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역사/문화)
32번째 줄: 32번째 줄:
 
====고대====
 
====고대====
 
<gallery>
 
<gallery>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김창락 「울주 반구대 암각도」 1978]]
+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gallery>
 
</gallery>
  
 
====삼국/통일신라====
 
====삼국/통일신라====
 
<gallery>
 
<gallery>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1975
+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 「살수대첩」 1975
+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살수대첩]]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 「안시성싸움」 1975
+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안시성싸움]]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 「연개소문의 사수싸움」 1976
+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 「화랑도의 수련」 1977
+
파일:정창섭-화랑도의수련-1977s.jpg|[[정창섭-화랑도의 수련]]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이종상 「태종무열왕」 1976
+
파일:이종상-태종무열왕-1976s.jpg|[[이종상-태종무열왕]]
파일: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오승우-황산싸움|오승우 「계백장군의 황산싸움」 1976]]
+
파일: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오승우-황산싸움]]
파일:오승우-매초성당군격퇴-1975s.jpg|오승우 「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1975
+
파일:오승우-매초성당군격퇴-1975s.jpg|[[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파일:박광진-청해진(장보고)-1975s.jpg|박광진 「장보고의 해상 활동」 1975
+
파일:박광진-청해진(장보고)-1975s.jpg|[[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 「고구려 고분벽화」 1977
+
파일: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이종상-고구려 고분벽화]]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김태 「황룡사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1977
+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김태-황룡사 조영-신라 건축가들의 활동]]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이종상 「김대성과 석굴암」 1979
+
파일:이종상-석굴암(김대성)-1979s.jpg|[[이종상0김대성과 석굴암]]
파일:김충선-혜초의구법-1979s.jpg|김충선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1979
+
파일:김충선-혜초의구법-1979s.jpg|[[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gallery>
 
</gallery>
  
 
====고려====
 
====고려====
 
<gallery>
 
<gallery>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 「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1976
+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 「귀주대첩」 1975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 「여진정벌」 1975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 「삼별초의 대몽항전」 1975
+
파일: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 「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1975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 「쌍성수복」 1975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박창돈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1976]]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파일:박성환-예성강도-1978s.jpg|박성환 「예성강도」 1978
+
파일:박성환-예성강도-1978s.jpg|[[박성환-예성강도]]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최대섭 「고려대장경」 1977
+
파일:최대섭-고려대장경판각-1977s.jpg|[[최대섭-고려대장경]]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 「고려청자」 1977
+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최대섭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1979
+
파일:최대섭-화약제조(최무선)-1979s.jpg|[[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gallery>
 
</gallery>
  
 
====조선====
 
====조선====
 
<gallery>
 
<gallery>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 「육진개척」 1975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년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 「홍의장군 곽재우」 1976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 「연안성싸움」 1975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 「추풍령싸움」 1975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 「행주대첩」 1975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 「한산대첩」 1975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 「명량대첩」 1975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1976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1976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1976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박득순 「허준과 동의보감」 1978
+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_저술|정창섭 「정약용과 저술」 1979]]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 저술]]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gallery>
 
</gallery>
  
 
====계몽/항일====
 
====계몽/항일====
 
<gallery>
 
<gallery>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 「동학교주 전봉준」 1976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 「홍주성수복」 1975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 「태백산전투」 1975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 「박승환의 자결순국」 1976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손수광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1976]]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1976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 「청산리싸움」 1975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 「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1976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76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최대섭 「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1978
+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 「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1976
+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 「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1976
+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1976
+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 「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1976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gallery>
 
</gallery>
  
 
====현대====
 
====현대====
 
<gallery>
 
<gallery>
파일:윤중식-팔일오해방-1967s.jpg|윤중식 「8.15해방」 1967
+
파일:윤중식-팔일오해방-1967s.jpg|[[윤중식-8.15해방]]
파일:김서봉-구월산지구유격대-1967s.jpg|김서봉 「구월산지구 유격대」 1967
+
파일:김서봉-구월산지구유격대-1967s.jpg|[[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gallery>
 
</gallery>
  

2016년 11월 2일 (수) 16:23 판

민족기록화관

민족기록화는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시작하여 1979년까지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이다. 본 연구 사업은 그 가운데 1973~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 사업으로 제작된 대략 100여 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개개의 작품이 모두 뛰어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이면을 짚고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약 500여 개의 지식노드(민족기록화 100여 편, 작가 50여 명, 사건 50여건, 공간 50여 건, 역사 인물 100여 명, 관련 문헌 50여 건, 개념어 50여 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가공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데이터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민족기록화 (106점)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역사/문화

고대

삼국/통일신라

고려

조선

계몽/항일

현대

경제발전

농축수산/새마을

광공업

에너지

건설/교통

노드정리

  • 작품: 105개
  • 작가: 47명
  • 인물: 114명
  • 사건: 54개
  • 공간: 122개
  • 기록물: 36개
  • 단체: 102개
  • 개념: 145개
  • 총 725개

작품 (105개)

작가 (47명)

인물 (114명)

사건 (54개)

공간 (122개)

기록물 (36개)

단체 (102개)

개념 (13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