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창의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의
(氅衣)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창의
한자표기 氅衣
이칭별칭 대창의(大昌衣)
구분 의복
착용신분 , 왕세자,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 왕세자등 왕실 남성들과 사대부의 상복(常服)으로, 백관의 조복이나 단령, 도포의 받침옷으로 입던 포(袍) 종류의 옷이다.[1]

내용

'대창의(大昌衣)'라고도 한다. , 왕세자, 왕세손, 백관 등이 평상복으로 착용하였으며, 도포와 같이 백관의 조복제복, 단령이나 도포 등의 받침 옷으로도 착용하였다. 외출할 때는 을 쓰고 세조대를 띤다.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길 양옆에 큰 삼각무가 달린 옷으로, 뒷중심선 허리 아래로 긴 트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모습으로만 보면 직령도포의 형태가 같아 구별하기 어렵다. 창의는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갑신의제개혁을 통해 넓은 소매 의복을 폐지하면서 소매가 넓은 다른 포 종류들과 함께 착용이 금지되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창의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조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제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창의 도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창의 단령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창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677쪽.
  3.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4.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5.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6.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 권은영, 「배천조출토복식 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梁仁愛, 「女子 袍에 관한 硏究-우리나라와 중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尹美花, 「氅衣類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이동아, 「이응해 출토복식의 직령포(直領袍)와 창의(氅衣)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李善宰 , 「朝鮮時代 儒敎思想과 儀禮服硏究-男子袍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鄭光熙, 「團領 및 氅衣 縫製에 關하여」, 『服飾』 8권, 한국복식학회, 1984.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홍나영, 「조선중엽 출토복식에 관한 연구 -이황묘 출토 첩리와 창의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0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