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고문헌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한글고문서 가상 전시관) |
(→지식 관계망 예시)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A201/A2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Contents_A}} | {{:Contents_A}} |
2024년 3월 13일 (수) 14:24 판
한글고문서관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는 2016년 6월 29일 시작되어 12월 31일에 끝났습니다. 고문서 및 고서의 필사본, 목판본, 금속활자본, 석인본, 회화 등총 155점의 한글 관련 고문헌으로 구성되어 있던 전시는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 해당 특별전이 지닌 가치와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디지털 환경의 한글 고문헌 전시관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본 과제는 단순한 매체 이전의 차원을 넘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지식 관계망의 도출과 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조성하였습니다. 전시자료에 해당하는 대략 150여 편의 고문헌을 중심으로 약 500여 건의 지식노드(전시자료 150여 편, 인물 정보 200여 건, 공간 정보 50여 건, 사건 30여 건, 개념어 30여 건, 저작물 40여 건)를 추출하고, 그 의미적 연관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한 통합적 디지털 콘텐츠를 편찬하였습니다.
한글고문서 가상 전시관
지식 관계망 예시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기획기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낙선재와 한글소설 |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중심기사 / 주제 1: 세종의 리더십과 한글 창제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
훈민정음 해례본 | ||
동국정운 | ||
홍무정운역훈 | ||
용비어천가 | ||
월인천강지곡 | ||
월인석보 | ||
수능엄경 | ||
대불정수능엄경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
훈몽자회 | ||
화동정음통석운고 | ||
훈민정음도해 | ||
언문지 |
중심기사 / 주제 2: 애민 - 소통과 삶의 길을 열다
지식과 교양을 넓히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삼강행실도 | ||
속삼강행실도 | ||
이륜행실도 | ||
오륜행실도 | ||
행실도십곡병풍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
천자문 | ||
분류두공부시 언해 | ||
어제자성편언해 | ||
어제계주윤음 | ||
어제경민음 | ||
가체신금사목 |
백성의 삶을 돌보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언해두창집요 | ||
언해태산집요 | ||
태교신기언해 | ||
임산예지법 |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
구급간이방언해 | ||
언해납약증치방 | ||
신간구황촬요 | ||
자휼전칙 |
나라의 일을 함께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선조 국문 유서 | ||
정조윤음 | ||
헌종윤음 | ||
고종윤음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
화포식언해 | ||
신전자초방 | ||
병학지남 | ||
신간증보삼략직해 | ||
무예도보통지언해 | ||
증수무원록언해 | ||
마경초집언해 | ||
산성일기 | ||
을병연행록 | ||
무오연행록 |
경험과 생활을 공유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권노실 소지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 ||
윤인미 배지 | ||
이사원 등 고목 | ||
도민 고목 | ||
김학신 고목 | ||
이병관 수표 | ||
추수기 | ||
세금 납부 자문 | ||
양문탑동표석 |
중심기사 / 주제 3: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삶과 일상을 기록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혜경궁 읍혈록 | ||
한산이씨 고행록 | ||
풍양조씨 자기록 | ||
음식디미방 | ||
규합총서 | ||
주식시의 | ||
호산춘주 제조법 | ||
언문후생록 | ||
풍산류씨 세계 | ||
기일록 | ||
기일생신쳡 | ||
의복 목록 | ||
염습제구 목록 | ||
제기치부 | ||
묘법연화경 | ||
명성대비전유 |
여성의 뜻을 세우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소지 | ||
초계정씨 단자 | ||
광산김씨 상언 | ||
정씨부인 원정 | ||
김씨부인 원정 | ||
윤씨부인 단자 | ||
이씨부인 분재문기 | ||
유정린 분재 편지 | ||
송시열 분재 편지 |
규범을 배우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여사서 | ||
어제내훈 | ||
곤범 | ||
열성후비지문 | ||
선보집략언해 | ||
학봉 행장 언해 | ||
여자초학 | ||
우암계녀서 | ||
연행만록 |
의례를 행하다
중심기사 / 주제 4: 문예 - 자연과 삶을 노래하다
시가, 감성을 향유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악장가사 | ||
도산십이곡 | ||
고산구곡도 | ||
송강가사 | ||
고산유고 | ||
청구영언 | ||
학석집 | ||
기각한필 | ||
가사집 | ||
고문진보언해 |
소설, 재미에 빠지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완월회맹연 | ||
문장풍류삼대록 | ||
규방미담 | ||
태원지 | ||
청백운 | ||
징세비태록 | ||
형세언 | ||
홍루몽 | ||
무목왕정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