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바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바지
(袴)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대표명칭 바지
한자표기
이칭별칭 把持
구분 의복
착용신분 황제, 황태자, , 왕세자, 백관 등 모든 남성
착용성별 남성



정의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황제, , 백관 등 모든 신분이 귀천없이 착용하였으며, 두 다리를 꿰는 가랑이가 있어 하체에 착용하는 옷이다.[1]

내용

남자의 기본 복식으로 항상 착용한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남녀 모두 사타구니 앞뒤로 트임이 있는 개당고와 트임이 없이 막힌 합당고를 입었다. 개당고합당고의 두 양식을 합쳐서 입기 편하게 만든 세가랑이 바지도 출토되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남자의 바지는 중국 바지인 '당고(唐袴)'로 변화되었다. 당고란 지금 우리의 남자 한복바지인 사폭바지이다. 사폭바지는 허리띠와 대님을 사용하였으며 종아리에 대님 대신 행전을 치기도 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바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바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바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바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손 바지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백관 바지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왕의 편복 바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편복 바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손의 편복 바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바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32쪽.
  2.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32쪽.
  3.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4.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5.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구남옥, 「조선시대 남자바지에 관한 연구」, 『服飾』 52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2.
  • 金敬子, 「우리나라 袴에 對한 硏究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金文子, 「高麗時代 여인들의 襦·裳 의 형태에 관한 硏究」, 『服飾』 38권, 한국복식학회, 1998.
  • 金善祐, 「우리나라 女子 內衣 文化에 관한 硏究 -바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 金愛蘭, 「우리나라 袴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金仁淑, 「바지考(Ⅰ) -바지形態에 대한 小考-」, 『대한가정학회지』 제25권 2호, 대한가정학회, 1987.
  • 김정순, 「조선시대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바지 유형과 치수 분석-16・17세기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박선희, 「고대 한국의 袴와 裙」, 『단군학연구』 3집, 단군학회, 2000.
  • 白英子, 「우리나라 袴에 關한 小考」, 『대한가정학회지』 제11권 3호, 대한가정학회, 1973.
  • 안인실, 「조선시대 여자바지 연구-유물의 구성과 복원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이선주, 「古代 바지 變遷에 관한 考察」,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이순자, 「朝鮮前期 女性 바지에 關한 硏究-세가랑이 바지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제5권 1호, 한복문화학회, 2002.
  • 정미숙ㆍ송미경, 「조선시대(朝鮮時代) 말군(袜裙)의 실물 제작법에 관한 연구 –인천 석남동 출토 말군을 중심으로-」,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최은수, 「우리나라 여자바지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황진영, 「조선시대 궁녀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