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모(朴世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박세모|한글표제=박세모|한자표제=朴世模|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인조~현종|집필자=박은화|자= 여도(汝道) |호=|봉작=|시호=|출신=|성별=|출생=1610년(광해군2) 9월 4일|사망=1667년(현종8) 12월 26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 경기도 양주(楊州) 봉두산(鳳頭山)의 선영(先塋) |증조부= 박응복(朴應福) |조부= 박동열(朴東悅) |부= 박호(朴濠) |모_외조=평산신씨(平山申氏): 신흠(申欽)의 딸|형제=(동생)박세해(朴世楷), 박세표(朴世標), 박세격(朴世格)|처_장인=순흥안씨(順興安氏): 안두원(安斗元)의 딸→(자녀)1남 2녀|자녀=(1자)박태장(朴泰長) (2자)박태중(朴泰中) (1녀)이세필(李世弼)의 처 (서1녀)최진규(崔鎭奎)의 처 (서2녀)김하평(金夏平)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095|실록연계=}}
+
{{인명사전|대표표제=박세모|한글표제=박세모|한자표제=朴世模|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가/관료/문신|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인조~현종|집필자=박은화|자= 여도(汝道) |호=|봉작=|시호=|출신=|성별=|출생=1610년(광해군2) 9월 4일|사망=1667년(현종8) 12월 26일|본관=반남(潘南)|주거지= 서울 |묘소소재지= 경기도 양주(楊州) 봉두산(鳳頭山)의 선영(先塋) |증조부= 박응복(朴應福) |조부= 박동열(朴東悅) |부= 박호(朴濠) |모_외조=평산신씨(平山申氏): 신흠(申欽)의 딸|형제=(동생)박세해(朴世楷), 박세표(朴世標), 박세격(朴世格)|처_장인=순흥안씨(順興安氏): 안두원(安斗元)의 딸→(자녀)1남 2녀|자녀=(1자)박태장(朴泰長) (2자)박태중(朴泰中) (1녀)이세필(李世弼)의 처 (서1녀)최진규(崔鎭奎)의 처 (서2녀)김하평(金夏平)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0095|실록연계=}}
  
 
=='''총론'''==
 
=='''총론'''==
17번째 줄: 17번째 줄:
 
=='''성품과 사평'''==
 
=='''성품과 사평'''==
  
박세모(朴世模)는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으며 몸가짐이 대범하고 검약하며, 공무에 힘쓰고 몸가짐을 삼갔다고 한다. 사귀던 사람은 온건한 서인(西人) 계열로서 홍명하(洪命夏)·[[박장원(朴長遠)]]·이경휘(李慶徽)·서필원(徐必遠)·이상진(李尙眞) 등이었고, 특히 윤선거(尹宣擧)와는 정의가 매우 두터웠다. 송준길(宋浚吉)은 그가 재상의 풍도가 있다고 칭찬하였다. 그러나 『현종실록(顯宗實錄)』에서 평하기를, “박세모는 어리석기 짝이 없어서 남에게 이용만 당한다는 조롱을 받았는데, 집안의 세력 덕택에 여러 차례 현요직(顯要職)을 역임하다가, 사적(仕籍)에 발을 들여놓은 지 8년만에 아경(亞卿)의 지위에 올랐다.”라고 하였다.
+
박세모(朴世模)는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으며 몸가짐이 대범하고 검약하며, 공무에 힘쓰고 몸가짐을 삼갔다고 한다. 사귀던 사람은 온건한 서인(西人) 계열로서 홍명하(洪命夏)·[[박장원(朴長遠)]]·이경휘(李慶徽)·서필원(徐必遠)·이상진(李尙眞) 등이었고, 특히 윤선거(尹宣擧)와는 정의가 매우 두터웠다. 송준길(宋浚吉)은 그가 재상의 풍도가 있다고 칭찬하였다. 그러나 『현종실록(顯宗實錄)』에서 평하기를, “박세모는 어리석기 짝이 없어서 남에게 이용만 당한다는 조롱을 받았는데, 집안의 세력 덕택에 여러 차례 현요직(顯要職)을 역임하다가, 사적(仕籍)에 발을 들여놓은 지 8년만에 아경(亞卿)의 지위에 올랐다.”라고 하였다.
  
 
=='''묘소와 비문'''==
 
=='''묘소와 비문'''==

2018년 1월 9일 (화) 22:44 기준 최신판




총론

[1610년(광해군2)~1667년(현종8) = 58세]. 조선 중기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여도(汝道)이고,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서울 출신이다. 중추부(中樞府)첨지사(僉知事)박호(朴濠)의 아들이고, 문정공(文貞公)신흠(申欽)의 외손자다. 문강공(文康公)박소(朴紹)의 현손으로서 서계(西溪)박세당(朴世堂)과 좌의정박세채(朴世采)와 6촌 형제간이다.

인조~효종 시대 활동

1630년(인조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1645년(인조23)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세마(洗馬)에 보임되었다가, 1652년(효종3) 내시(內侍) 교관(敎官)에 임명되었다. 1654년(효종 5) 춘당대(春塘臺)정시(庭試) 문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여 성균관(成均館)전적(典籍)에 임명되었고, 병조좌랑으로 옮겼다가, 사간원(司諫院)정언(正言)이 되었다. 1655년(효종6)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문학(文學)이 되었다가, 사헌부(司憲府)지평(持平)이 되었으며, 1656년(효종7) 다시 시강원(侍講院)으로 들어가서 문학· 필선(弼善)으로 차례로 승진하였고, 다시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다가, 사간원정언을 거쳐, 시강원 필선이 되었다.

현종 시대 활동

1660년(현종1) 다시 사간원정언을 거쳐 사간(司諫)으로 있을 때 제 1차 복상문제(服喪問題)가 일어나자, 송시열(宋時烈)의 기년제(朞年制)를 적극적으로 주장하며 채택하게 하였다. 사헌부집의(執義)로 승진하였고, 장악원(掌樂院)정(正)으로 전임하였다가 이해 다시 사헌부집의를 거쳐,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되었다. 1661년(현종2) 중추부첨지사가 되었다가, 승정원(承政院)으로 들어가서 우승지(右承旨)·좌승지(左承旨)로 차례로 승진하였는데, 내의원(內醫院)부제조(副提調)를 겸임하였고, 마침내 도승지(都承旨)로 영전하였다. 1662년(현종3)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 되었다가, 의금부(義禁府)동지사(同知事)를 거쳐,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로 나갔다. 1663년(현종4) 호조참판이 되었는데, 이때 호조판서정치화(鄭致和)는 그의 행정 처리를 보고 밝고 자세한 것에 탄복하였다고 한다. 1664년(현종5) 형조참판이 되었다가, 다시 도승지가 되었다. 1665년(현종6) 현종이 온천(溫泉)에 거둥할 때에 호종(扈從)하고 돌아와서, 돈녕부(敦寧府)동지사로 전임하였다. 1666년(현종7) 다시 형조참판이 되었다가, 예조참판으로 옮겼으며,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기 전에 다시 예조참판에 임명되었다. 1667년(현종8) 겨울에 부인 안씨(安氏)가 별세하고, 뒤이어 부친상을 당하자, 슬픔이 지나쳐 건강을 해치는 바람에 병이 났다. 두 사람의 상례를 치르지 못한 채, 그해 12월 26일에 갑자기 죽으니, 그때 나이가 58세였다. 1668년(현종9) 도승지오정위(吳挺緯)가 아뢰기를, “전 참판박세모와 그의 아비 박호(朴濠)와 그의 처 안씨가 한꺼번에 죽어서, 관(棺) 세 개가 한집 안에 나란히 있습니다.”라고 하니, 현종이 불쌍히 여겨서 장례 물품과 상여꾼[擔軍]을 지급해 주라고 명하여 나라에서 예장(禮葬)을 하였다.

성품과 사평

박세모(朴世模)는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으며 몸가짐이 대범하고 검약하며, 공무에 힘쓰고 몸가짐을 삼갔다고 한다. 사귀던 사람은 온건한 서인(西人) 계열로서 홍명하(洪命夏)·박장원(朴長遠)·이경휘(李慶徽)·서필원(徐必遠)·이상진(李尙眞) 등이었고, 특히 윤선거(尹宣擧)와는 정의가 매우 두터웠다. 송준길(宋浚吉)은 그가 재상의 풍도가 있다고 칭찬하였다. 그러나 『현종실록(顯宗實錄)』에서 평하기를, “박세모는 어리석기 짝이 없어서 남에게 이용만 당한다는 조롱을 받았는데, 집안의 세력 덕택에 여러 차례 현요직(顯要職)을 역임하다가, 사적(仕籍)에 발을 들여놓은 지 8년만에 아경(亞卿)의 지위에 올랐다.”라고 하였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양주(楊州) 봉두산(鳳頭山) 선영(先塋)의 동남쪽 언덕에 있는데, 박세당(朴世堂)이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인조실록(仁祖實錄)』
  • 『효종실록(孝宗實錄)』
  • 『현종실록(顯宗實錄)』
  • 『현종개수실록(顯宗改修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백호전서(白湖全書)』
  • 『서계집(西溪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