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의(朴漪)"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인명사전|대표표제=박의|한글표제=박의|한자표제=朴漪|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인조|집필자=박은화|자= 중련(仲漣), 중련(仲連), 중문(仲文) |호= 중봉(中峯) |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성|출생=1600년(선조 33)|사망=1644년(인조 22) 9월 26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묘소소재지=|증조부= 박소(朴紹) |조부= 박응복(朴應福) |부= 박동량(朴東亮) |모_외조=여흥민씨(驪興閔氏): 민선(閔善)의 딸|형제= 박미(朴瀰), 박의(朴漪), 박유(朴濰), 박자(朴澬)|처_장인=(첫째부인)평산신씨(平山申氏): 신흠(申欽)의 딸 (둘째부인)강릉최씨(江陵崔氏): 최영(崔嶸)의 딸|자녀=(1자)박세래(朴世來) (2자)박세채(朴世采) (1녀)이항( | + | {{인명사전|대표표제=박의|한글표제=박의|한자표제=朴漪|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인조|집필자=박은화|자= 중련(仲漣), 중련(仲連), 중문(仲文) |호= 중봉(中峯) |봉작=|시호=|출신=양반|성별=남성|출생=1600년(선조 33)|사망=1644년(인조 22) 9월 26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묘소소재지=|증조부= 박소(朴紹) |조부= 박응복(朴應福) |부= 박동량(朴東亮) |모_외조=여흥민씨(驪興閔氏): 민선(閔善)의 딸|형제= 박미(朴瀰), 박의(朴漪), 박유(朴濰), 박자(朴澬)|처_장인=(첫째부인)평산신씨(平山申氏): 신흠(申欽)의 딸 (둘째부인)강릉최씨(江陵崔氏): 최영(崔嶸)의 딸|자녀=(1자)박세래(朴世來) (2자)박세채(朴世采) (1녀)이항(李恒)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중봉집(中峯集)』|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595|실록연계=}} |
=='''총론'''== | =='''총론'''==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비문'''== | =='''비문'''== | ||
− | 송시열(宋時烈)이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첫째부인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영의정신흠의 딸이고, 둘째 부인 강릉최씨(江陵崔氏)는 최영(崔嶸)의 딸이다. 자녀는 2남 1녀인데, 큰 아들은 박세래(朴世來)인데, 일찍 죽었고, 둘째 아들은 화숙(和叔)[[박세채(朴世采)]]이며 딸은 이항( | + | 송시열(宋時烈)이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첫째부인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영의정신흠의 딸이고, 둘째 부인 강릉최씨(江陵崔氏)는 최영(崔嶸)의 딸이다. 자녀는 2남 1녀인데, 큰 아들은 박세래(朴世來)인데, 일찍 죽었고, 둘째 아들은 화숙(和叔)[[박세채(朴世采)]]이며 딸은 이항(李恒)의 처이다.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8년 1월 9일 (화) 22:49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박의 |
한글표제 | 박의 |
한자표제 | 朴漪 |
분야 | 정치·행정가/관료/문신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인조 |
집필자 | 박은화 |
자 | 중련(仲漣), 중련(仲連), 중문(仲文) |
호 | 중봉(中峯)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성 |
출생 | 1600년(선조 33) |
사망 | 1644년(인조 22) 9월 26일 |
본관 | 반남(潘南) |
증조부 | 박소(朴紹) |
조부 | 박응복(朴應福) |
부 | 박동량(朴東亮) |
모_외조 | 여흥민씨(驪興閔氏): 민선(閔善)의 딸 |
형제 | 박미(朴瀰), 박의(朴漪), 박유(朴濰), 박자(朴澬) |
처_장인 | (첫째부인)평산신씨(平山申氏): 신흠(申欽)의 딸 (둘째부인)강릉최씨(江陵崔氏): 최영(崔嶸)의 딸 |
자녀 | (1자)박세래(朴世來) (2자)박세채(朴世采) (1녀)이항(李恒)의 처 |
저술문집 | 『중봉집(中峯集)』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박의(朴漪) |
총론
[1600년(선조 33)~1644년(인조 22) = 45세]. 조선 중기 인조 때에 활동한 문신. 행직(行職)은 사헌부(司憲府)장령(掌令)이다. 자는 중련(仲漣)이고, 호는 중봉(中峯)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인데, 아버지는 좌참찬(左參贊)박동량(朴東亮)이고, 어머니 여흥민씨(驪興閔氏)는 승지(承旨)민선(閔善)의 딸이다. 증조부는 사간원(司諫院)사간(司諫)박소(朴紹)이고, 조부는 사헌부 대사헌(大司憲)박응복(朴應福)이다. 금양위(錦陽尉)박미(朴瀰)의 아우이며, 영의정(領議政)신흠(申欽)의 사위이다.
인조 시대 활동
1628년(인조 6) 별시(別試)문과(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이때 아버지 박동량이 아직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지 않았으므로, 그를 해치려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그는 조금도 안색에 드러내지 않았다. 이내 성균관(成均館)학유(學諭)를 거쳐 전적(典籍)을 역임하고 직강(直講)에 이르렀다. 그 사이에 병조 좌랑(佐郞)이 되었다가 흥양현감(興陽縣監), 간성군수(杆城郡守)가 되었다. 1629년(인조 7) 5월에는 사가독서(賜暇讀書)에 선발되었다. 그 후, 홍문관(弘文館)으로 들어가 수찬(修撰)이 되고, 1641년(인조 19) 1월에 교리(校理)가 되었다. 이때부터 4년간 홍문관을 떠나지 않았고, 잠시 1643년(인조 21) 1월에 사헌부 장령이 되었으니,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할 수 없다. 1644년(인조 22) 9월 26일 향년 45세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는 『중봉집(中峯集)』이 있다.
성품과 일화
영의정신흠 부자(父子)와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장유(張維) 등이 그의 재능과 행실을 칭찬하였는가 하면 동료들이 차례로 그를 추앙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뜻은 초연(超然)히 세속을 떠나 초야의 처사(處士)들과 고결을 다투려고 하였으니, 그의 숭상하는 바가 달랐었다고 한다.
박의에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큰 가문의 아들로 일찍부터 사치스러운 생활을 사절하고 시서(詩書)를 배웠다. 그런데 가화(家禍)와 국난(國難)이 겹치자, 머리를 숙이고 배회하며 혼자 살면서 인(仁)을 생각하려는 뜻을 항상 가졌다. 그는 젊어서 경전(經傳)과 염락(濂洛) 등의 여러 글을 읽었기 때문에 집에 있을 때나 벼슬할 때 나타나는 것들이 모두 배움 속에서 우러나왔다. 송시열(宋時烈)은 “그를 뵈었을 때를 돌이켜 상상해 보건대, 고결하게 바르면서 그 속에 사물이 있고 온화하게 접하면서도 법도가 있었는데, 모르겠지만 이것이 사실과 틀리지 않을 것으로 여긴다.”라고 그에 관하여 말하기도 하였다.
비문
송시열(宋時烈)이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첫째부인 평산신씨(平山申氏)는 영의정신흠의 딸이고, 둘째 부인 강릉최씨(江陵崔氏)는 최영(崔嶸)의 딸이다. 자녀는 2남 1녀인데, 큰 아들은 박세래(朴世來)인데, 일찍 죽었고, 둘째 아들은 화숙(和叔)박세채(朴世采)이며 딸은 이항(李恒)의 처이다.
참고문헌
- 『인조실록(仁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
- 『계해정사록(癸亥靖社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