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1월 30일 (월) 18:24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담뱃갑 (역사) [1,57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23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담뱃대 (역사) [2,578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20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호자(타구) (역사) [1,28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20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요강 (역사) [1,214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18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먼지떨이 (역사) [1,51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17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쓰레받기 (역사) [98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16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비(箒) (역사) [2,79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16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등긁개 (역사) [1,941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15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전수장(논물지팡이) (역사) [2,40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8:14 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기타도구:구장(비둘기지팡이) (역사) [2,983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2020년 11월 30일 (월) 17:02 이운지:은거지의 배치:원림과 연못:흙을 구워 못 만드는 법 (역사) [2,435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strong>흙을 구워 못 만드는 법 [燔土作池法]</strong><br/> 수원(水源)이 없으면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든 다음, 돌을 써서 단단하게...)
- 2020년 11월 5일 (목) 22:43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대나무에 무늬 새기는 법 (역사) [78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2) 대나무에 무늬 새기는 법'''</br></br> 석회를 물에 섞어 대나무 조각을 삶는다. 몇 번 끓인 다음 꺼내서 대나무에 무늬를 새기...)
- 2020년 11월 5일 (목) 22:41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부레풀 (역사) [1,434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1) 부레풀[鰾膠]'''</br></br> 부레는 바로 물고기의 하얀 오줌통처럼 생긴 기관이다. 부레를 달여 아교를 만들고 물건을 붙이면...)
- 2020년 11월 5일 (목) 22:39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속새 (역사) [99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0) 속새<ref>속새:주로 산지에서 자라는 속새목 속새과의 양치식물로, 속새마디의 표면은 다음과 같다.</br>파일:속새의 마디(...)
- 2020년 11월 5일 (목) 22:34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사피 (역사) [1,16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9) 사피(鯊皮, 말린 상어껍질)<ref>상어껍질:상어껍질의 돌기는 다음과 같이 돌출되어 있다. 이 오돌토돌한 돌기는 지금의 사포...)
- 2020년 11월 5일 (목) 22:34 사피 (역사) [3,23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사피</strong>는 상어껍질을 말린 것이다. 상어껍질에 모래알 만하게 돋아난 돌기를 이용하여 목재의...)
- 2020년 11월 5일 (목) 22:18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숫돌 (역사) [2,41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8) 숫돌<ref>숫돌:숫돌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200픽셀</ref>'''</br></br> 숫돌은 칼날을 가는...)
- 2020년 11월 5일 (목) 22:15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갈이틀 (역사) [2,79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7) 갈이틀<ref>갈이틀:목재를 둥근 모양으로 가공하기 위한 기계이다. 둥근 나무그릇 같은 용기를 만드는 이 기계는 그릇을 빚...)
- 2020년 11월 5일 (목) 22:03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변탕 (역사) [1,38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 변탕[鐋]<ref>변탕[鐋]:목재의 가장자리를 턱지게 깎기 위한 도구. 그 모습은 다음과 같다.</br>파일:변탕 대패(국립민속박물...)
- 2020년 11월 5일 (목) 22:00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송곳 (역사) [1,73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5) 송곳'''</br></br> 일반적으로 송곳은 시우쇠를 두드려 만들되 강철을 넣어 섞지 않는다. 서적류를 제본할 때는 둥근 송곳을 쓰...)
- 2020년 11월 5일 (목) 21:41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끌 (역사) [1,503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4) 끌<ref>끌:나무에 구멍을 파거나 깍고 다듬기 위해 쓰는 도구. 그 모습은 다음과 같다.</br>파일:끌(국립민속박물관).png|200픽...)
- 2020년 11월 5일 (목) 21:39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대패 (역사) [1,99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3) 대패'''</br></br> 일반적으로 대패는 강철을 물린 사방 0.1척짜리 쇠를 갈고, 대패 날이 약간 드러나게 해서 대패아가리에 비스...)
- 2020년 11월 5일 (목) 21:37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톱 (역사) [1,75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톱'''</br></br> 일반적으로 톱은 시우쇠<ref>시우쇠:뜨거운 불에 충분히 달구어진 상태의 무쇠.</ref>를 단련하여 얇은 가락으로...)
- 2020년 11월 5일 (목) 21:19 섬용지:공업 총정리:목재 가공:자귀 (역사) [976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자귀<ref>자귀:목재를 찍어서 깎고 가공하기 위해 쓰는 연장. 자귀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br>파일:자귀(국립민속박물관).pn...)
- 2020년 11월 3일 (화) 16:16 몸채와 곁채의 배치 (역사) [4,89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strong>몸채와 곁채의 배치 - 중국의 제도</strong>는 몸채와 곁채가 서로 붙어 있지 않은 건축 방식이다.몸채와 곁채가 빙...)
- 2020년 11월 3일 (화) 16:11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몸채와 곁채의 배치 (역사) [8,68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건물 제도는 모두 ‘일(一)’자 형태여서 구부러져 꺾이거나 건물끼리 딱 붙어 있지 않다. 건물 안...)
- 2020년 11월 3일 (화) 15:03 칸살 (역사) [3,16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칸살</strong>은 두 기둥 사이의 거리 또는 네 기둥 사이의 면적을 가리키는데, 건축의 평면 계획...)
- 2020년 11월 3일 (화) 14:51 건물의 세 부분 (역사) [3,46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건물의 세 부분</strong>은 기단, 중간 부분, 윗부분으로 각각의 비율이 정확해야 습기와 빗물을...)
- 2020년 11월 3일 (화) 14:33 초가 지붕 (역사) [3,70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초가 지붕</strong>은 볏짚을 엮어 비늘처럼 겹쳐 가며 건물에 얹은 지붕이다 . 서유구(徐有榘)의...)
- 2020년 11월 3일 (화) 14:06 돌 지붕 (역사) [3,21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돌 지붕</strong>은 돌판으로 건물이나 담장에 지붕을 얹는 방법이다 .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
- 2020년 11월 3일 (화) 13:57 회 지붕 (역사) [3,23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회 지붕</strong>은 회반죽으로 지붕을 얹는 방법이다 . 서유구(徐有榘)의 <font color="blue">《임원...)
- 2020년 11월 3일 (화) 13:28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지붕 얹기 (역사) [8,86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에서 기와 얹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와몸통은 완전히 동그란 대나무를 넷으로 쪼갠 모양과 같고,...)
- 2020년 11월 3일 (화) 13:23 지붕 얹기 (역사) [4,18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에서 기와 얹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와몸통은 완전히 동그란 대나무를 넷으로 쪼갠 모양과 같고,...)
- 2020년 11월 3일 (화) 10:27 이중 온돌 까는 법 (역사) [3,31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이중 온돌 까는 법</strong>은 열기가 오래 가도록 온돌을 2겹으로 까는 방법이다 . 서유구(徐有...)
- 2020년 11월 3일 (화) 09:46 건물의 기초 (역사) [3,69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건물의 기초</strong>는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건물을 짓기 위해 땅을 다지는 방법을 설명한 글이...)
- 2020년 11월 3일 (화) 09:38 섬용지:건물 짓는 제도:건물의 기초 (역사) [8,10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중국의 제도'''<br/> 중국의 집 짓는 제도에서는 반드시 땅을 깨끗이 정리하고 달구로 다지고 나서 다시 깎아 평평하고 반듯하...)
- 2020년 11월 2일 (월) 17:47 섬용지:도량형 도구:무게:저울 (역사) [1,345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저울<ref>저울:저울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200픽셀</ref>'''</br></br> 윗면에 가로로 분(分)...)
- 2020년 11월 2일 (월) 17:43 섬용지:도량형 도구:부피 (역사) [19,679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승(升)<ref>승(升):승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200픽셀</ref>'''</br></br> 1승은 10홉 분량이다. 《...)
- 2020년 11월 2일 (월) 17:38 부피 (역사) [4,38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부피</strong>는 도량형 도구 중에서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인 승(升), 두(斗), 곡(斛) 등과 부피를 측정...)
- 2020년 11월 2일 (월) 17:12 길이 (역사) [4,148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Definition== <font color="red"></font><strong>길이</strong>는 도량형 도구 중에서 길이를 측정하는 자(尺)를 의미한다. 주척(周尺)은 주례(周禮)에...)
- 2020년 11월 2일 (월) 17:05 섬용지:도량형 도구:길이 (역사) [9,262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주척(周尺)'''</br></br> 주척은 전해지지 않은 지 이미 오래되어 논설이 분분한데, 오직 서진(西晉)의 순욱(荀勖)<ref>순욱:?~289....)
- 2020년 11월 2일 (월) 17:04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중오의 각서 (역사) [4,010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중오의 각서== 14) 각서(角黍, 주악) 풍토기<ref>출전 확인 안 됨 ; 《御定月令輯要》 卷10 〈五月令〉 “初五日” ‘角黍’(《文淵閣四庫...)
- 2020년 11월 2일 (월) 17:01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중오의 창포주 (역사) [907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중오의 창포주== 13) 중오(重五, 음력 5월 5일)의 창포주(菖蒲酒) 천금월령(千金月令)<ref>천금월령(千金月令) : 중국 당(唐)나라의 의학자...)
- 2020년 11월 2일 (월) 16:48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중사의 맥병 (역사) [1,368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중사의 맥병== 12) 중사(重四, 음력 4월 4일)의 맥병(麥餠, 밀가루 등으로 만든 떡) 무사(蕪史)<ref>무사(蕪史) : 중국 명나라 환관 유약우(劉...)
- 2020년 11월 2일 (월) 16:45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한식의 한구 (역사) [1,155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한식의 한구== 11) 한구(寒具) 옹치잡지<ref>출전 확인 안 됨 ; 《金華耕讀記》 卷4 〈寒具〉, 18~19쪽에 한구의 유래와 명칭에 대한 고증이...)
- 2020년 11월 2일 (월) 16:44 섬용지:수송 기구: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여러 기구:녹로 (역사) [1,450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2) 녹로<ref>녹로:녹로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br> 200픽셀</ref>'''</br></br> 기둥이 4개, 들보가...)
- 2020년 11월 2일 (월) 16:44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한식의 조고 (역사) [809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한식의 조고== 10) 조고(棗糕, 대추떡) 예원자황(藝苑雌黃)<ref>예원자황(藝苑雌黃) : 중국 송(宋)나라 엄유익(嚴有翼, ?~?)이 지은 책이라고...)
- 2020년 11월 2일 (월) 16:41 섬용지:수송 기구: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여러 기구:거중기 (역사) [2,077 바이트] 김광명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1) 거중기<ref>거중기:이 기구는 정조가 화성을 건설할 때 사용한 것이다. 정조가 《고금도서집성》에 있는 《기기도설》을 다...)
- 2020년 11월 2일 (월) 16:39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한식의 당죽 (역사) [2,519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한식의 당죽== 9) 당죽(餳粥) 형초세시기 <ref>《荊楚歲時記》 (《文淵閣四庫全書》 589, 19~20쪽). </ref> 한식에는 3일간 불을 금하므로 당대...)
- 2020년 11월 2일 (월) 16:35 정조지:절식:부록 절식 보유:한식의 도화죽 (역사) [645 바이트] 정정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한식의 도화죽== 8) 한식의 도화죽(桃花粥, 복숭아꽃죽) 금문세절(金門歲節)<ref>금문세절(金門歲節) : 미상. </ref> <ref>출전 확인 안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