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8월 30일 (수) 19:5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익산 미륵사지
Mireuksa Temple Site, Iksan
"미륵사지 석탑 소개", 연구자료, 국립문화재 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대표명칭 익산 미륵사지
영문명칭 Mireuksa Temple Site, Iksan
한자 益山 彌勒寺址
주소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32-2번지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150호
지정(등록)일 1966년 6월 22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시대 백제
수량/면적 13,384,699㎡
웹사이트 익산 미륵사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미륵사는 현재 전하고 있는 가장 큰 백제 사찰로, 무왕 대에 지어졌다. 『三國遺事(삼국유사)』에는 “왕과 왕비가 용화산(지금의 미륵산) 사자사에 가던 도중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자 연못을 메우고 각각 세 곳에 탑과 법당, 회랑을 짓고, ‘미륵사’라고 하였다”는 창건기록이 남아 있다.

발굴조사에서 세 곳에 탑과 법당, 복도 등이 확인되어 기록이 사실임이 밝혀졌다. 치미와 녹유연목와, 석등하대석, 금동풍탁 등의 출토유물과 독특한 절의 배치형식은 백제문화의 독창성과 탁월성을 온전하게 보여준다. 고려, 조선시대의 온돌이 시설 건물터와 유물 등은 1600년대까지 유지된 사찰의 역사를 전하고 있다.

우리나라 석탑 중 가장 오래된 미륵사지 석탑은 20년간의 노력을 거쳐 해체보수되었다. 1,400여년 전 석탑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최첨단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석조문화재 보수의 표본이 되고 있다.

미륵사지 석탑을 해체하던 중, 2009년에는 1층 심주석 사리공에서 금제사리호 등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석탑을 만든 내력이 적힌 자료(舍利奉安記(사리봉안기))가 나와서 미륵사의 가치를 더욱 높여주었다. 미륵사지에는 석탑과 당간지주, 석등하대석, 금동향로와 사리장엄구가 문화재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미륵사지는 독창적인 가람배치, 목조건축기법을 알 수 있는 석탑, 백제 공예문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사리장엄, 사리봉안기의 기록으로 증명된 진정성 등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영문

Mireuksa Temple Site, Iksan

This is the former site of Mireuksa, which was the largest Buddhist temple of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According to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King Mu (r. 600-641) and his queen consort were passing by a pond on their way to Sajasa Temple in Yonghwasan Mountain (today’s Mireuksan Mountain), when a triad featuring Maitreya, the Future Buddha, suddenly arose from the water. At the queen consort’s request, the king ordered that the pond be filled and a temple be established at the pond’s site. It is said the temple had three pagodas, three prayer halls, and corridors.

Since 1974, the temple site was surveyed several times, and the record in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proven to be true. The remnants of three prayer halls, each with a stone pagoda in front of it, were found arranged east to west. Each set of hall and pagoda were surrounded with long corridor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a decorative roof-end tile, green-glazed tiles with lotus design, the stone base of a stone lantern, and a gilt-bronze wind chime. The unique layout of this temple and the artistic beauty of the artifacts attest to the originality and excellence of Baekje culture.

The remains of underfloor heating facilities, dating to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were also excavated from the building sites.

Among the three pagodas, only the one in the west remained. It is the oldest remaining stone pagoda in Korea. Beginning in 1998, it was dismantled for repair which took more than 20 years. It was opened to the public in 2019. During the repair, sarira reliquaries were found inside the first story, along with various offerings, gold plates bearing inscriptions recording the sarira enshrinement, a silver diadem ornament, and bronze bowls. The east pagoda was newly reconstructed in 1993.

This temple site was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150 in 1966, and in recognition of its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it was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5 as part of the Baekje Historic Are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from this site include the west pagoda (National Treasure No. 11), a pair of flagpole supports (Treasure No. 236), a gilt-bronze incense burner (Treasure No. 1753), reliquaries excavated from the west pagoda (Treasure No. 1991), and a pedestal of a stone lantern (Jeolla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43).

개별 안내판

입구

동원

중원

중원 뒷편

기타

기와 가마

건물지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