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고문헌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제4장 문예 - 자연과 삶을 노래하다) |
(→제3장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
||
183번째 줄: | 183번째 줄: | ||
=='''제3장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 =='''제3장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15% | | + | ! width=15% | 이미지 || width=45% | 한글고문서 || 비고 |
|- | |- | ||
|[[파일:한글팀 혜경궁 읍혈록 01 권 123.jpg|160x120px]]|| [[혜경궁 읍혈록]] || | |[[파일:한글팀 혜경궁 읍혈록 01 권 123.jpg|160x120px]]|| [[혜경궁 읍혈록]] || | ||
218번째 줄: | 217번째 줄: | ||
|- | |- | ||
|[[파일:한글팀_명성대비전유_01_표지.jpg|160x120px]]|| [[명성대비전유]] || | |[[파일:한글팀_명성대비전유_01_표지.jpg|160x120px]]|| [[명성대비전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한글팀_참의_황여일_처_숙부인_이씨_유서_01_표지.jpg|160x120px]]||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파일:한글팀_참의_황여일_처_숙부인_이씨_유서_01_표지.jpg|160x120px]]||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
243번째 줄: | 236번째 줄: | ||
|[[파일:한글팀_유정린_분재_편지_01.jpg|160x120px]]|| [[유정린 분재 편지]] || | |[[파일:한글팀_유정린_분재_편지_01.jpg|160x120px]]|| [[유정린 분재 편지]] || | ||
|- | |- | ||
− | |[[파일:한글팀 송시열 분재 편지 국립청주박물관 01.jpg|160x120px]]|| [[송시열 분재 편지]] | + | |[[파일:한글팀 송시열 분재 편지 국립청주박물관 01.jpg|160x120px]]|| [[송시열 분재 편지]]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한글팀_여사서_표지.jpg|160x120px]]|| [[여사서]] || | |[[파일:한글팀_여사서_표지.jpg|160x120px]]|| [[여사서]] || | ||
268번째 줄: | 255번째 줄: | ||
|- | |- | ||
|[[파일:한글팀_연행만록_04.jpg|160x120px]]|| [[연행만록]] || | |[[파일:한글팀_연행만록_04.jpg|160x120px]]|| [[연행만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한글팀_선원전_은제기_목록_일실제기_1896_01_01.jpg|160x120px]]|| [[선원전 은제기 목록]] || | |[[파일:한글팀_선원전_은제기_목록_일실제기_1896_01_01.jpg|160x120px]]|| [[선원전 은제기 목록]] || |
2017년 11월 24일 (금) 13:03 판
목차
한글고문서관
2016 장서각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는 2016년 6월 29일 시작되어 12월 31일에 끝났습니다. 고문서 및 고서의 필사본, 목판본, 금속활자본, 석인본, 회화 등총 155점의 한글 관련 고문헌으로 구성되어 있던 전시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 해당 특별전이 지닌 가치와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재현하였습니다.
디지털 환경의 한글 고문헌 전시관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본 과제는 단순한 매체 이전의 차원을 넘어서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지식 관계망의 도출과 수요자 중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조성하였습니다. 전시자료에 해당하는 대략 150여 편의 고문헌을 중심으로 약 500여 건의 지식노드(전시자료 150여 편, 인물 정보 200여 건, 공간 정보 50여 건, 사건 30여 건, 개념어 30여 건, 저작물 40여 건)를 추출하고, 그 의미적 연관 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한 통합적 디지털 콘텐츠를 편찬하였습니다.
한글고문서 가장 전시관
지식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제1장 세종의 리더십과 한글 창제
세종의 배려와 통합의 정신
미리 보기 | 기사 제목 | 비고 |
---|---|---|
85x120px | 세종대왕 표준영정 |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
미리 보기 | 기사 제목 | 비고 |
---|---|---|
훈민정음 해례본 | ||
동국정운 | ||
홍무정운역훈 | ||
용비어천가 | ||
월인천강지곡 | ||
월인석보 | ||
수능엄경 | ||
대불정수능엄경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
훈몽자회 | ||
화동정음통석운고 | ||
훈민정음도해 | ||
언문지 |
제2장 애민 - 소통과 삶의 길을 열다
지식과 교양을 넓히다
미리 보기 | 기사 제목 | 비고 |
---|---|---|
삼강행실도 | ||
속삼강행실도 | ||
이륜행실도 | ||
오륜행실도 | ||
행실도십곡병풍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
천자문 | ||
분류두공부시 언해 | ||
어제자성편언해 | ||
어제계주윤음 | ||
어제경민음 | ||
가체신금사목 |
백성의 삶을 돌보다
미리 보기 | 기사 제목 | 비고 |
---|---|---|
언해두창집요 | ||
언해태산집요 | ||
태교신기언해 | ||
임산예지법 |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
구급간이방언해 | ||
언해납약증치방 | ||
신간구황촬요 | ||
자휼전칙 |
나라의 일을 함께하다
미리 보기 | 기사 제목 | 비고 |
---|---|---|
선조 국문 유서 | ||
정조윤음 | ||
헌종윤음 | ||
고종윤음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
화포식언해 | ||
신전자초방 | ||
병학지남 | ||
신간증보삼략직해 | ||
무예도보통지언해 | ||
증수무원록언해 | ||
마경초집언해 | ||
산성일기 | ||
을병연행록 | ||
무오연행록 |
경험과 생활을 공유하다
미리 보기 | 기사 제목 | 비고 |
---|---|---|
권노실 소지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 ||
윤인미 배지 | ||
이사원 등 고목 | ||
도민 고목 | ||
김학신 고목 | ||
이병관 수표 | ||
추수기 | ||
세금 납부 자문 | ||
양문탑동표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