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병자호란(丙子胡亂)
이장희,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7월 27일.
대표명칭 병자호란
한자표기 丙子胡亂
이칭 병정노란(丙丁虜亂)
유형 사건
시대 조선시대
날짜 1636년 12월-1637년 1월
관련인물 조선 인조
관련장소 남한산성, 강화도


정의

1636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청나라가 조선을 두 번째 침입하여 일어난 전쟁이다.

내용

병자호란의 배경

  • 조선은 정묘호란 이후 후금의 요구를 들어 1628년(인조 6) 이후 무역을 통해 조선의 예폐(禮幣: 외교관계에서 교환하는 예물) 외에도 약간의 필수품을 공급해 주었다. 그러나 그들은 당초의 맹약을 위반하고 식량을 강청하고 병선(兵船)을 요구하는 등 온갖 압박을 가하였고 후금군이 압록강을 건너 변경 민가에 침입해 약탈을 자행하였다. 이런 상황 때문에 조선의 여론은 군사를 일으켜 후금을 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격증하게 되었다.[1]
  • 1636년 용골대(龍骨大)·마부태(馬夫太) 등이 후금 태종의 존호(尊號)를 조선에 알리고, 인렬왕후의 문상(問喪)을 위채 조선에 사신으로 왔다. 이들은 조선에 군신의 의를 강요하였고, 이로 인해 조선의 분노는 폭발하게 되었다. 이들은 민가의 마필을 빼앗아 도주하면서 조선 조정에서 평안도관찰사에 내린 유문(諭文)을 빼앗아 본국으로 가져가게 되었다. 이로써 후금은 조선의 후금에 대한 반감을 알게 되었다. 후금은 나라 이름을 '청'으로 고치고, 심양(瀋陽)에 간 조선 사신에게 왕자와 대신 및 척화론을 주창하는 자를 압송하라는 최후 통첩을 보내왔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그들의 요구를 묵살하였다.[2]

병자호란 발발

굴욕적인 전쟁의 결과

  • 청 태종남한산성을 포위하였다. 이렇다 할 큰 싸움 없이 40여일이 지나자 성안의 참상은 말이 아니었다. 이러할 즈음 각 도의 관찰사와 병사가 거느리고 올라왔던 관군들은 목적지에 이르기도 전에 무너졌다. 남한산성은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절망적인 상태가 되었다. 결국 강화도마저 점령 당하여 인조는 출성을 결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인조는 서문으로 출성해 한강 동편 삼전도(三田渡)에서 성하(城下)의 맹(盟)으로 예를 행한 뒤 한강을 건너 서울로 돌아왔다. 이로써 조선은 명과의 관계를 완전히 끊고 청나라에 복속하게 되었다. [4]

지식 관계망

  • 산성일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병자호란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청 숭덕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조선 인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묘호란 청 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소헌세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마부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임경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김자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최명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김경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남한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강화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인조 소헌세자 A는 B의 아버지이다 A ekc:hasSon B
소헌세자 민회빈 강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병자호란 을병연행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고산유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의복 목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상례초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이륜행실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산성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병자호란 무목왕정충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27년 1월-3월 정묘호란이 발생하였다
1636년 12월-1637년 1월 병자호란이 발생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78554 127.180369 병자호란 시기 인조남한산성으로 피신하였다
37.752417 126.485976 병자호란시기 조선의 왕족들은 강화도로 피신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장희,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장희,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장희,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장희,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지두환, 「조선 병자호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한국학논총』, Vol.34, No.-,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795-815쪽.
    • 남은경, 「병자호란과 그 후의 기록 『심양장계(瀋陽狀啓)』」, 『한국문화연구』, Vol.14, N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8, 35-62쪽.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이장희, "병자호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