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내용) |
||
43번째 줄: | 43번째 줄: | ||
[[이천서씨]]는 [[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 [[이천서씨]]는 [[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 ||
− | 무신란 이후에도 이부판사 [[서신(고려1)|서신]](徐愼 종1품),봉성군 [[서약진]](徐若珍),좌복야 [[서효리]] (徐孝理 정2품),밀직사사 [[서무질]](徐無疾 종2품),중추원사 [[서숭조]](徐崇祖 종2품),판도판서 [[서진]](徐晉 정3품),승지 [[서욱]](徐勖), 부령 [[서익]](徐翼),문하찬성사 [[서기준]](徐奇俊 종2품),정당문학 [[서희팔]](徐希八 정2품),판내시부사 [[서춘]](徐椿 종2품), 문하시중 [[서릉]](徐稜 종1품),대광내의령 [[서린(고려1)|서린]](徐鱗 종1품), 판도판서 [[서적]](徐迪), 문하시중 [[서원경]](徐元敬 종1품),문하찬성사 [[서영]](徐穎 종2품),동지밀직사사 [[서신계]](徐臣桂 종2품),승지 [[서녕]](徐寧), 판밀직사 [[서념]](徐恬 종2품),판내부사사 [[서진(고려1)|서진]](徐璡 종2품) 평장사 [[서충]](徐忠 정2품) 평장사 [[서윤]](徐玧 정2품), 판사재사 [[서효손]](徐孝孫 종2품),진현관대제학 [[서성윤]](徐成允 정2품),밀직사 [[서원(고려1)|서원]](徐遠 종2품), 추밀원사 [[서후상]](徐後祥 종2품), 평장사 [[서희찬]](徐希贊 정2품),밀직사 [[서영계]](徐永桂 종2품), 밀직사 [[서천량]](徐天亮 종2품), 봉익대부 서윤현(徐允顯 종2품),정당문학 [[서균형]](徐鈞衡 종2품),평장사 [[서인한]](徐仁漢 정2품) ,문하시중 [[서신]](徐信 종1품),병부령 [[서수(고려1)|서수]](徐秀 정2품) ,예빈사 소윤 [[서첨]](徐詹),병부낭중 [[서저]](徐氐), 판도좌랑 [[서평]](徐坪), 예빈소경 [[서광]](徐珖), 감찰어사 [[서의]](徐義),계성군 [[서원기]](徐原奇) 주부 [[서면]](徐冕), 소감 [[서정]](徐程),사인 [[서단]](徐亶),병부시랑 [[서장기]](徐長己),주부 [[서경의]](徐聲宜),소감 [[서화흡]](徐化洽),축하사절 [[서조]](徐助),예빈시윤 [[서추]](徐諏), 어사중승 [[서염(고려2)|서염]](徐琰),평장사 [[서원]](徐元), 집의 [[서연]](徐延),내의시랑 [[서희적]](徐希積),병부상서 [[서희량]](徐希亮 정3품),승지 [[서령]](徐領),생원 [[서영보]](徐永甫),중정대부 [[서선]](徐瑄), 만호 [[서혼]](徐琿),소감 [[서황]](徐晃),통직랑 [[서중린]](徐仲麟),별가 [[서윤공]](徐允公),호조전서 [[서의]](徐議 정3품), 병부시랑 [[서의(고려7)|서의]](徐誼), 병부시랑 [[서간]](徐諫),소감 [[서시의]](徐時義),판전객시사 [[서익진]](徐益進),감무 [[서천부]](徐天富),태관서령 [[서공기]](徐公騏),전공총랑 [[서능준]](徐能(陵)俊),판내부시사 [[서정수]](徐貞壽),요동진무사 [[서현]](徐顯),사마 [[서관]](徐寬) ,판도찬중 [[서원절]](徐元節),비인현사 [[서유]](徐愈), 성균관진사 [[서문찬]](徐文贊) 주부동정 [[서무]](徐茂),봉례공 [[서박]](徐樸),연산공 [[서직]](徐稷), 전서 [[서의(고려8)|서의]](徐義 정3품),봉정대부 [[서호덕]](徐好德) 등 15대 대대로 많은 재상을 배출하였다. | + | 무신란 이후에도 이부판사 [[서신(고려1)|서신]](徐愼 종1품),봉성군 [[서약진]](徐若珍),좌복야 [[서효리]] (徐孝理 정2품),밀직사사 [[서무질]](徐無疾 종2품),중추원사 [[서숭조]](徐崇祖 종2품),판도판서 [[서진]](徐晉 정3품),승지 [[서욱]](徐勖), 부령 [[서익]](徐翼),문하찬성사 [[서기준]](徐奇俊 종2품),정당문학 [[서희팔]](徐希八 정2품),판내시부사 [[서춘]](徐椿 종2품), 문하시중 [[서릉]](徐稜 종1품),대광내의령 [[서린(고려1)|서린]](徐鱗 종1품), 판도판서 [[서적]](徐迪), 문하시중 [[서원경]](徐元敬 종1품),문하찬성사 [[서영]](徐穎 종2품),동지밀직사사 [[서신계]](徐臣桂 종2품),승지 [[서녕]](徐寧), 판밀직사 [[서념]](徐恬 종2품),판내부사사 [[서진(고려1)|서진]](徐璡 종2품) 평장사 [[서충]](徐忠 정2품) 평장사 [[서윤]](徐玧 정2품), 판사재사 [[서효손]](徐孝孫 종2품),진현관대제학 [[서성윤]](徐成允 정2품),밀직사 [[서원(고려1)|서원]](徐遠 종2품), 추밀원사 [[서후상]](徐後祥 종2품), 평장사 [[서희찬]](徐希贊 정2품),밀직사 [[서영계]](徐永桂 종2품), 밀직사 [[서천량]](徐天亮 종2품), 봉익대부 서윤현(徐允顯 종2품),정당문학 [[서균형]](徐鈞衡 종2품),평장사 [[서인한]](徐仁漢 정2품) ,문하시중 [[서신]](徐信 종1품),병부령 [[서수(고려1)|서수]](徐秀 정2품) ,예빈사 소윤 [[서첨]](徐詹),병부낭중 [[서저]](徐氐), 판도좌랑 [[서평]](徐坪), 예빈소경 [[서광]](徐珖), 감찰어사 [[서의]](徐義),계성군 [[서원기]](徐原奇) 주부 [[서면]](徐冕), 소감 [[서정(고려1)|서정]](徐程),사인 [[서단]](徐亶),병부시랑 [[서장기]](徐長己),주부 [[서경의]](徐聲宜),소감 [[서화흡]](徐化洽),축하사절 [[서조]](徐助),예빈시윤 [[서추]](徐諏), 어사중승 [[서염(고려2)|서염]](徐琰),평장사 [[서원]](徐元), 집의 [[서연]](徐延),내의시랑 [[서희적]](徐希積),병부상서 [[서희량]](徐希亮 정3품),승지 [[서령]](徐領),생원 [[서영보]](徐永甫),중정대부 [[서선]](徐瑄), 만호 [[서혼]](徐琿),소감 [[서황]](徐晃),통직랑 [[서중린]](徐仲麟),별가 [[서윤공]](徐允公),호조전서 [[서의]](徐議 정3품), 병부시랑 [[서의(고려7)|서의]](徐誼), 병부시랑 [[서간]](徐諫),소감 [[서시의]](徐時義),판전객시사 [[서익진]](徐益進),감무 [[서천부]](徐天富),태관서령 [[서공기]](徐公騏),전공총랑 [[서능준]](徐能(陵)俊),판내부시사 [[서정수]](徐貞壽),요동진무사 [[서현]](徐顯),사마 [[서관]](徐寬) ,판도찬중 [[서원절]](徐元節),비인현사 [[서유]](徐愈), 성균관진사 [[서문찬]](徐文贊) 주부동정 [[서무]](徐茂),봉례공 [[서박]](徐樸),연산공 [[서직]](徐稷), 전서 [[서의(고려8)|서의]](徐義 정3품),봉정대부 [[서호덕]](徐好德) 등 15대 대대로 많은 재상을 배출하였다. |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고려)|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고려1)|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고려)|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고려)|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고려)|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고려1)|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고려)|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고려)|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고려3)|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
2022년 9월 23일 (금) 08:29 판
서눌(徐訥) | |
대표명칭 | 서눌 |
---|---|
한자표기 | 徐訥 |
생몰년 | ?-1042년(정종 8) |
본관 | 이천(利川) |
시호 | 원숙(元肅) |
시대 | 고려 |
부 | 서희(徐熙) |
자녀 | 원목왕후(元穆王后) |
목차
정의
고려 전기의 문신이다.
내용
아버지는 태보 내사령(太保內史令) 서희(徐熙)이다. 고려 제8대 현종의 제6비인 원목왕후(元穆王后)는 그의 딸이다.[1]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고려시대 권문세족은 이천 서씨,인주 이씨,해주 최씨,남양 홍씨가 4대 문벌귀족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천서씨에서 분파한 대구 서씨(大丘徐氏) 서성(徐渻 증 영의정) 후손이 3대 정승(서종태(徐宗泰 영의정),서명균(徐命均 좌의정),서지수(徐志修 영의정)),3대 대제학(서유신(徐有臣 대제학),서영보(徐榮輔 대제학),서기순(徐箕淳 대제학))을 최초로 6대 연속과 서명응(徐命膺 대제학),서호수(徐浩修 직제학), 서유구 (徐有榘 대제학) 3대 대학자를 연속 배출하여 조선에서는 서지약봉(徐之藥峰)이요.홍지모당(洪之慕堂) 으로 유명했고, 연리광김(延李光金)와 더불어 대구 서씨,풍산 홍씨,연안 이씨,광산 김씨가 조선 최고 4대 양반 가문으로 꼽힌다. 숙종때 이런 일화가 전한다.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비롯한 서씨 성을 가진 참판급 이상 중신이 30여명 이었다. 어느날 조회를 소집한 숙종이 용상에서 가만히 내려다보니, 오가는 대신들이 대부분 서씨들이라, “마치 어미 쥐가 새끼쥐를 거느리고 다니는 듯 하다!” 라고 말해 주변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숙종의 말씀이었으나, 영의정 서종태(徐宗泰)를 어미쥐로 빗대 그 아래 웅성거리는 서씨대신들의 융성함을 나타내는 기막힌 표현이였다.대구 서씨는 달성 서씨라고도 부른다.
이천서씨는 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무신란 이후에도 이부판사 서신(徐愼 종1품),봉성군 서약진(徐若珍),좌복야 서효리 (徐孝理 정2품),밀직사사 서무질(徐無疾 종2품),중추원사 서숭조(徐崇祖 종2품),판도판서 서진(徐晉 정3품),승지 서욱(徐勖), 부령 서익(徐翼),문하찬성사 서기준(徐奇俊 종2품),정당문학 서희팔(徐希八 정2품),판내시부사 서춘(徐椿 종2품), 문하시중 서릉(徐稜 종1품),대광내의령 서린(徐鱗 종1품), 판도판서 서적(徐迪), 문하시중 서원경(徐元敬 종1품),문하찬성사 서영(徐穎 종2품),동지밀직사사 서신계(徐臣桂 종2품),승지 서녕(徐寧), 판밀직사 서념(徐恬 종2품),판내부사사 서진(徐璡 종2품) 평장사 서충(徐忠 정2품) 평장사 서윤(徐玧 정2품), 판사재사 서효손(徐孝孫 종2품),진현관대제학 서성윤(徐成允 정2품),밀직사 서원(徐遠 종2품), 추밀원사 서후상(徐後祥 종2품), 평장사 서희찬(徐希贊 정2품),밀직사 서영계(徐永桂 종2품), 밀직사 서천량(徐天亮 종2품), 봉익대부 서윤현(徐允顯 종2품),정당문학 서균형(徐鈞衡 종2품),평장사 서인한(徐仁漢 정2품) ,문하시중 서신(徐信 종1품),병부령 서수(徐秀 정2품) ,예빈사 소윤 서첨(徐詹),병부낭중 서저(徐氐), 판도좌랑 서평(徐坪), 예빈소경 서광(徐珖), 감찰어사 서의(徐義),계성군 서원기(徐原奇) 주부 서면(徐冕), 소감 서정(徐程),사인 서단(徐亶),병부시랑 서장기(徐長己),주부 서경의(徐聲宜),소감 서화흡(徐化洽),축하사절 서조(徐助),예빈시윤 서추(徐諏), 어사중승 서염(徐琰),평장사 서원(徐元), 집의 서연(徐延),내의시랑 서희적(徐希積),병부상서 서희량(徐希亮 정3품),승지 서령(徐領),생원 서영보(徐永甫),중정대부 서선(徐瑄), 만호 서혼(徐琿),소감 서황(徐晃),통직랑 서중린(徐仲麟),별가 서윤공(徐允公),호조전서 서의(徐議 정3품), 병부시랑 서의(徐誼), 병부시랑 서간(徐諫),소감 서시의(徐時義),판전객시사 서익진(徐益進),감무 서천부(徐天富),태관서령 서공기(徐公騏),전공총랑 서능준(徐能(陵)俊),판내부시사 서정수(徐貞壽),요동진무사 서현(徐顯),사마 서관(徐寬) ,판도찬중 서원절(徐元節),비인현사 서유(徐愈), 성균관진사 서문찬(徐文贊) 주부동정 서무(徐茂),봉례공 서박(徐樸),연산공 서직(徐稷), 전서 서의(徐義 정3품),봉정대부 서호덕(徐好德) 등 15대 대대로 많은 재상을 배출하였다.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연성군(連城君)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徐煕), 서도(徐道), 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徐文伯), 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徐謇), 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徐敏齊) -.명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서눌(徐訥)은 성종 15년(996)에 〈과거에서〉 갑과(甲科)로 뽑혔고, 현종(顯宗) 때에 여러 차례 승진하여 상서이부시랑 겸 좌간의대부(尙書吏部侍郞 兼左諫義大夫)가 되었다가, 국자좨주 지이부사(國子祭酒 知吏部事)로 옮겼다. 왕이 서눌의 딸을 맞이하여 왕비로 삼았고, 서눌에게는 중추사 우산기상시(中樞使 右散騎常侍)를 제수했다가 차례를 건너뛰어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이부사(門下侍郞 同內史門下平章事 判尙書吏部事)로 임명하였다. 덕종(德宗) 초에 검교태사(檢校太師)를 더하였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승진하였다. 정종(靖宗) 때에는 판도병마사(判都兵馬使)가 되었다. 왕이 호부낭중(戶部郎中) 유선(庾先)을 거란(契丹)에 보내어 안무(安撫)에 대한 사의를 표하려 하자, 서눌이 아뢰어 이르기를, “지난해에 거란이 압록강 동쪽에 성과 보루를 증축하고서 이제 와서 다시 화친하려고 하니, 유선이 가는 길에 표문을 부쳐 파기할 것을 요청하십시오.”라고 하였다. 왕이 그 말을 좇았다.
〈정종〉 7년(1041)에 〈왕이〉 궤장(几杖)을 하사하였고 중대광(重大匡)을 더하였으며, 이듬해에는 2번 표문을 올려 사직을 간청하였지만 허락하지 않았다. 서눌이 병들어 지장사(地藏寺)에서 머물렀는데, 왕이 우승선(右丞宣) 김정준(金廷俊)을 보내어 문병하였고, 어의(御衣) 2벌, 곡식 1,000석, 말 2필을 사원에 시주하여 복 받기를 빌게 하였다. 병이 위독해지자 친히 문병하고서 제서를 내려 삼중대광 내사령(三重大匡 內史令)으로 올리고, 자손에게는 영업전(永業田)을 하사하였다. 그가 죽자 왕은 애도하고, 간경(簡敬)이란 시호를 내렸으며, 후에 정종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선종(宣宗) 3년(1086)에 선왕(先王)의 시호를 피하여 원숙(元肅)으로 고쳤다.
애초에 서필(徐弼)의 아버지 서신일(徐神逸)은 시골에 살았는데, 사슴이 도망하여 〈그에게〉 의탁하므로 서신일이 화살을 뽑고 숨겨주었더니, 사냥꾼이 추격해 왔으나 잡지 못하고 돌아갔다. 꿈에 신인이 나타나 감사하며 말하기를, “사슴은 바로 내 아들입니다. 그대 덕분에 죽지 않았으니, 공의 자손으로 하여금 대대로 고관대작이 되도록 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서신일은 나이 80에 서필을 낳았고, 서필·서희(徐熙)·서눌이 과연 이어서 재상이 되었다.
가족
시조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이천서씨 대종회 [[3]]
가족 관계
- 시조 : 서신일(徐神逸 정2품 아간대부阿干大夫)
- 시조모 : 합천 홍씨(陜川 洪氏) 홍찬(洪贊)의 딸
- 할아버지 :서필(徐弼 종1품 삼중대광 태사 내사령三重大匡太師內史令)
- 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 黃氏)
- 아버지 : 서희(徐熙 종1품 내의령內議令)
- 어머니 : 청주 한씨(淸州 韓氏)
- 본인: 서눌(徐訥 문하시중(門下侍中). 종 1품. 국무총리)
- 부인 : 이천군대부인 최씨(利川郡大夫人 崔氏, 생몰년 미상)
- 딸 : 원목왕후(元穆王后, ? ~1057) - 현종의 제6비
- 부인 : 이천군대군 정씨(利川郡大君 鄭氏 생몰년 미상)
전라도(광양) 옥평사(光陽 玉坪祠)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의 하평마을에 있는 사당이다.
1959년에 건립된 것으로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문중 사우에 해당된다.
이곳에 배향된 인물로는 원숙공(元肅公) 서눌(徐訥 고려 문하시중.종1품. 국무총리. 고려 현종 묘정 배향.재상) 기은(箕隱) 서희찬(徐希贊 고려 명신.재상) 문의공(文毅公) 서호(徐浩 고려 충신.재상),서열(徐悅 백운거사),서천일(徐千鎰 암연처사) 등이 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서희 | 서눌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Daughter B |
서눌 | 원목왕후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Daughter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