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덕휴-장성광업소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장성광업소
최덕휴-장성광업소-1973s.jpg
작가 최덕휴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광공업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공업화에 필수적인 석탄에너지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의 장성광업소를 그린 최덕휴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장성광업소(長省鑛業所)는 강원도 태백시 장성동에 있는 무연탄 광산이다. 1936년 삼척탄광으로 개광하여 광복 후 미군정과 상공부 직할을 거쳐 1950년에 출범한 대한석탄공사(석공)에 이관되었다.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장성광업소로 분리되었다.
광산은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1964~1969년 제1 수갱(竪坑)이 설치된 데 이어 1978~1985년 제2 수갱이 설치됨으로써 생산량 증대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수압식 지주를 이용한 톱 슬라이싱 채탄법(Top slicing method)을 실시하는 등 광산의 기계화를 위한 다양한 투자가 이루어졌다. 탄광촌도 발달하여 화광동·신흥동·문곡동·협심동·평화동·문화동·금천동 등지에 광부들의 사택이 밀집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 석탄 수요가 급감하여 석탄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게 되자 장성광업소도 규모가 축소되고 탄광촌도 공동화 현상(空洞化 現狀)이 나타났다.
개광 이래 2014년까지 총 9,167만 793t을 생산하였으며, 2015년에는 47만 3,000t을 생산하였다. 2014년을 기준으로 16개 광구(총 면적 48.16㎢, 갱도 길이 329㎞)가 있으며, 이 가운데 7개 광구에서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2개 광구는 채굴이 종료되었고, 나머지 7개 광구는 채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무연탄의 총 매장량은 1억 5,400만t이며, 이 가운데 기술적·경제적으로 캐낼 수 있는 가채매장량(可採埋藏量)은 2,500만t이다.[1]

그림 읽기

장성광업소최덕휴 「장성광업소」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덕휴-장성광업소 최덕휴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최덕휴-장성광업소 장성광업소 A는 B를 소재로 한다 A ekc:depicts B
최덕휴-장성광업소 석탄산업 A는 B를 소재로 한다 A ekc:depicts B
장성광업소 석탄산업합리화정책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도계광업소 석탄산업합리화정책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순광업소 석탄산업합리화정책 A는 B와 관계가 있다 A edm:isRelatedTo B
삼척탄광 장성광업소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톱슬라이싱 채탄법 장성광업소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대한석탄공사 화순광업소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최덕휴최덕휴-장성광업소를 제작하였다
1979년 현대미술관최덕휴-장성광업소를 대여하였다
1936년 장성광업소의 전신인 삼척탄광이 개광하였다
1951년 삼척탄광장성광업소도계광업소로 분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31732 127.020548 현대미술관최덕휴-장성광업소를 대여하였다
37.106560 129.005790 장성광업소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다
  • 현대 기업의 탄생 전자지도

  • 우리나라 대표적인 탄광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 대한뉴스 제1168호-최규하 국무총리 탄광촌 시찰

주석

  1. "장성탄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2. 웹 자원
    • 홍경희, "장성탄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