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한글팀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01 내용.jpg
한자명칭 東宮嘉禮時 胸背件記
영문명칭 A list of clothes and accessories for the wedding ceremony of Sunjong
작자 미상
간행시기 1882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1242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5.7×260.4cm
판본 필사본
수량 1장
표기문자 한글


정의

1882년(조선 고종 19) 왕세자 척의 가례를 위해 장만한 흉배, 베개, 노리개 등을 기록한 발기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본 발기의 배면에는 '임요쳔만셰 동궁마마 가례시 륭흉 침 노리개 ᄇᆞᆯ긔'라는 기록이 있어 그 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연보라색, 송화색, 연보라색, 갈색, 송화색, 갈색 등의 한지를 연결하였으며, 가례에 필요한 흉배를 비롯하여, 적의에 사용될 수장식, 주머니, 향갑, 운혜, 방석, 부채, 노리개, 베개 등의 물목을 기록하였다. 가례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가 금침(衾枕)이다. 이불에 사용된 직물은 도류단, 저우사, 별문영초, 왜주, 별문영견 등 최고급의 비단이 사용되었다. 또한 계절에 맞춰 솜을 둔 것도 있고 겹으로만 제작한 것도 있으며, 솜을 얇게 두고 누빈 것도 있다. 누비를 할 때에도 누비의 간격을 달리하여 잔누비, 잔주누비를 만들었으며, 솜을 두껍게 두어 넓게 누빔으로써 오목오목한 효과를 낸 오목누비와 솜을 얇게 둠으로써 납작한 느낌이 나오도록 한 납작누비도 있다. 베개는 용도와 장소에 따라 공침, 별궁침, 가례시침으로 구분하였으며 용도별로 베개 수가 달리 준비되었다. 베개 양쪽 마구리에는 왕과 왕비를 상징하는 용, 봉황뿐 아니라 부부의 금슬을 상징하는 오리, 장수를 상징하는 십장생, 해학반도, 기린과 부귀영화를 상징하는 모란 등을 수놓았다. [1]

발기

조선시대 국혼·명절·탄일·진찬·제향 등의 왕실 행사에서 소요될, 혹은 소요된 물품목록을 적은 문서가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데, 문서의 제목에는 한글로 'ᄇᆞᆯ기', '건긔', '단자', 한자로는 '발기(發記)', '건기(件記)', '단자(單子)' 등으로 적혀 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왕실발기는 한지 두루마기에 쓴 것들이 대부분이지만, 얇고 질이 떨어지는 종이에 메모하듯이 써 놓은 것들도 있다. [2]

순종과 순명효황후의 가례

1882년 후에 순종이 되는 왕세자 척의 첫번째 가례(혼례)이다. 3차에 걸친 간택(揀擇:왕,왕자,공주의 배우자를 선택함)에서 민태호의 딸, 순명효황후 민씨가 뽑혔다. 가례(혼례)의 절차는 『국조오례의』를 따르고 있다. 사용된 복식은 『가례도감의궤』와 『일방의궤』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례도감의궤』에서는 250여년의 복식명과 의차(衣次:옷감)가 모두 같게 기록되어 있다. 이는 왕실의례라는 특성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복식을 제작한 궁녀들의 기록인 '발기'에는 현존하는 왕실 유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복식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의차(옷감)도 차이를 보인다. [3]

왕세자빈(순명효황후)의 1882년 가례(혼례)관련 발기는 의대 발기가 「임오쳔만셰동궁마마가례시빈궁마누라의침방의문져라주오신기」, 「임오쳔만셰가례시빈궁마마의긔[침방]」, 「임오쳔만세동궁마마가례시간후보오실빈궁마누라의발긔」, 「임오쳔만세동궁마마가례시[삼간시]빈궁마누라의발긔」,「임오쳔만셰동궁마마가례시빈궁마누라의발긔」 등이 있다. 또 의차(衣次:옷감)발기는 「壬午正月嘉禮時揀擇處子衣次」 1건이, 수방(繡房:궁궐에서 수놓는 일을 하던 곳)발기로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가 있다. [4]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의 내용

흉배(胸背)는 조선시대 왕족과 관리들이 있는 복식의 가슴과 등에 붙이는 장식품이다. 문양에 따라 품계를 나타내었다. 왕과 왕세자는 용무늬를 수놓은 원형의 흉배를 가슴, 등 그리고 양 어깨에 붙였다.[5] 적의는 왕비의 복식으로, 혼례와 같은 왕실의 경사스런 행사에서는 금으로 수놓은 흉배를 붙여 사용하였다. [6] 향갑은 향을 담는 조그만 상자이다. 거실이나 침실에 놓아두거나, 여성들의 경우 장신구로 만들어 몸에 지니기도 하였다. [7] 운혜(雲鞋)는 앞과 뒤에 구름무늬를 새긴 여성의 신발이다. 『상방정례』와 각종 의례 발기 등에서 언급되고 있어 조선전기부터 말까지 궁중에서 신었음을 알 수 있다. [8] 노리개는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의 허리부분에 차는 여성들의 장신구이다. [9] 해학반도(海鶴蟠桃)는 바다, 학, 반도복숭아 등으로 오래 살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 [10]


연계 자원 보러 가기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해독)


지식 관계망

  • 왕세자 가례 차비관 발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 순종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순명효황후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조선 순종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순명효황후 민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순명효황후 민씨 조선 순종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흉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향갑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운혜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노리개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금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도류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저우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별문영초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왜주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별문영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가례도감의궤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상방정례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국조오례의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82년 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가 저술되었다.
1882년 순종 순명효황후 가례가 시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왕세자 흉배 패물 발기를 소장하였다

시각자료

사진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12쪽.
  2. 주영하, 「1882년 왕세자 척의 혼례 관련 왕실음식발기 연구」, 『고문서연구』 48, 한국고문서학회, 2016, 339쪽.
  3. 안예영, 「1882(壬午)年 王世子 嘉禮 硏究-《가례도감의궤》와 〈궁중ᄇᆞᆯ긔〉 중심으로」, 『장서각』 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34-135쪽.
  4. 안예영, 「1882(壬午)年 王世子 嘉禮 硏究-《가례도감의궤》와 〈궁중ᄇᆞᆯ긔〉 중심으로」, 『장서각』 2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131쪽.
  5. 조효순, "흉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유희경, "적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손경자, "향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조효순, "운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9. 김희진, "노리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조기형,이상억,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이담북스, 2011. 온라인 참조: "해학반도",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1. 유송옥,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수학사, 1991.
    2. 장서각, 『조선왕실의 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 논문
    1. 박혜진, 「조선시대 후기 궁중패물 연구-《궁중발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단국다핵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 김봉좌, 「왕실 의례를 위한 발기(件記)의 제작과 특성 - 1882년 왕세자 가례를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65, 한국서지학회, 2016.
    3. 이명은, 「《궁중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이민주, 「장서각소장 왕실발기로 보는 순종 가례 복식연구」, 『고문서연구』 48, 한국고문서학회, 2016.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