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한글팀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01 표지.jpg
한자명칭 明成皇后加上尊號玉冊文
영문명칭 A Korean book produced for the ritual of bestowing posthumous title to Queen Myeongseong of Gojong
작자 미상
간행시기 1890년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2-4047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6.9×15.8cm
판본 필사본
수량 1첩
표기문자 한글


정의

1890년(조선 고종 27) 왕비인 명성황후 민씨에게 존호를 올리는 의례를 위하여 제작한 한글본 책문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5절 10면의 첩장으로, 겉면을 붉은색 비단으로 감싸고 흰색 제첨에 '명셩황후상됴호옥ᄎᆡᆨ문 ', 좌측 상단에 '경인이월십일일'이라고 명기하였다. 표지는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1851~1895)의 시호를 '명성(明成)'으로 정한 1897년 이후에 개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문은 한 면에 7행 12자를 쓸 수 있도록 붉은 인찰선을 긋고 격식에 맞추어 썼다. 고종은 1890년(고종27) 1월 27일에 경복궁 근정전에서 헌종 효정왕후 홍씨(1831~1903)의 보령 60세를 경하하기 위하여 존호를 가상하는 의례를 행했는데, 이때 왕세자( 순종)는 명성황후 민씨의 보령이 40세에 이른 것 또한 경하하기를 원하였다. 이에 따라 2월 11일에 고종경복궁 근정전에서 신정왕후 조씨(1809~1890)효정왕후 홍씨에게 옥책, 옥보, 치사(致詞), 전문(箋文)을 친히 올렸고, 왕세자고종명성황후 민씨를 위하여 옥책, 옥보, 전문을 올렸다. 당시 의례의 구체적인 내용은 『가상존호도감의궤(加上尊號都監儀軌, 1890)』에서 살펴 볼 수 있다. 명성황후 민씨의 옥책문 제술관은 홍문관대제학 한장석(韓章錫, 1832~1894), 서사관은 광주부유수 민영소(閔泳韶, 1852~1917)였다. 본 옥책문은 한문본의 한자음을 한글로 옮기되 격식은 동일하게 갖추어 썼다. 책보를 올리는 의례에는 책문을 낭독하는 절차가 포함되어 있는데, 비빈의 경우에는 여관(女官)이 낭독하므로 한글본을 별도로 제작하였다.[1]

책문

책문(冊文)은 금, 은, 옥, 대나무, 나무 등으로 만든 조각에 글자를 쓰거나 새겨 엮은 것으로 종이가 사용되기 이전의 보편적인 기록물 형태였다. 종이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점차 사라졌으나 예를 중시하는 황실에서는 계속 사용되었는데 금책, 옥책, 죽책 등이 그것이다. 조선에서 책문은 왕비 이상의 인물들에 대한 책봉, 상호(上號:존호, 시호 등을 지어 올림) 등에 옥책이 사용되었다. 왕세자, 왕세제, 왕세손 및 그들의 배우자를 책봉하거나 중전이 아닌 왕의 생모에게 존호를 올리는 경우에는 죽책이 사용되었다.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에는 금책이 사용되었다.[2]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의 내용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에서는 "효자원성(孝慈元聖)왕비전하가 덕과 공이 뛰어나고 효경(孝敬)하여 대왕대비를 잘 받들었으며, 왕비가 된 뒤 보필을 잘하여 나라에 온갖 복이 들게 하였다"고 하면서 "40세 이후에도 송백(松柏)같기를 바라며 '왕화(正化)'라는 존호를 올린다"고 하고 있다. 그 의례 양상은 『가상존호도감의궤(加上尊號都監儀軌)』에 기술되어 있다. 이 책문은 김영수가 쓴 『명성황후가상옥책문(明成皇后加上尊號玉冊文)』의 한글본이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명성황후 민씨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성황후 민씨 조선 고종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종신정왕후효정왕후명성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성황후 민씨 순종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경복궁 근정전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경복궁 근정전 경복궁 A는 B에 위치한다 A dcterms:isPartOf B
조선 고종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순종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를 주도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명성황후 민씨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효정왕후 홍씨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효정왕후 홍씨 조선 헌종 A는 B의 아내이다 A ekc:hasHusband B
신정왕후 조씨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효정왕후 홍씨 조선 고종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신정왕후 조씨 조선 고종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한장석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민영소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명성황후가상옥책문 A는 B의 언해본이다 A edm:isDerivativeOf B
명성황후가상옥책문 김영수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90년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이 시행되었다.
1890년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이 저술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8507 126.976965 경복궁 근정전에서 명성황후·효정왕후·신정왕후 가상존호의식이 시행되었다.
37.39197 127.054387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을 소장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224쪽.
  2. 장을연, 「대한제국기 金冊의 현황과 양식적 특징」, 『고문서연구』 46, 한국고문서학회, 2015, 207쪽.
  3. "명성황후상존호옥책문", 『왕실도서관 장서각 아카이브』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조선왕실의 여성』,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2. 김목한 등, 『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