왕실에서 거행된 혼례, 진하, 책봉, 능행, 대사례 등의 국가행사 및 의례를 기록한 그림으로, 의궤에 실린 반차도와 궁중행사도를 포함한다. 궁중기록화에 그려진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당시의 행사 장면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관련된 문헌기록을 함께 참고할 경우, 작품의 제작 주체 및 시기 또한 밝힐 수 있다. 특히 의궤의 기록은 행사의 준비·진행 절차, 참여 인물, 참여자들이 입었던 복식과 당시 사용된 물목 등 행사 전모에 대한 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궁중기록화 각각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정리하고 그것들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를 정의하여 나타낼 경우, 왕실문화에 관한 풍부한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본 과제는 20여 건의 궁중기록화를 대상으로 하여, 대략 500여 건의 지식노드(행사/의례 30여 건, 공간 50여 건, 인물 정보 100여 건, 문헌 50여 건, 물품 250여 건 이상)를 발굴하고, 각 지식 노드 간의 유의미한 관계성을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펼쳐 보이고자 한다.
데이터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회화/문헌 목록
ID | 구분 | 자료명 | 권수(반차도) | 제작연도 | 소장처 | 주제분류 |
---|---|---|---|---|---|---|
P001 | 궁중행사도 | 경이물훼(敬而勿毁) | 1첩 | 1767(19세기 모사본)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립문화재연구소 |
연회 |
P002 | 궁중행사도 |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 | 1첩 | 1744 | 국립중앙박물관 | |
P004 | 궁중행사도 |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 | 1첩? | 1897년~1930년대 사이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 |
P005 | 궁중행사도 |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 8폭 병풍 | 1848 | 국립중앙박물관 | |
P006 | 궁중행사도 | 문효세자책례계병(文孝世子冊禮契屛) | 8폭 병풍 | 1784 | 서울대학교 박물관 | |
P007 | 궁중행사도 | 사직단 국왕친향도 병풍(社稷壇國王親享圖屛風) | 8폭 병풍 | 19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 |
P009 | 궁중행사도 | 수교도(受敎圖) | 1첩 | 19세기 | 국립문화재연구소 | |
P011 | 궁중행사도 | 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 8폭 병풍 | 19세기 후반 | 국립고궁박물관 | |
P015 | 궁중행사도 | 화성능행도병(華城陵行圖屛) | 8폭 병풍 | 1795 | 국립중앙박물관 | |
P016 | 궁중행사도 | (효명세자)왕세자입학도((孝明世子))王世子入學圖) | 1첩 | 1817 | 국립문화재연구소 외 | |
P018 | 반차도 |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2책(上 32면) | 1725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국장 |
P019 | 반차도 |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 1책(12면) | 1696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가례 |
P021 | 반차도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 1책(12면) | 1690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책례 |
P022 | 반차도 |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 34면 | 1898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P024 | 반차도 | 고종태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高宗太皇帝殯殿魂殿主監儀軌) | 2책 | 1919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흉례 / 빈전혼전 |
P026 | 반차도 | 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 2책(上 20면) | 1718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국장 |
P028 | 반차도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1책 | 1743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군례 |
P029 | 반차도 |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明聖王后祔廟都監儀軌) | 1책(20면) | 1686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부묘 |
P030 | 반차도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1책(12면) | 1784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책례 |
P032 | 반차도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 | 2책(上 12면) | 1744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가례 |
P033 | 반차도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2책(上 46면) | 1731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국장 |
P036 | 반차도 |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 1책 | 1901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립고궁박물관 |
가례 / 책례 |
P039 | 반차도 |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4책(2책 64면) | 1835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국장 |
P041 | 반차도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 2책(下 50면) | 1759 | 규장각한국학연구원(분상용)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가례 |
P043 | 반차도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2책(上 28면 | 1752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예장 |
P047 | 반차도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2책(上 26면) | 1702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국장 |
P048 | 반차도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40면 | 1800 | 규장각한국학연구원(분상용) | 흉례 / 국장 |
P051 | 반차도 |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 | 1책 | 1630 | 국립중앙박물관 | 가례 / 연향 |
P052 | 반차도 |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憲宗孝顯王后嘉禮都監儀軌) | 2책(下 68면) | 1837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가례 |
P055 | 반차도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3책(2책 40면) | 1821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흉례 / 국장 |
P056 | 반차도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 2책(下 12면) | 1727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가례 |
P057 | 반차도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 2책(下 10면) | 1725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 가례 / 책례 |
P058 | . | 정미가례시일기(丁未嘉禮時日記) | 1책 | 172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가례 / 가례 |
노드
- 의례 32건
- 공간 8건
- 인물 35건
- 문헌 23건
- 회화 13건
- 복식 100건
- 물품 190건
- 기관 4건
- 소장처 23건
의례(33)
의례명 | 의례과정 | |
---|---|---|
입학례 | 출궁의(出宮儀) | |
입학의 | 작헌의(爵獻儀) 왕복의(往復儀) 수폐의(脩幣儀) 입학의(入學儀) | |
수하의(受賀儀) | ||
책례 | 추가예정 | |
관례 | 초가(初加) 재가(再加) 삼가(三加) | |
혼례 | 납채(納采) 문명(問名) 납길(納吉) 납징(納徵) 청기(請期) 친영(親迎) | |
대사례 | 추가예정 | |
상례 | 복(復) 초혼(招魂) 목욕(沐浴) 습(襲) 소렴(小斂) 대렴(大斂) 납관(納棺) 빈(殯) 성복(成服) | |
연향례 | 추가예정 | |
제례 | 추가예정 | |
대례 | 추가예정 |
공간(10)
인물(27)
왕 | 왕비 | 왕세자 | 후궁 | 백관 |
---|---|---|---|---|
경종 | 단경왕후 | 문효세자 | 경빈 김씨 | 허목 |
고종 | 단의왕후 | 의소세자 | 수빈 박씨 | |
숙종 | 명성황후 | 장조 | ||
순조 | 선의왕후 | 문조 | ||
영조 | 순원왕후 | 진종 | ||
인조 | 신정왕후 | |||
정조 | 인원왕후 | |||
헌종 | 인현왕후 | |||
정순왕후 | ||||
효의왕후 | ||||
효현왕후 |
신분
추가신분(7)
문헌(26)
- 경빈가례시가례청등록
- 경종국장도감의궤
-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 고종대례의궤
- 고종태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
- 단의빈예장도감의궤
- 대사례의궤
-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
-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도청)의궤
- 순비책봉의궤
- 순조국장도감의궤
- 순종효황제빈전혼전주감의궤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 정미가례시일기(복식)
- 정조국장도감의궤
- 풍정도감의궤
-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
-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
추가문헌
- 소학
- 주자가례
- 가례집람
- 삼재도회
- 임원경제지
- 국조오례의
- 경국대전
- 대한예전
- 대명집례
- 대명회전
- 시경
- 송사
- 진서
- 고려사
- 거가잡복고
- 궁중발기
- 녹문집
- 병계집
- 상방정례
- 성호전집
- 여유당전서
- 원행을묘정리의궤
- 인목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 임원경제지
- 조선왕조실록
- 한정당집
- 문효세자빈궁혼궁도감의궤
- 심전고
- 악학궤범
- 눌재집
- 미암집
- 사례편람
- 상변통고
- 오주연문장전산고
- 거가잡복고
회화(10)
- 경이물훼
- 기사경회첩 -왕의 참석여부에 따라 첨삭.
- 대한제국동가도
- 무신진찬도병
- 문효세자책례계병
- 사직단 국왕친향도 병풍
- 수교도
- 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
- 화성능행도병
- 왕세자입학도
복식(101)
복식정보 작성틀
{{복식정보 |이미지= |대표명칭= |이칭별칭= |착용시대= 조선 전기-조선 후기 //~(물결) 아니고 -(하이픈)// |착용신분= 왕실, 궁중, 반가, 서민, 무관, 유생 |착용성별= 남성, 여성 |착용연령= 아동, 성인 |복식구분= 예관, 예복, 관모, 관복, 편복, 군복, 신, 부속 |복식구성= |관련복식= |필드수= 10 }}
관 및 쓰개 상위개념
개별 관 및 쓰개
의복
상위개념
추가의복
개별의복
- 강사포
- 곤룡포
- 노의
- 단령
- 단의
- 답호
- 당의
- 도포
- 동다리
- 두루마기
- 말군
- 면사
- 바지
- 배자
- 사규삼
- 소창의
- 속바지
- 속치마
- 심의
- 액주름
- 원삼
- 장삼
- 장의
- 저고리
- 적삼
- 적의
- 전복
- 중단
- 중치막
- 직령
- 창의
- 철릭
- 청금복
- 치마
- 쾌자
- 학창의
- 활옷
장신구 상위개념
개별장신구
신발
기타 부속
물품(229)
궁중의례물품정보 작성틀
{{궁중의례물품정보 |대표명칭= |이미지= |그림출처= |이칭별칭= |시대= |사용의례= |물품구성= |쓰임새= }}
ㄱ
- 가소금저(假素錦褚)
- 가이(斝彝)
- 간(干)
- 간자(竿子)
- 갑(甲)
- 갑(匣)
- 개선기(蓋扇機)
- 격자곡철(隔子曲鐵)
- 견여(肩輿)
- 겹휘건(裌揮巾)
- 경(磬)
- 계이(鷄彝)
- 고(鼓)
- 고비롱(高飛籠)
- 교명궤(敎命樻)
- 교명흑칠궤(敎命黑漆樻)
- 관이(盥匜)
- 궤(簋)
- 근배(巹杯)
- 금(琴)
- 금보(金寶)
- 금보배안상(金寶排案牀)
ㄴ
ㄷ
- 당주홍칠독책상(唐朱紅漆讀冊牀)
- 당주홍칠배안상(唐朱紅漆排案牀)
- 대(臺)
- 대량분(大涼盆)
- 대사방반(大四方般)
- 대사용개구(大沙用蓋具)
- 대시(大匙)
- 대야(大也)
- 대여(大輿)
- 대여주지(大輿注之)
- 대이지(大耳只)
- 대주정(大酒亭)
- 독보상(讀寶牀)
- 독인상(讀印牀)
- 독책고족상(讀冊高足牀)
- 독책상(讀冊牀)
- 동궁(彤弓)
- 동관자(銅貫子)
- 동급수기(銅汲水器)
- 동도금작(銅鍍金爵)
- 동마비개(銅亇飛介)
- 동시(彤矢)
- 동해개구(東海蓋具)
- 두(豆)
- 두(부피측량)(斗)
ㅁ
ㅂ
- 반(盤)
- 반발(飯鉢)
- 반발리(飯鉢里)
- 발리개구(鉢里蓋具)
- 방상씨(方相氏)
- 방협상(傍挾牀)
- 배안상(排案牀)
- 변(籩)
- 변두궤안기판(籩䇺樻安器板)
- 보(簠)
- 보록(寶盝)
- 보삽(黼翣)
- 보통(寶筒)
- 부(釜)
- 불삽(黻翣)
ㅅ
- 산뢰(山罍)
- 산자우리대구(散子于里臺具)
- 상준(象尊)
- 상준개구(象尊蓋具)
- 생(笙)
- 서진(書鎭)
- 세대(洗臺)
- 세뢰(洗罍)
- 세작(洗勺)
- 소(筲)
- 소(악기)(簫)
- 소개아(小蓋兒)
- 소금저(素錦褚)
- 소라(所羅)
- 소박계우리대구(小朴桂于里臺具)
- 소방상(小方牀)
- 소사용개구(小沙用蓋具)
- 소촉대(小燭臺)
- 슬(瑟)
- 승(升)
- 시(匙)
- 시보(諡寶)
- 시옥인(諡玉印)
- 시접(匙楪)
- 시죽책(諡竹冊)
- 시책(諡冊)
- 식탁(食托)
- 식합개구(食榼蓋具)
- 실과종자우리대구(實果鍾子于里臺具)
- 쌍이단엽잔(雙耳單葉盞)
- 쌍이단엽황금잔(雙耳單葉黃金盞)
ㅇ
- 악기궤안기판(樂器樻安器板)
- 약과우리대구(藥果于里臺具)
- 양동해(梁東海)
- 애책(哀冊)
- 앵(甖)
- 어(敔)
- 어간평상(御間平牀)
- 어반(御盤)
- 어이(御匜)
- 영롱시(玲瓏匙)
- 영좌교의(靈座交倚)
- 영좌교의방협상(靈座交倚傍挾牀)
- 옥인(玉印)
- 옥책(玉冊)
- 옥책갑(玉冊匣)
- 옥책내함(玉冊內函)
- 옥책배안상(玉冊排案牀)
- 옥책외궤(玉冊外樻)
- 왜주홍칠내함(倭朱紅漆內函)
- 왜주홍칠대주정(倭朱紅漆大酒亭)
- 왜주홍칠향좌아(倭朱紅漆香座兒)
- 외궤(外樻)
- 외재궁여(外梓宮輿)
- 용작(龍勺)
- 용지(龍支)
- 용찬대구(龍瓚臺具)
- 우보(羽葆)
- 운두첨자(雲頭籤子)
- 유우(鍮盂)
- 유제등(鍮提燈)
- 은고첨(銀孤尖)
- 은봉병(銀鳳甁)
- 은봉병개쇄구(銀鳳甁蓋鎖具)
- 은영롱시(銀玲瓏匙)
- 은초아(銀召兒)
- 의궤(倚几)
- 이(匜)
- 이선(耳繕)
- 인록(印盝)
- 인통(印筒)
ㅈ
- 자(煮)
- 자기궤안기판(磁器樻安器板)
- 작(爵)
- 장명등잔대구(長明燈盞臺具)
- 장자금(長炙金)
- 장저(長箸)
- 장족아(長足兒)
- 장화저(長火箸)
- 쟁반(錚盤)
- 저(箸)
- 전촉기개구(剪燭器蓋具)
- 전촉자(剪燭子)
- 전평상(箭平牀)
- 점(坫)
- 정(鼎)
- 제주탁(題主卓)
- 조이(鳥彝)
- 종(鍾)
- 주(冑)
- 주렴기(朱簾機)
- 주록(朱盝)
- 주병(鑄甁)
- 주통(朱筒)
- 주홍내함(朱紅內函)
- 주홍독책상(朱紅讀冊牀)
- 주홍배안상(朱紅排案牀)
- 주홍화금내함(朱紅畫金內函)
- 준대(樽臺)
- 준상(樽牀)
- 죽산마(竹散馬)
- 죽안마(竹鞍馬)
- 죽책(竹冊)
- 죽책흑칠내함(竹冊黑漆內函)
- 죽피방상자(竹皮方箱子)
- 중박계우리대구(中朴桂于里臺具)
- 중사용개구(中沙用蓋具)
- 중촉대(中燭臺)
- 중화로(中火爐)
- 증개구(甑蓋具)
- 증백(贈帛)
- 증옥(贈玉)
- 지(箎)
- 지분통(脂粉桶)
ㅊ
ㅌ
- 토등상(土藤箱)
ㅍ
ㅎ
- 합(合)
- 합목대(榼木臺)
- 향로(香爐)
- 향좌아(香座兒)
- 향합(香盒)
- 형(鉶)
- 호갑(護匣)
- 호준(壺尊)
- 혼백함성토등상자(魂魄函盛土籐箱子)
- 혼백함성토등방상자(魂帛函盛土籐方箱子)
- 혼백함소성토등상자(魂帛函所盛土籐箱子)
- 홍사방등(紅紗方燈)
- 홍칠안(紅漆案)
- 화금주홍내함(畫金朱紅內函)
- 화금흑칠내함(畫金黑漆內函)
- 화로(火爐)
- 화삽(畫翣)
- 화은(花銀)
- 화자(和煮)
- 황이(黃彝)
- 훈(壎)
- 흑진칠외궤(黑眞漆外樻)
- 흑칠궤(黑漆樻)
- 흑칠내궤(黑漆內樻)
- 흑칠내함(黑漆內函)
- 흑칠독인상(黑漆讀印牀)
- 흑칠독책상(黑漆讀冊牀)
- 흑칠배안상(黑漆排案牀)
- 흑칠안(黑漆案)
- 흑칠안상(黑漆外樻)
- 흑칠외궤(黑漆外樻)
- 흑칠화금내함(黑漆畫金內函)
- 희준(犧尊)
- 희준개구(犧尊蓋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