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환
민영환(閔泳煥) | |
대표명칭 | 민영환 |
---|---|
한자표기 | 閔泳煥 |
생몰년 | 1861년(철종 12)-1905년 |
본관 | 여흥(驪興) |
호 | 계정(桂庭) |
자 | 문약(文若) |
시대 | 근대 |
대표저서 | 해천추범 |
부 | 민겸호 |
성격 | 문신, 순국지사 |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내용
출신
1861년(조선 철종 12)에 민겸호(閔謙鎬)의 아들로 태어나 아들이 없었던 백부(伯父) 민태호(閔台鎬)에게 입양되었다. 민태호는 음직인 참봉을 지내다가 일가인 민자영이 왕비로 책봉되자 출세가도를 달린 인물이다. 1877년(고종 14) 5세의 어린 순종을 가르치는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고, 1878년 민씨 척족의 후광을 입고 대과에 장원급제하여 초고속 승진을 시작하였다. 그 뒤 정자(正字)·수찬 등을 거쳐 1881년 동부승지(同副承旨), 1882년 21세에 성균관대사성으로 승진하였다. 그 해 임오군란 때 세간의 평판이 좋지 않았던 생부 민겸호(1838~1882, 閔謙鎬)가 살해되자, 벼슬을 버리고 3년간 거상(居喪)하였다. 이런 이유로 후일 그는 동학농민군의 척결 대상이 되었다.[1]
갑오경장과 해외순방
갑오경장 추진내각이 추진되었던 1895년에 주미전권공사(駐美全權公使)로 임명되었으나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시해되자 부임하지 못하고 사직했다. 1896년 2월의 아관파천 후, 3월에 특명전권공사가 되어 러시아의 수도 페테르부르그에 가서 제정러시아 최후의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하였다. 그해 10월에 귀국하여 의정부찬정에 임명된다.
이듬해인 1897년에는 다시 영국ㆍ독일ㆍ러시아ㆍ이태리ㆍ프랑스ㆍ오스트리아의 특명전권 공사가 되어 유럽 여러 나라들을 순방하였다. 이때 특명전권공사를 겸하여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 60년 다이아몬드 축하식에도 한국사절로 참석한다. 두 차례에 걸친 세계 여행에서 각국의 정치ㆍ경제ㆍ군사ㆍ문화의 발전상을 견문하고 돌아와서 고종에게 우리나라도 대대적인 근대적 개혁을 단행하고 민권을 확장하여 독립국가의 기초를 튼튼히 하자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은 시행되지 못하고 육군제도만을 개혁할 수 있었다.[2]
독립협회
이와 같이 두 차례에 걸친 해외여행으로 특히 구미제국의 발전된 문물 제도와 근대화 모습을 직접 체험하였다. 귀국 후 독립협회의 취지에 찬동, 이를 극력 후원하게 된 것은 그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것이다.
1898년 의정부 참정(議政府參政), 내부 대신 겸 군부 대신을 지냈으나, 어용 단체인 황국협회(皇國協會)의 지탄과 공격을 받아 한때 관직에서 물러나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참정 대신·탁지부 대신에 임명되었고, 그의 건의에 의하여 설치된 원수부(元帥府)의 회계국 총장(會計局總長)·장례원경(掌禮院卿)·표훈원총재(表勳院總裁)·헌병사령관을 등을 역임하였고, 훈일등태극장(勳一等太極章)·대훈위이화장(大勳位李花章)을 받았다.[3]
한일의정서 성토
1902년 이상재ㆍ이상설ㆍ이준ㆍ이동휘ㆍ양기탁 등과 개혁당(改革黨)운동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다가 이상재는 투옥되고 민영환은 견책 당한다. 하지만 황실의 친척이어서 곧 복직되어 참정대신, 탁지부대신, 원수부(元帥府) 회계국총장, 장례원경, 표훈원총재, 헌병사령관의 여러 중요한 직책을 역임한다.
1904년 2월 일본이 러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일본군을 한국에 상륙시켜 「한일의정서」를 강제체결하고 침략정책을 자행하자, 그는 고급관료로서 이를 격렬하게 성토하다가 일본군의 압력과 친일적 각료들과의 대립으로 시종무관장(侍従武官長)으로 좌천된다.[4]
을사조약과 자결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병세(趙秉世)와 함께 백관(百官)을 인솔하여 대궐에 나아가 이를 반대하였다. 일본 헌병들의 강제 해산으로 실패하자 다시 백목전도가(白木廛都家: 육의전)에 모여 상소를 논의하던 중, 이미 대세가 기울었음을 보고 집에 돌아가 자결하였다.
당대 제일 권문세가의 일원임에도 불구하고 현직(顯職)의 명예를 던지고 망국(亡國)의 울분을 죽음으로써 외쳐 세간의 존경을 받았다. 의정대신(議政大臣)에 추증, 고종의 묘소에 배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민영환 | 민겸호 | A는 아버지 B가 있다 | A ekc:hasFather B |
민겸호 | 명성황후 | A는 여형제 B가 있다 | A ekc:hasSister B |
민겸호 | 임오군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 명성황후 | A는 B의 친척이다 | A ekc:isLineageKinOf B |
민영환 | 을사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영환 | 순종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민영환 | 독립협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사이불사, 2천만 동포에게 죽음으로 남긴 애국정신 계정 민영환, YouTube, 작성일: 2015년 04월 27일.
주석
- ↑ "민영환",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2002. 온라인 참조: "민영환",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백과사전』online . - ↑ 김성균, "민영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2002. 온라인 참조: "민영환", 21세기 정치학대사전,
『네이버 백과사전』online . - ↑ "민영환",
『doopedia』online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