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기획기사)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 ||
− | ===''' | + | ==='''기획기사'''===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 | |[[ | + | | [[File:한글팀_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PNG|200px]]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 |
|- | |- | ||
− | |[[ | + | | [[File:한글팀_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PNG|200px]]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 | ||
− | |[[ | + | | [[File:한글팀_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png|200px]]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 | ||
− | |[[ | + | | [[File:한글팀_낙선재와 한글소설.png|200px]] || [[낙선재와 한글소설]] || |
|- | |- | ||
− | |[[ | + | | [[File:한글팀_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png|200px]]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제 1: 세종의 리더십과 한글 창제 | + | ==='''중심기사''' / 주제 1: 세종의 리더십과 한글 창제=== |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 |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세종대왕 표준영정.jpg|85x120px]]|| [[세종대왕 표준영정]]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 초상 세종대왕 표준영정.jpg|85x120px]]|| [[세종대왕 표준영정]] || | ||
73번째 줄: | 56번째 줄: | ||
|} | |} | ||
− | ==='''주제 2: 애민 - 소통과 삶의 길을 열다 | + | ==='''중심기사''' / 주제 2: 애민 - 소통과 삶의 길을 열다=== |
====지식과 교양을 넓히다==== | ====지식과 교양을 넓히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삼강행실도 양산.jpg|160x120px]]|| [[삼강행실도]] || | |[[파일:삼강행실도 양산.jpg|160x120px]]|| [[삼강행실도]] || | ||
109번째 줄: | 92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언해두창집요_02.jpg|160x120px]]|| [[언해두창집요]] || | |[[파일:언해두창집요_02.jpg|160x120px]]|| [[언해두창집요]] || | ||
134번째 줄: | 117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한글팀_선조국문유서_01_표지.jpg|160x120px]]|| [[선조 국문 유서]] || | |[[파일:한글팀_선조국문유서_01_표지.jpg|160x120px]]|| [[선조 국문 유서]] || | ||
171번째 줄: | 154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권노실소지.jpg|160x120px]]|| [[권노실 소지]] || | |[[파일:권노실소지.jpg|160x120px]]|| [[권노실 소지]] || | ||
200번째 줄: | 183번째 줄: | ||
|} | |} | ||
− | ==='''주제 3: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 + | ==='''중심기사''' / 주제 3: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
====삶과 일상을 기록하다==== | ====삶과 일상을 기록하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한글팀 혜경궁 읍혈록 01 권 123.jpg|160x120px]]|| [[혜경궁 읍혈록]] || | |[[파일:한글팀 혜경궁 읍혈록 01 권 123.jpg|160x120px]]|| [[혜경궁 읍혈록]] || | ||
244번째 줄: | 227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한글팀_참의_황여일_처_숙부인_이씨_유서_01_표지.jpg|160x120px]]||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파일:한글팀_참의_황여일_처_숙부인_이씨_유서_01_표지.jpg|160x120px]]||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
271번째 줄: | 254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한글팀_여사서_표지.jpg|160x120px]]|| [[여사서]] || | |[[파일:한글팀_여사서_표지.jpg|160x120px]]|| [[여사서]] || | ||
296번째 줄: | 279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한글팀_선원전_은제기_목록_일실제기_1896_01_01.jpg|160x120px]]|| [[선원전 은제기 목록]] || | |[[파일:한글팀_선원전_은제기_목록_일실제기_1896_01_01.jpg|160x120px]]|| [[선원전 은제기 목록]] || | ||
343번째 줄: | 326번째 줄: | ||
|} | |} | ||
− | ==='''주제 4: 문예 - 자연과 삶을 노래하다'''=== | + | ==='''중심기사''' / 주제 4: 문예 - 자연과 삶을 노래하다'''=== |
====시가, 감성을 향유하다==== | ====시가, 감성을 향유하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악장가사.png|160x120px]]|| [[악장가사]] || | |[[파일:악장가사.png|160x120px]]|| [[악장가사]] || | ||
375번째 줄: | 358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완월회맹연.png|160x120px]]|| [[완월회맹연]] || | |[[파일:완월회맹연.png|160x120px]]|| [[완월회맹연]] || | ||
400번째 줄: | 383번째 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 ! width | + | !style="width:20%"|이미지||style="width:50%"|기사 제목||style="width:30%"|비고 |
|- | |- | ||
|[[파일:학봉김성일이아내안동권씨에게보낸편지.png|160x120px]]|| [[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 || | |[[파일:학봉김성일이아내안동권씨에게보낸편지.png|160x120px]]|| [[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 || |
2017년 11월 27일 (월) 18:55 기준 최신판
한글 고문헌 가상 전시관
기획기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학봉 김성일 종가 고문헌을 통해 살펴보는 조선 사대부의 삶 | |
|
윤음을 통해 보는 조선 임금들의 애민정신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낙선재와 한글소설 | |
![]() |
한글 고문헌에 담긴 조선시대의 맛 |
중심기사 / 주제 1: 세종의 리더십과 한글 창제
한글 창제와 서적 편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세종대왕 표준영정 | |
![]() |
훈민정음 해례본 | |
![]() |
동국정운 | |
![]() |
홍무정운역훈 | |
![]() |
용비어천가 | |
![]() |
월인천강지곡 | |
![]() |
월인석보 | |
![]() |
수능엄경 | |
![]() |
대불정수능엄경 | |
![]()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 |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 ||
![]() |
훈몽자회 | |
![]() |
화동정음통석운고 | |
![]() |
훈민정음도해 | |
![]() |
언문지 |
중심기사 / 주제 2: 애민 - 소통과 삶의 길을 열다
지식과 교양을 넓히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삼강행실도 | |
![]() |
속삼강행실도 | |
![]() |
이륜행실도 | |
![]() |
오륜행실도 | |
![]() |
행실도십곡병풍 | |
![]()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
![]() |
천자문 | |
![]() |
분류두공부시 언해 | |
![]() |
어제자성편언해 | |
![]() |
어제계주윤음 | |
![]() |
어제경민음 | |
![]() |
가체신금사목 |
백성의 삶을 돌보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언해두창집요 | |
![]() |
언해태산집요 | |
![]() |
태교신기언해 | |
![]() |
임산예지법 | |
![]() |
동의보감내경편언해 | |
![]() |
구급간이방언해 | |
![]() |
언해납약증치방 | |
![]() |
신간구황촬요 | |
![]() |
자휼전칙 |
나라의 일을 함께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선조 국문 유서 | |
![]() |
정조윤음 | |
![]() |
헌종윤음 | |
![]() |
고종윤음 | |
![]() |
백동화 무효에 관한 고시 | |
![]() |
화포식언해 | |
![]() |
신전자초방 | |
![]() |
병학지남 | |
![]() |
신간증보삼략직해 | |
![]() |
무예도보통지언해 | |
![]() |
증수무원록언해 | |
![]() |
마경초집언해 | |
![]() |
산성일기 | |
![]() |
을병연행록 | |
![]() |
무오연행록 |
경험과 생활을 공유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권노실 소지 | |
![]() |
윤진사댁 전답매매명문과 위임장 | |
![]() |
구백화 전답매매명문 | |
![]()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
![]() |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 |
![]() |
윤인미 배지 | |
![]() |
이사원 등 고목 | |
![]() |
도민 고목 | |
![]() |
김학신 고목 | |
![]() |
이병관 수표 | |
![]() |
추수기 | |
![]() |
세금 납부 자문 | |
![]() |
양문탑동표석 |
중심기사 / 주제 3: 여성 - 일상과 규범을 기록하다
삶과 일상을 기록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혜경궁 읍혈록 | |
![]() |
한산이씨 고행록 | |
![]() |
풍양조씨 자기록 | |
![]() |
음식디미방 | |
![]() |
규합총서 | |
![]() |
주식시의 | |
![]() |
호산춘주 제조법 | |
![]() |
언문후생록 | |
![]() |
풍산류씨 세계 | |
![]() |
기일록 | |
![]() |
기일생신쳡 | |
![]() |
의복 목록 | |
![]() |
염습제구 목록 | |
![]() |
제기치부 | |
![]() |
묘법연화경 | |
![]() |
명성대비전유 |
여성의 뜻을 세우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유서 | |
![]() |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소지 | |
![]() |
초계정씨 단자 | |
![]() |
광산김씨 상언 | |
![]() |
정씨부인 원정 | |
![]() |
김씨부인 원정 | |
![]() |
윤씨부인 단자 | |
![]() |
이씨부인 분재문기 | |
![]() |
유정린 분재 편지 | |
![]() |
송시열 분재 편지 |
규범을 배우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여사서 | |
![]() |
어제내훈 | |
![]() |
곤범 | |
![]() |
열성후비지문 | |
![]() |
선보집략언해 | |
![]() |
학봉 행장 언해 | |
![]() |
여자초학 | |
![]() |
우암계녀서 | |
![]() |
연행만록 |
의례를 행하다
중심기사 / 주제 4: 문예 - 자연과 삶을 노래하다
시가, 감성을 향유하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악장가사 | |
![]() |
도산십이곡 | |
![]() |
고산구곡도 | |
![]() |
송강가사 | |
![]() |
고산유고 | |
![]() |
청구영언 | |
![]() |
학석집 | |
![]() |
기각한필 | |
![]() |
가사집 | |
![]() |
고문진보언해 |
소설, 재미에 빠지다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 |
완월회맹연 | |
![]() |
문장풍류삼대록 | |
![]() |
규방미담 | |
![]() |
태원지 | |
![]() |
청백운 | |
![]() |
징세비태록 | |
![]() |
형세언 | |
![]() |
홍루몽 | |
![]() |
무목왕정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