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통천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통천관
(通天冠)
『황실황족성감(皇室皇族聖鑑)』
대표명칭 통천관
한자표기 通天冠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황제
착용성별



정의

대한제국 황제가 착용하는 관으로, 고종순종황제의 조복을 입을 때 착용하였다.

내용

진(秦)이 중국을 통일한 후 신하들에게 점령국 군주의 관을 나눠주었는데, 이때 통천관은 황제의 조복에 착용했다고 한다.[1] 어원은 ‘하늘과 통하는 관’이라고 글자 그대로 풀기도 하지만, 전거는 찾을 수 없어 불명확하다고 볼 수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쓴 통천관
정면은 곧고 정수리 부분에서 약간 기울어져 뒷면 아래로 곧게 내리 뻗었다. 철로 을 만들었으며 앞에는 전통(展筩)이 있고 관의 앞부분에는 얇은 금으로 만든 넓은 산모양의 장식을 더했다. 1993년 평양에서 고려 태조 왕건의 무덤인 현릉을 정비하기 위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관을 안치하는 현실(玄室)의 북쪽으로 5m 떨어진 지점의 지하에서 태조 왕건의 청동상이 발견되었다. 청동상은 왕건의 젊은 시절 모습을 만든 것으로, 통천관을 쓰고 있었다. 앞에 산모양이 있는 24량으로 당나라의 제도와 형태가 같았다. 그러나 관에 붙은 8개의 일(日), 월(月)의 형태는 중국 황제통천관 제도에는 없는 고려만의 특징적인 요소이다.[2]

대한제국 황제가 쓴 통천관
고종 34년(1897)에 8월 14일 나라의 연호를 ‘광무(光武)’로 쓸 것을 확정하고, 일련의 준비과정을 거쳐 같은 해 10월 11일 제국의 국호를 ‘대한(大韓)’으로 결정하였다. 다음날 환구단에서 제사를 지낸 후 황제로 등극하고 조칙을 반포하였다. 이 때 황제의 조복통천관을 쓰고 강사포를 입었다. 대한제국 시기에 편찬된 국가전례서인 『대한예전(大韓禮典)』에는 ‘통천관복(通天冠服)’이 '익선관복(翼善冠服)’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제국 시기 면복의 다음 등급으로 정해진 복식이 익선관을 비롯한 일습 복식이 아니라 통천관을 비롯한 일습 복식이라는 점과 중단, 대대, 폐슬, 패옥 등 예복의 기타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는 점으로 보아 ‘익선관복’은 ‘통천관복’의 오류인 것으로 보인다.[3]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예복(禮服)』에서는 면복 다음에 ‘통천관(通天冠), 강사포(絳紗袍)’의 제도가 나온다.

중국의 통천관
한(漢)의 통천관 형태는 『후한서(後漢書)』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Quote-left.png 통천관은 본래 진의 제도다. 높이가 9촌이고, 정면은 곧게 서있는데 정수리 부분에서 약간 기울어지고 뒤로 나가서 아래로 곧게 내리 뻗어 있다. 철로 권량(卷梁)을 만들었으며 앞에는 전통(展筩)이 있고 관의 앞부분에는 얇은 금으로 만든 넓은 산모양의 장식을 더한다. 천자가 항상 쓰는 것이다. 옷을 입는데 심의(深衣)의 형태이다.…… 홑옷에 검은색으로 옷깃과 소매의 가장자리를 두른 중의(中衣)를 조복으로 한다.(“通天冠, 髙九寸, 正豎, 頂少邪却, 乃直下, 爲鐵卷梁, 前有山, 展筩爲述, 乗輿所常服. 服衣, 深衣制, 有袍, 隨五時色, 袍者, 或曰: 周公抱成王宴居, 故施袍. 『禮記 』‘孔子衣縫掖之衣’. 縫掖其袖合而縫大之, 近今袍者也. 今下至賤更小史, 皆通制袍. 單衣, 皁緣領袖中衣, 爲朝服云.” Quote-right.png
출처: 『後漢書』, 卷40, 「輿服志 第30」.


진(晉)나라의 통천관은 한나라와 유사하다. 다만 산형(山形)의 장식이 금으로 되어 있거나 니금(泥金)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진나라 사마염(司馬炎)의 초상에서는 당의 통천관 특징이 보인다. 수(隋)와 당(唐)의 통천관은 24양(梁)에 매미 12수(首)를 붙이는 것이 특징이다. 송(宋)·요(遼)·금(金)·원(元)의 통천관도 한나라의 제도와 같다. 명(明)의 통천관은 금박산(金博山)과 12수(首)의 매미 장식에 주취(朱翠), 흑개책(黒介幘), 조영(組纓), 옥잠도(玉簮導)를 장식한다. 홍무 26년 피변(皮弁)의 제도가 제정된 이후 통천관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청(淸)은 한족의 복식을 착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천관이 사라졌다.[4]



일본의 통천관
일본 류쿠 왕국의 유물인 ‘쇼씨 왕조의 전래품’에서 나온 통천관은 검은색 바탕에 12량, 붉은 색 끈 등으로 보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기록에 있는 것과 같은 모양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통천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건 통천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고종 통천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순종 통천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제의 조복 통천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姜淳弟, 「冠帽 硏究(III)-通天冠․遠遊冠․梁冠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16권 1호,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 35~36쪽.
  2. 노명호,『고려 태조왕건의 동상-황제제도 고구려 문화 전통의 형상화』, 지식산업사, 2012, 39쪽,.
  3. 국립고궁박물관,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국립고궁박물관, 2011, 264~269쪽.
  4. 姜淳弟, 「冠帽 硏究(III)-通天冠․遠遊冠․梁冠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집』 16권 1호,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6, 40쪽.
  5. 『역대제왕도(歷代帝王圖』
  6. 국립고궁박물관, 『류쿠 왕국의 보물』, 국립고궁박물관, 2014, 62쪽.
  7. 『황실황족성감(皇室皇族聖鑑)』(1937),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8. 『황실황족성감(皇室皇族聖鑑)』(1937),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9. 노명호,『고려 태조왕건의 동상-황제제도 고구려 문화 전통의 형상화』, 지식산업사, 3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