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간 (122개))
(공간 (122개))
517번째 줄: 517번째 줄:
 
* [[육영수 저격사건]]
 
* [[육영수 저격사건]]
  
==공간 (122개)==
+
==공간 (116개)==
 
* [[반구서원]]
 
* [[반구서원]]
 
* [[서생포왜성]]
 
* [[서생포왜성]]
597번째 줄: 597번째 줄:
 
* [[덕천리 고인돌]]
 
* [[덕천리 고인돌]]
 
* [[시청역]]
 
* [[시청역]]
* [[온양문화원]]
 
 
* [[제주도]]
 
* [[제주도]]
* [[장성문화원]]
 
 
* [[청와대]]
 
* [[청와대]]
* [[새마을중앙협의회 중앙연수원]]
 
 
* [[상왕산]]
 
* [[상왕산]]
* [[대한민국 국회]]
 
 
* [[삼척]]
 
* [[삼척]]
 
*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
 
*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
 
* [[포항]]
 
* [[포항]]
 +
* [[분괴공장]]
 +
* [[코크스공장]]
 +
* [[소결공장]]
 +
* [[마산시 봉암동]]
 +
* [[창원]]
 +
* [[석유화학공업단지]]
 +
* [[울산]]
 +
* [[서산시 대산읍]]
 +
* [[진해]]
 +
* [[시흥]]
 +
* [[부산]]
 +
* [[구미1공단]]
 +
* [[구미2공단]]
 +
* [[구미3공단]]
 +
* [[구미4공단]]
 +
* [[구미5공단]]
 +
* [[구미]]
 +
* [[칠곡]]
 +
* [[낙동강]]
 +
* [[수원]]
 +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
* [[호남화력발전소]]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고리]]
 +
* [[호남평야]]
 +
* [[남해도]]
 +
* [[하동]]
 +
* [[하동 금오산]]
 +
* [[서울역]]
 +
* [[청량리역]]
 +
* [[중구]
 
* [[분괴공장]]
 
* [[분괴공장]]
 
* [[코크스공장]]
 
* [[코크스공장]]

2016년 11월 3일 (목) 02:28 판

민족기록화관

민족기록화는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시작하여 1979년까지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이다. 본 연구 사업은 그 가운데 1973~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 사업으로 제작된 대략 100여 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개개의 작품이 모두 뛰어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이면을 짚고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약 500여 개의 지식노드(민족기록화 100여 편, 작가 50여 명, 사건 50여건, 공간 50여 건, 역사 인물 100여 명, 관련 문헌 50여 건, 개념어 50여 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가공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데이터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민족기록화 (106점)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역사/문화

고대

삼국/통일신라

고려

조선

계몽/항일

현대

경제발전

농축수산/새마을

광공업

에너지

건설/교통

노드정리

  • 작품: 106개
  • 작가: 47명
  • 인물: 114명
  • 사건: 54개
  • 공간: 122개
  • 기록물: 36개
  • 단체: 102개
  • 개념: 145개
  • 총 726개

작품 (106개)

작가 (47명)

인물 (114명)

사건 (54개)

공간 (116개)

기록물 (36개)

단체 (102개)

개념 (13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