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문효세자책례계병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문효세자책례계병
(文孝世子冊禮契屛)
서울대학교박물관(http://museum.snu.ac.kr/) 소장.
대표명칭 문효세자책례계병
한자표기 文孝世子冊禮契屛
주제 책례
제작연대 1784년
구성 총 8폭
크기 전체 폭 110 × 421cm
소장처 서울대학교 박물관



정의

1784년(조선 정조 8) 정조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난 문효세자(文孝世子)왕세자로 책봉하는 의식을 그린 8첩 병풍이다.[1]

내용

해제

1폭에는 서문이 쓰여 있고, 2~4폭에는 창덕궁 인정전에서 거행된 왕세자선책도(王世子宣冊圖)이며, 5~7폭에는 왕세자수책도(王世子受冊圖)가 그려져 있다. 8폭에는 총 25명으로 이루어진 세자시강원(侍講院) 관직명이 나열되어 있다. 책례에서 시강원 관원의 주요 임무는 동궁 처소에서 왕세자를 대신하여 교명(敎命)죽책(竹冊)을 받는 역할과 의례절차에 따라 왕세자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왕세자 책봉례의 핵심은 ‘왕세자 책봉을 알리는 교명을 선포하는 의례’와 ‘왕세자가 동궁에서 교명을 받는 의례’인데, 《문효세자책례계병(文孝世子冊禮契屛)》은 이 두 과정을 그린 것이다.[2]

구성

〈선책도(宣冊圖)〉 : 2~4폭
창덕궁 인정전에서 거행된 왕세자책례를 그렸다. 왕세자에게 수여할 교명(敎命), 죽책(竹冊), 옥인(玉印) 을 각각 올려놓은 교명안, 책안, 인안이 설치되어 있다. 책봉의 선포가 끝나면 책례도감 도제조 이하의 집사관들은 의 명을 받들어 교명죽책, 옥인을 받아 왕세자가 기다리는 창덕궁 중희당으로 가는 것이다. 화면의 뜰 안에 수책의식을 대신 집행할 백관들이 조복을 입고 을 향해 엎드려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3]
〈수책도(受冊圖)〉 : 5~7폭
왕세자창덕궁 중희당에서 교명, 죽책, 옥인을 받는 모습을 그렸다. 창덕궁 인정전에서 책례가 끝나면 가마에 실린 교명책인은 세장고취가 앞에서 인도하고 왕세자 가마와 의장, 사자가 차례로 수행해 창덕궁 중희당에 이른다. 창덕궁 중희당 안에는 교명안, 책안, 인안이 놓여 있고, 2개의 향안도 마련되어 있다. 왕세자 책봉을 받는 자리는 중앙에 펼쳐져 있다. 그 좌우에는 장의(掌儀)찬의(贊儀), 통례원(通禮院)의 관원들과 어린 왕세자교명책인을 받을 때 보좌하는 세자시강원의 관리들이 있다. 조복을 입은 사, 부, 빈객, 궁관은 덧마루 위와 뜰 좌우에 동서로 나누어 서있고, 정사(正使)인 영중추부사 김상철(金尙喆)부사(副使) 부사직 김이소(金履素)공복으로 갈아입고 의식에 참여하였다. 왕세자의 자리 앞에 백관들이 국궁(鞠躬)하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왕세자가 책봉 받는 자리로 나가기 전 사배하는 모습일 것으로 추정된다.[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의궤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문효세자책례계병 시강원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문효세자책례계병 책례 A는 B를 표현하였다 A ekc:depicts B
문효세자책례계병 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문효세자책례계병 혜경궁 홍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문효세자책례계병 문효세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문효세자책례계병 서울대학교 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문효세자책례계병 백관의 조복 A에 B가 그려져 있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84년 문효세자책례를 거행하였다
1784년 문효세자책례계병을 제작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793 126.994541 창경궁 중희당에서 책봉례가 거행됐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인정전 선책도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 복장/복식
1 어좌 어좌(御座) 왕이 앉는 좌석으로, 정조(正祖)가 앉아 있다. 왕의 대례복
2 죽책 죽책(竹冊) 죽간(竹簡)으로 만든 의례용 문서
3 옥인 옥인(玉印) 옥으로 만든 도장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 복장/복식/물품
4 백관, 종친 백관(百官), 종친(宗親) 문무백관(文武百官)과 종친(宗親)이 동서로 마주 바라보며 서있다. 백관의 상복, 백관의 조복
5 사신 사신(使臣) 정사(正使)와 부사(副使)가 절을 올리고 있다. 백관의 조복
6 도감관원 도감관원(都監官員) 책례도감의 도제조(都提調)와 집사자들이 절을 올리고 있다. 백관의 조복

중희당 수책도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 복장/복식
1 옥인 옥인(玉印) 옥으로 만든 도장
2 교명 교명(敎命) 책봉할 때 내리는 왕의 명령을 적은 문서
3 죽책 죽책(竹冊) 죽간(竹簡)으로 만든 의례용 문서
4 수책위 수책위(受冊位) 왕세자가 교명, 죽책, 옥인을 받는 자리
5 시강원관원 시강원관원(侍講院官員) 세자의 교육을 담당했던 관청의 관원 백관의 조복
6 사신 사신(使臣) 선책의를 마친 후, 정사(正使)와 부사(副使)가 교명, 죽책, 옥인을 가지고 수책의 장소로 이동하였다 백관의 공복

주석

  1. 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16쪽.
  2. 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16~17쪽.
  3. 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18~19쪽.
  4. 박정혜, 「조선시대 왕세자와 궁중기록화」,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 민속원, 2005, 1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6.
  • 신명호,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의 왕: 조선시대 왕과 왕실문화』, 시공사, 1998.
  • 유재빈, 「정조의 세자 위상 강화와 〈문효세자책례계병〉」, 『미술사와 시각문화』제17호, 2016.
  • 한영우, 『조선왕조의 儀軌-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