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
Encyves Wiki
대여(大輿) | |
대표명칭 | 대여 |
---|---|
한자표기 | 大輿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흉례(凶禮)-상례(喪禮)-발인(發引)에 사용 |
정의
조선시대 국장에서 왕과 왕비의 관인 재궁(梓宮)을 운반하는 큰 가마이다.
내용
발인(發靷) 행렬의 중심이기 때문에 제작과 보관에 많은 공력과 인력이 들었다.
길이 43척 3촌의 큰 세로 강목 2개 위에 가로 강목 17개를 차례로 놓아 무게를 분산시켜 가마꾼들이 맬 수 있도록 하였다.
대여는 내기목(內機木)과 외기목(外機木)으로 구성되며, 내기목 안에 소방상(小方牀)을 설치하여 이동 시 재궁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였다.
대여의 지붕에는 검은 비단을 덮고 亞자 모양의 불(黻) 문양을 그렸다. 네 모서리에는 용머리 장식을 달고 중앙에는 연꽃 모양의 주지(注之)를 얹는다.
지붕 아래로는 1면당 18마리(4면 72마리)의 꿩 그림이 그려진 진용(振容)이라는 비단 장막을 두르는데 이동 시 꿩이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였다.
의궤에 대여의 전체 모습을 그린 대여전도(大輿全圖), 좌우면을 그린 대여좌우도(大輿左右圖), 전후면을 그린 대여전후도(大輿前後圖)가 실려 있어 세부 구조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약 200명의 가마꾼과 보충 인원이 견여를 운반하는 데 동원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재궁(梓宮) | 대여(大輿) | A는 B로 운반되었다 | A ekc:goesWith B |
대여(大輿) | 소방상(小方牀)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대여(大輿) |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대여(大輿)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대여(大輿)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대여(大輿) | 발인(發引)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시각자료
갤러리
대여전도[1]
대여[2]
대여전도[3]
대여전후도[4]
대여전후[5]
대여전후도[6]
대여좌우도[7]
대여좌우[8]
대여좌우도[9]
소방상[10]
소방상[11]
소방상[12]
소방상[13]
대여합소방상도[14]
대여합소방상[15]
대여합소방상도[16]
주석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박봉주, "대여전도(大輿全圖)",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대여전후도(大輿前後圖)",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대여좌우도(大輿左右圖) ",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박봉주, "대여합소방상도(大輿合小方牀圖)",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이욱, "대여(大輿)",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이욱, "대여소방상도(大輿小方牀圖)",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이현진, 「정조 초 영조의 국장 절차와 의미」, 『태동고전연구』제27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