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만록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행만록
한글팀 연행만록 04.jpg
한자명칭 燕行漫錄
영문명칭 A translation of Ouyang Xiu's writing by Jeong Gyeongse
작자 정경세
간행시기 17세기
기탁처 진주정씨 우복종택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1.7×32.0㎝
판본 필사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정의

정경세가 1609년(조선 광해군 1)에 쓴 연행 기록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정경세(鄭經世, 1563~1643) 는 동지사(冬至使)로 연경에 다녀왔으며 이때 경험을 바탕으로 『연행만록』을 썼다. 사행단의 직책과 성명을 기록한 원역(員役), 황제에게 바치는 공물 목록을 기록한 진헌방물(進獻方物), 각종 문서(文書), 사행길의 도리(道里), 산천(山川), 성보(城堡), 명나라의 지방행정조직, 영사시(詠史詩)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포함된 「농강천표(瀧岡千表)」는 구양수의 모친이 구양수에게 그 부친의 생전 언행을 전하는 내용이다. 세시 제사를 올릴 때나 술과 고기를 먹을 때마다 눈물을 흘리며 부모를 생각하던 일, 관원으로서 백성의 원한을 풀어주고자 밤늦도록 공무를 보던 일,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고 어린 아들에게 전하라고 당부하던 일 등을 기록하였다. [1]

「농강천표」

농강천표(瀧岡千表)」는 「롱강천표」, 「상강천표」라고도 하는데 농강(瀧岡)은 중국의 지명으로서 중국 현지에서는 상강으로 불린다. 구양수의 비지문은 조선 후기 문인들과 사대부가 부녀자들 사이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망자가 여성일 때 비지문은 전통적 유교 규범을 충실히 따르는 여성상을 구현하거나 작자의 정에 의거하여 망자의 생애를 서정적으로 그리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 중 조선 후기 사대부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비지문은 전자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구양수의 비지문 중에서는 특히 「농강천표(瀧岡千表)」가 널리 읽혔다. 남성 문인들은 스스로를 불효자라 하여 부친 사후 60년, 모친 사후 17년만에야 「농강천표(瀧岡千表)」를 지었다는 점과 저자 자신이 드러내고자 했던 점만을 부각해서 간결히 서술했던 점에 주목하였다. 반면 사대부가의 여성들은 「농강천표(瀧岡千表)」의 화자인 구양수의 어머니가 남편의 덕을 주체적으로 기술했다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추정된다. [2] 『연행만록』에 실린 것은 「농강천표(瀧岡千表)」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연행만록 정경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연행만록 농강천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농강천표 구양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연행만록 진주정씨 우복종택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연행만록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조선 후기 정경세가 연행만록를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475354 128.061761 진주정씨 우복종택에 연행만록이 소장되어 있다.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연행만록이 소정되어 있다.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92쪽.
  2. 안순태, 「구양수(歐陽修)의 「롱강천표(瀧岡阡表)」와 조선후기(朝鮮後期) 비지문(碑誌文)」, 『한문고전연구』1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