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여도(自如道)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경상도 창원의 자여역을 중심으로 편성한 역도.

개설

자여도(自如道)는 고려시대의 김주도(金州道)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 세종 연간에 역제를 개편하는 과정에서 설치되었으며, 1460년(세조 6)에는 소촌도에 통합되었다가 1462년(세조 8)에 역도-속역 체제가 완성되면서 복설되었다. 일본으로 가는 사행로에 위치하여, 사행과 관련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내용 및 특징

자여도는 사근도(沙斤道)·안기도(安奇道)·유곡도(幽谷道)·김천도(金泉道)·성현도(省峴道)·황산도(黃山道)·소촌도(召村道)·장수도(長水道)·송라도(松羅道)·창락도(昌樂道)와 더불어 경상도 지역에 설치된 역도(驛道)이다. 함안-창원-김해-밀양-양산 방면으로 이어지는 역로(驛路)와, 창원-웅천-칠원 방면으로 연결되는 역로를 관할하였다.

변천

고려의 역도를 계승한 조선 왕조가 언제부터 역도를 개혁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다만 『태조실록』에 따르면, 1396년(태조 5) 7월에 고려시대의 5도양계(五道兩界)를 개편하면서 서북면의 군현을 개정하고, 1398년(태조 7)에는 동북 지방의 역을 정비, 신설하면서 함경도 지역의 역도를 개편하였다. 그 뒤 1423년(세종 5) 7월에는 경상도 지역에 황산도(黃山道)와 성현도(省峴道)를 설치하고 역승(驛丞)을 파견하여, 경상도의 역도를 개편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세종대에는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역도 체제를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자여도는 근주역(近珠驛)·신풍역(新豐驛)·안민역(安民驛)·창인역(昌仁驛)·영포역(靈浦驛)·김해신역(金海新驛)·대산신역(大山新驛)·남역(南驛)·금곡역(金谷驛)·덕산역(德山驛)·성법역(省法驛)·적항역(赤項驛) 등 12개 속역으로 편성되었다. 1457년(세조 3)에는 자여도를 소촌도에 통합하도록 했는데, 이 조치는 그대로 시행되지 않았거나 잠시 시행된 뒤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1460년에 다시 소촌도에 속한 65개 역과 자여도에 소속된 13개 역을 통합해 소촌도라 하였기 때문이다. 자여도는 그 뒤 1462년에 자여역·근주역·양민역(良民驛)·신풍역·보평역(報平驛)·춘곡역(春谷驛)·파수역(巴水驛)·적항역·성법역·남역·덕산역·금곡역·대산역(大山驛) 등 13개 역을 속역으로 하는 역도로 복설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인 1808년(순조 8)에 편찬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따르면, 자여도에는 신풍역·근주역·안민역·성법역·적항역·남역·금곡역·대산역·창인역·영포역·파수역·춘곡역·보평역(保平驛)·양동역(良洞驛) 등 14개 역이 소속되어 있었다.

한편, 자여도는 일본으로 가는 사행로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행과 관련된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1787년(정조 11)에는 왜관(倭館)을 자여도의 웅천에서 황산도의 동래로 이설했으므로 자여도의 복호(復戶)를 황산도로 이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정조실록』 11년 9월 30일). 왜관이 웅천에 있을 때 마련한 복호 2,000여 결을 황산도로 이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조정의 논의는 왜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1872년(고종 9)에는 자여도에 포수 40명을 배속하였는데(『고종실록』 9년 9월 19일), 이는 강화도조약 이후 경상도 해안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로 판단된다.

영조대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자여도에는 역리(驛吏) 1,790명, 역노(驛奴) 121명, 역비(驛婢) 53명과 역마 170필이 배속되어 있었다. 그런데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경상도역지(慶尙道驛誌)』에는 자여도의 역마가 대마 13필, 중마 30필, 소마 93필 등 총 136필로 기록되어 있어, 그 수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후기 자여도의 중심역인 자여역에는 창고(倉庫)·관수고(官須庫)·아사(衙舍)가 총 8칸, 문루(門樓) 3칸, 마랑(馬廊) 10칸, 인리청(人吏廳) 7칸, 통인청(通引廳) 3칸, 관노청(官奴廳) 3칸, 사령청(使令廳) 3칸이 있었다.

자여도는 1896년(고종 33) 1월 18일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P00012448 01.PNG

참고문헌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경상도역지(慶尙道驛誌)』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 유선호, 「朝鮮初期의 驛路와 直路」, 『역사교육』70, 199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