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팽명(安彭命)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447년(세종 29)~1492년(성종 23) = 46세]. 조선 전기 성종(成宗) 때의 문신. 사간원(司諫院)사간(司諫)예빈시(禮賓寺)부정(副正) 등을 지냈다. 자는 덕보(德甫)이고, 호는 빙애(氷厓)이다.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주거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을 지낸 안종생(安從生)이고, 어머니 흥해 배씨(興海裵氏)는 이조 정랑(正郞)을 지낸 배소(裵素)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의정부(議政府) 참지사(參知事)를 지낸 사간공(思簡公)안성(安省)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고려(高麗) 때 전농시(典農寺)판사(判事)를 지낸 안기(安器)이다.

세조~성종 시대 활동

1468년(세조 1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에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병과(兵科)로 급제하였다.[『방목(榜目)』] 1474년(성종 5) 예문관(藝文館)대교(待敎)를 거쳐 예문관 검열(檢閱)이 되었다.[『성종실록(成宗實錄)』성종 5년 2월 6일, 성종 5년 3월 3일] 이어 1475년(성종 6)에는 경연청(經筵廳) 사경(司經)을 역임하고, 예문관 봉교(奉敎)가 되었는데, 이때 상소를 올려 여러 가지 제도를 혁파할 것을 건의하였다.[『성종실록』성종 6년 2월 14일, 성종 6년 5월 12일]

그리고 1486년(성종 17)에는 형조 정랑(正郞)되었으며, 1488년(성종 19)에는 조산대부(朝散大夫)에 올라 사헌부(司憲府)장령(掌令)을 역임하였다.[『성종실록』성종 17년 12월 10일, 성종 19년 12월 30일] 1490년(성종 21) 7월 사헌부 집의(執義)가 되었는데, 이때 이조 판서(判書)정문형(鄭文炯)의 아들 정숙지(鄭叔猩)가 사재감(司宰監)정(正)에 제수된 것을 두고 상피제(相避制)를 어긴 것이라며 정문형의 파직을 주장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성종실록』성종 21년 7월 21일, 성종 21년 7월 24일, 성종 21년 7월 25일] 이어 그는 임사홍(任士洪)을 관압사(管押使)로 임명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주장하다가, 사헌부 대사헌(大司憲)박숭질(朴崇質)이 자신과 의논 없이 문제를 제기하였다고 주장하는 바람에 체직되었다.[『성종실록』성종 21년 8월 20일, 성종 21년 8월 21일, 성종 21년 8월 22일, 성종 21년 8월 23일, 성종 21년 9월 3일, 성종 21년 9월 4일] 1491년(성종 22) 5월 다시 사헌부 집의가 되었으나, 이번에는 북방 정벌과 관련하여 올린 서계에서 대간(臺諫)들을 비판한 것이 문제가 되어 또 다시 체직되었다.[『성종실록』성종 22년 5월 9일, 성종 22년 5월 30일]

그해 11월 사간원 사간이 되었다.[『성종실록』성종 22년 11월 5일] 이듬해인 1492년(성종 23) 4월 평안도(平安道)의 사민(徙民) 김존(金存) 등이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유지(柳輊) 등의 불법을 호소하자 성종이 이를 추국하게 하였는데, 자신의 임무가 아니라며 거부하였다.[『성종실록』성종 23년 4월 2일] 그러자 성종은 유지 등을 비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의 치죄를 주장하였으나, 이세전(李世銓)과 이세좌(李世佐) 등이 그의 행동이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어긋남이 없음과 그의 강직한 성격을 들며 적극 변호한 끝에 성종도 정실(情實)이 없었다는 것에 동의하였다.[『성종실록』성종 23년 4월 9일, 성종 23년 4월 11일, 성종 23년 4월 17일] 이어 그해 8월 예빈시 부정으로서 성종의 명을 받아 평해(平海)를 다녀오다가 강릉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니, 향년 46세였다.[『성종실록』성종 23년 8월 20일, 『허백정집(虛白亭集)』 권3 「성균관사성안군묘갈명(成均館司成安君墓碣銘)」 이하 「안팽명묘갈명」] 한편 1515년(중종 10) 이계맹(李繼孟)에 의하여 청백리(淸白吏)에 천거되어, 녹선되었다.[『중종실록』중종 10년 2월 26일]

성품과 일화

안팽명의 성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사람됨이 강직하였으므로 사헌부 집의가 되어 도임(到任)하는 날에 북방 정벌의 잘못된 점을 간(諫)하고, 동료들이 강력하게 말하지 않은 것을 논박(論駁)하였다.[『성종실록』성종 22년 6월 1일] 또한 강직하고 청렴하여 악(惡)을 미워하기를 원수처럼 여겼고, 강개(慷慨)한 성격으로 과감하게 말하여 쟁신(諍臣)의 풍도가 있었다.[『성종실록』성종 23년 8월 20일]

아울러 성종 (成宗朝)에 무당이 내지(內旨)라고 칭탁하고서 반수(泮水) 안에서 기도하는 제사를 지내니, 여러 유생이 모두 분개하고 미워하면서도 꾸지람이 있을 것을 두려워하여 말하는 자가 없었는데, 그가 홀로 쫓아버렸다는 일화도 전한다.[『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별집 권7 「성균관(成均館)」]

묘소와 후손

안팽명의 묘소는 경기도 광주시 중대1동 텃골[德谷]에 있다. 홍귀달(洪貴達)이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그의 부인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현감(縣監)을 지낸 홍계강(洪係江)의 딸로, 3남 4녀를 두었다. 장남은 안경복(安景福)인데 일찍 죽었다. 차남은 사과(司果)를 지낸 안경순(安景純)이며, 삼남은 성주판관(星州判官)을 지낸 안경우(安景祐)이다. 장녀는 이자(李滋)의 처이고, 차녀는 학성군(學城君)이연정(李連丁)의 처이다. 삼녀는 신수(申洙)의 처이며, 사녀는 남필원(南弼元)의 처이다.[『광주안씨대동보(廣州安氏大同譜)』]

참고문헌

  • 『성종실록(成宗實錄)』
  • 『중종실록(中宗實錄)』
  • 『국조방목(國朝榜目)』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광주안씨대동보(廣州安氏大同譜)』
  • 『대동기문(大東奇聞)』
  • 『이요정집(二樂亭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허백정집(虛白亭集)』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