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고문헌관 개관
Encyves Wiki
한글고문서관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는 2016년 6월 29일 시작되어 12월 31일에 끝났습니다. 고문서 및 고서의 필사본, 목판본, 금속활자본, 석인본, 회화 등총 155점의 한글 관련 고문헌으로 구성되어 있던 전시는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 해당 특별전이 지닌 가치와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디지털 환경의 한글 고문헌 전시관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본 과제는 단순한 매체 이전의 차원을 넘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지식 관계망의 도출과 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조성하였습니다. 전시자료에 해당하는 대략 150여 편의 고문헌을 중심으로 약 500여 건의 지식노드(전시자료 150여 편, 인물 정보 200여 건, 공간 정보 50여 건, 사건 30여 건, 개념어 30여 건, 저작물 40여 건)를 추출하고, 그 의미적 연관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한 통합적 디지털 콘텐츠를 편찬하였습니다.
한글고문서 가상 전시관
지식 관계망 예시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기획기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낙선재와 한글소설 | |
![]()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중심기사 / 주제 1: 세종의 리더십과 한글 창제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
![]() |
훈민정음 해례본 | |
![]() |
동국정운 | |
![]() |
홍무정운역훈 | |
![]() |
용비어천가 | |
![]() |
월인천강지곡 | |
![]() |
월인석보 | |
![]() |
수능엄경 | |
![]() |
대불정수능엄경 |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
![]() |
훈몽자회 | |
![]() |
화동정음통석운고 | |
![]() |
훈민정음도해 | |
![]() |
언문지 |
중심기사 / 주제 2: 애민 - 소통과 삶의 길을 열다
지식과 교양을 넓히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삼강행실도 | |
![]() |
속삼강행실도 | |
![]() |
이륜행실도 | |
![]() |
오륜행실도 | |
![]() |
행실도십곡병풍 | |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
![]() |
천자문 | |
![]() |
분류두공부시 언해 | |
![]() |
어제자성편언해 | |
![]() |
어제계주윤음 | |
![]() |
어제경민음 | |
![]() |
가체신금사목 |
백성의 삶을 돌보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언해두창집요 | |
![]() |
언해태산집요 | |
![]() |
태교신기언해 | |
![]() |
임산예지법 | |
![]()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
![]() |
구급간이방언해 | |
![]() |
언해납약증치방 | |
![]() |
신간구황촬요 | |
![]() |
자휼전칙 |
나라의 일을 함께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선조 국문 유서 | |
![]() |
정조윤음 | |
![]() |
헌종윤음 | |
![]() |
고종윤음 | |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
![]() |
화포식언해 | |
![]() |
신전자초방 | |
![]() |
병학지남 | |
![]() |
신간증보삼략직해 | |
![]() |
무예도보통지언해 | |
![]() |
증수무원록언해 | |
![]() |
마경초집언해 | |
![]() |
산성일기 | |
![]() |
을병연행록 | |
![]() |
무오연행록 |
경험과 생활을 공유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권노실 소지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
![]()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
![]() |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 |
![]() |
윤인미 배지 | |
![]() |
이사원 등 고목 | |
![]() |
도민 고목 | |
![]() |
김학신 고목 | |
![]() |
이병관 수표 | |
![]() |
추수기 | |
![]() |
세금 납부 자문 | |
![]() |
양문탑동표석 |
중심기사 / 주제 3: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삶과 일상을 기록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혜경궁 읍혈록 | |
![]() |
한산이씨 고행록 | |
![]() |
풍양조씨 자기록 | |
![]() |
음식디미방 | |
![]() |
규합총서 | |
![]() |
주식시의 | |
![]() |
호산춘주 제조법 | |
![]() |
언문후생록 | |
![]() |
풍산류씨 세계 | |
![]() |
기일록 | |
![]() |
기일생신쳡 | |
![]() |
의복 목록 | |
![]() |
염습제구 목록 | |
![]() |
제기치부 | |
![]() |
묘법연화경 | |
![]() |
명성대비전유 |
여성의 뜻을 세우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소지 | |
![]() |
초계정씨 단자 | |
![]() |
광산김씨 상언 | |
![]() |
정씨부인 원정 | |
![]() |
김씨부인 원정 | |
![]() |
윤씨부인 단자 | |
![]() |
이씨부인 분재문기 | |
![]() |
유정린 분재 편지 | |
![]() |
송시열 분재 편지 |
규범을 배우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여사서 | |
![]() |
어제내훈 | |
![]() |
곤범 | |
![]() |
열성후비지문 | |
![]() |
선보집략언해 | |
![]() |
학봉 행장 언해 | |
![]() |
여자초학 | |
![]() |
우암계녀서 | |
![]() |
연행만록 |
의례를 행하다
중심기사 / 주제 4: 문예 - 자연과 삶을 노래하다
시가, 감성을 향유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악장가사 | |
![]() |
도산십이곡 | |
![]() |
고산구곡도 | |
![]() |
송강가사 | |
![]() |
고산유고 | |
![]() |
청구영언 | |
![]() |
학석집 | |
![]() |
기각한필 | |
![]() |
가사집 | |
![]() |
고문진보언해 |
소설, 재미에 빠지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완월회맹연 | |
![]() |
문장풍류삼대록 | |
![]() |
규방미담 | |
![]() |
태원지 | |
![]() |
청백운 | |
![]() |
징세비태록 | |
![]() |
형세언 | |
![]() |
홍루몽 | |
![]() |
무목왕정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