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후-여진정벌
기획기사: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여진정벌 | |
작가 | 안재후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1107년(고려 예종2) 윤관 장군의 여진정벌을 담은[1] 안재후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해당 작품은 윤관(尹瓘, ?~1111)의 지휘하에 출병한 고려 17만 대군이 함흥평야의 여진족 소굴을 급습하여, 적 5천을 죽이고 5천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350개 부락을 수복하고 동북 9성을 설치한 장면을 재현하였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백마를 탄 장군이 ④ 윤관으로, 여진족의 부락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윤관의 주위에는 말을 타고 있는 ②⑤ 신기군(神騎軍)이 중심의 별무반(別武班)이 그의 지휘를 따르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오른편에는 포로로 잡힌 여진족이 ③⑥ 동북 9성의 성곽을 쌓는 장면이 담겨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함흥평야로, 함흥평야에 위치한 여진족 소굴이 묘사되어 있다. 함흥평야는 북쪽으로는 함경산맥, 서쪽으로는 낭림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작품의 뒤쪽에 그려진 ①②③ 산맥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전쟁을 소재로 한 대부분의 민족기록화들은 아군과 적군을 선 대 악, 승리 대 패배라는 고정된 틀에 따라 관계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풀어간다. 또한 전쟁에서의 죽음에 대해서도 굴욕적이고 무의미한 적군의 죽음과 숭고하고 영웅적인 아군의 죽음이라는 대비로만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비참하게 살해되어 여기저기 널브러진 여진족의 시체와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과 체념으로 화면의 전경을 채웠다. 전투로 인해 불타오른 민가와 피폐해진 황량한 들판, 핏빛의 저녁노을과 전경을 대비시킴으로써 전쟁의 승리보다는 공포와 비참함, 비인간적인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2]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 "여진정벌"(안재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안재후-여진정벌 | 안재후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안재후-여진정벌 | 윤관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안재후-여진정벌 | 여진정벌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안재후-여진정벌 | 함흥평야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안재후-여진정벌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안재후-여진정벌 | 국회사무처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안재후-여진정벌 | A는 B를 포함하는 기획기사이다 | A dcterms:hasPart B |
윤관 | 여진정벌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동북 9성 | 윤관 | A는 B가 설치하였다 | A ekc:founder B |
별무반 | 윤관 | A는 B가 설치하였다 | A ekc:founder B |
윤관 | 윤언이 | A는 B의 아버지이다 | ekc:hasSon |
윤관 초상 | 윤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안재후가 안재후-여진정벌을 그렸다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
1104년 | 윤관이 건의한 별무반이 설치되었다 |
1107년 | 윤관이 여진정벌을 지휘하였다 |
1107년-1108년 | 윤관이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2103 | 126.914133 | 국회사무처가 안재후-여진정벌을 대여하였다 |
37.532103 | 126.914133 | 전쟁기념관이 안재후-여진정벌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019년 이용환-귀주대첩
1270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1356년 문학진-쌍성수복
1370년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376년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ATV]한국의 정신- 76회 윤관(게시일: 2016년 3월 31일)
주석
- ↑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웹 자원
유용한 정보
-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여진정벌",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