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도(長水道)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장수도 |
한글표제 | 장수도 |
한자표제 | 長水道 |
하위어 | 청통역(淸通驛), 영천신역(永川新驛), 아화역(阿火驛), 모량역(毛良驛), 사리역(沙里驛), 경역(鏡驛), 조역(朝驛), 인비역(仁庇驛), 의곡역(義谷驛), 육역(六驛), 압량역(押梁驛), 흥해신역(興海新驛), 대송역(大松驛), 송라역(松羅驛), 장기신역(長鬐新驛), 하양신역(河陽新驛), 장수역(長水驛), 청경역(淸景驛), 우곡역(牛谷驛), 화양역(華陽驛), 잉보역(仍甫驛), 구어역(仇於驛), 노곡역(奴谷驛), 산역(山驛), 부평역(富平驛), 청경역(淸鏡驛) |
관련어 | 유곡도(幽谷道), 역도(驛道), 속역(屬驛), 찰방(察訪), 역승(驛丞)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개념용어 |
집필자 | 조성운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장수도(長水道) |
조선시대에 경상도 신녕의 장수역(長水驛)을 중심으로 설치한 역도.
개설
장수도(長水道)는 세종대에 설치된 역도(驛道)로, 1457년(세조 3)에는 유곡도(幽谷道)를 흡수·통합하였다가 1462년(세조 8)에 다시 분리되었다. 조선시대 전기의 운영 실태는 알 수 없지만, 『여지도서(輿地圖書)』와 『경상도역지(慶尙道驛誌)』 등을 통해 조선시대 후기의 상황은 파악할 수 있다.
내용 및 특징
장수도는 사근도(沙斤道)·안기도(安奇道)·유곡도((幽谷道)·김천도(金泉道)·성현도(省峴道)·황산도(黃山道)·소촌도(召村道)·자여도(自如道)·송라도(松羅道)·창락도(昌樂道)와 함께 경상도 지역에 설치된 역도이다. 신녕-영천-경주-울산으로 이어지는 역로(驛路)와, 경주에서 자인(慈仁) 방면, 청도(淸道)·청송(靑松)·청하(淸河) 방면으로 연결되는 역로를 관할하였다.
변천
고려의 역도를 계승한 조선 왕조가 언제부터 역도를 개혁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다만 『태조실록』에 따르면, 1396년(태조 5) 7월에 고려시대의 5도양계(五道兩界)를 개편하면서 서북면의 군현을 개정하고, 1398년(태조 7)에는 동북 지방의 역을 정비, 신설하면서 함경도 지역의 역도를 개편하였다. 그 뒤 1423년(세종 5) 7월에는 경상도 지역에 황산도(黃山道)와 성현도(省峴道)를 설치하고 역승(驛丞)을 파견하여 경상도의 역도를 개편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세종대에는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역도 체제를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장수도에는 청통역(淸通驛)·영천신역(永川新驛)·아화역(阿火驛)·모량역(毛良驛)·사리역(沙里驛)·경역(鏡驛)·조역(朝驛)·인비역(仁庇驛)·의곡역(義谷驛)·육역(六驛)·압량역(押梁驛)·흥해신역(興海新驛)·대송역(大松驛)·송라역(松羅驛)·장기신역(長鬐新驛)·하양신역(河陽新驛) 등 16개의 속역이 소속되어 있었다. 그 뒤 세조 연간인 1457년에는 유곡도와 장수도를 통합하여 장수도라 하였다. 1462년(세조 8)에 역제를 개편할 때는 장수역·청통역·청경역(淸景驛)·우곡역(牛谷驛)·화양역(華陽驛)·압량역·모량역·아화역·의곡역·경역·잉보역(仍甫驛)·사리역·조역·구어역(仇於驛)·노곡역(奴谷驛)·인비역 등 16개 역이 장수도의 속역이 되었다. 조선시대 후기의 경우 1808년(순조 8)에 편찬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는 우곡역·화양역·산역(山驛)·청통역·청경역(淸鏡驛)·아화역·모량역·의곡역·사리역·조역·구어역·경역·인비역·부평역(富平驛) 등 14개 역이 장수도의 속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1865년(고종 2)에 편찬된 『대전회통(大典會通)』에 따르면, 장수도의 속역은 청통역(靑通驛)·아화역·모량역·사리역·압량역·우곡역·부평역·청경역(淸景驛)·구어역·화양역·의곡역·인비역·경역·조역 등이었다. 산역을 장수도에 배치하고, 압량역은 성현도로 옮긴 것이 확인된다. 대동여지도에 장수도 속역을 표시하면 <그림>과 같다.
한편 영조대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따르면 장수도에는 역리(驛吏) 348명, 역노(驛奴) 292명, 역비(驛婢) 165명이 소속되어 있었으며, 역마는 157필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 통계에는 3개의 속역이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은 역속과 역마가 배속되었을 것이다. 그에 비해 순조 연간의 문헌인 『만기요람』에는, 장수도에 3등마 787필과 아전 및 군졸 18,793명이 배속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1872년(고종 9)에 편찬된 『경상도역지』에는 역마의 수가 137필로 나타나 있어 그 차이가 매우 크다. 『경상도역지』에 기록된 장수도 속역의 공수위전(公須位田) 지급 실태와, 1895년(고종 32)에 편찬된 『장수도역지(長水道驛誌)』에 기록된 장수도 소속 역마의 수는 <표 2>와 같다. 장수도의 속역은 모두 소로(小路)에 속하였으므로, <표 1>에 보이듯이 공수전은 5결씩 모두 75결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그러나 총 68결 13부밖에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실제로는 이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장수도는 1896년(고종 33) 1월 18일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경상도역지(慶尙道驛誌)』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 유선호, 「朝鮮初期의 驛路와 直路」, 『역사교육』70, 199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