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3번째 줄: 3번째 줄:
 
『통서(通書)』1권은 송대 신유학자인 [[주돈이]]의 저서이다. 글이 매우 짧고 단순하여 해석하기 어렵고 해석하더라도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려운데, 주자마저도 주석을 단순하게 달아 후학을 고통스럽게 하였다. <br/> <br/>
 
『통서(通書)』1권은 송대 신유학자인 [[주돈이]]의 저서이다. 글이 매우 짧고 단순하여 해석하기 어렵고 해석하더라도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려운데, 주자마저도 주석을 단순하게 달아 후학을 고통스럽게 하였다. <br/> <br/>
 
이러한 해석의 모호함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이견을 제기하였다. 다양한 이견들이 존재하지만 종합해보면 결국 '『통서』와 『태극도설』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리고 '정명도, 정이천과 주돈이의 관계는 어떠했는가?'로 집약시킬 수 있다. <br/> <br/>
 
이러한 해석의 모호함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이견을 제기하였다. 다양한 이견들이 존재하지만 종합해보면 결국 '『통서』와 『태극도설』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리고 '정명도, 정이천과 주돈이의 관계는 어떠했는가?'로 집약시킬 수 있다. <br/> <br/>
전통적으론 이 두 문제 모두 긍정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주희(朱熹)라는 대학자가 이 두 문제에 대하여 긍정하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생겨난다. 주희는 “선생의 학문은 그 오묘함이 『태극도설』 한 권에 구비되어 있으며, 통서는 모두 이 태극도설에 온축되어 있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통서』의 서문에서는 “유독 하남의 정부자(程夫子)께서 일찍이 수학해서 공자와 맹자이래로 전해지지 않던 정통을 얻었기 얻었으니 이로써 그 연원을 대략 알 수 있다.”고 하여 태극도설과 통서가 모두 주돈이의 저작이라고 간주하였으며, 주돈이와 이정의 사승관계를 인정하였다. <br/> <br/>
+
전통적으론 이 두 문제 모두 긍정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주희(朱熹)라는 대학자가 이 두 문제에 대하여 긍정하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생겨났다. 주희는 “선생의 학문은 그 오묘함이 『태극도설』 한 권에 구비되어 있으며, 통서는 모두 이 태극도설에 온축되어 있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통서』의 서문에서는 “유독 하남의 정부자(程夫子)께서 일찍이 수학해서 공자와 맹자이래로 전해지지 않던 정통을 얻었기 얻었으니 이로써 그 연원을 대략 알 수 있다.”고 하여 태극도설과 통서가 모두 주돈이의 저작이라고 간주하였으며, 주돈이와 이정의 사승관계를 인정하였다. <br/> <br/>
 
하지만 주희 당시에도 이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왕응진(汪應辰)은 “염계선생께서는 고명하시고 순정하시지만 二程이 수학했다고 말한 것은 아마도 완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고 하였고, 육구연(陸九淵)은 형인 육구령(陸九齡)의 말을 인용하며 “형은 『태극도설』과 『통서』가 유사하지 않다고 하였는데 아무래도 주돈이가 지은 것이 아닌 듯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혹 그 학문이 성숙하지 않았을 때의 저작이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다른 사람의 문장을 전한 것인데 후대 사람들이 변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고 하였다. 명대에도 명나라의 풍방(豊坊)이나 청나라의 전조망(全祖望), 대진(戴震)은 모두 주정수수설을 부정하였다. 주정수수설을 부정하거나 『태극도설』과 『통서』을 별개의 텍스트로 간주하는 주장은 서로 연관을 맺고 있다. 왜냐하면 주정수수설을 부정하는 학자들이 대체로 『태극도설』과 『통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br/> <br/>
 
하지만 주희 당시에도 이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왕응진(汪應辰)은 “염계선생께서는 고명하시고 순정하시지만 二程이 수학했다고 말한 것은 아마도 완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고 하였고, 육구연(陸九淵)은 형인 육구령(陸九齡)의 말을 인용하며 “형은 『태극도설』과 『통서』가 유사하지 않다고 하였는데 아무래도 주돈이가 지은 것이 아닌 듯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혹 그 학문이 성숙하지 않았을 때의 저작이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다른 사람의 문장을 전한 것인데 후대 사람들이 변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고 하였다. 명대에도 명나라의 풍방(豊坊)이나 청나라의 전조망(全祖望), 대진(戴震)은 모두 주정수수설을 부정하였다. 주정수수설을 부정하거나 『태극도설』과 『통서』을 별개의 텍스트로 간주하는 주장은 서로 연관을 맺고 있다. 왜냐하면 주정수수설을 부정하는 학자들이 대체로 『태극도설』과 『통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br/> <br/>
 
현대의 학자 중에선 등광명(邓广铭)이 「關於周敦頤的師承和傳授」라는 논문에서 “이정은 결코 理學을 주돈이로부터 배우지 않았다. 특히 그의 『태극도설』과 『통서』를 이정은 모두 접촉한 적도 없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반하여 주정수수의 가능성을 새롭게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도 있다. 예를 들어 정종모는 「정명도의 주역해석과 그 경학사적 의의」에서 “그(정명도)의 경학의 출발점은 『통서』에 드러난 주렴계의 관점과 유사하며, 이런 차원에서 우리는 주정수수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고 하였다. <br/> <br/>
 
현대의 학자 중에선 등광명(邓广铭)이 「關於周敦頤的師承和傳授」라는 논문에서 “이정은 결코 理學을 주돈이로부터 배우지 않았다. 특히 그의 『태극도설』과 『통서』를 이정은 모두 접촉한 적도 없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반하여 주정수수의 가능성을 새롭게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도 있다. 예를 들어 정종모는 「정명도의 주역해석과 그 경학사적 의의」에서 “그(정명도)의 경학의 출발점은 『통서』에 드러난 주렴계의 관점과 유사하며, 이런 차원에서 우리는 주정수수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고 하였다. <br/> <br/>

2019년 4월 17일 (수) 01:37 판

해제

이 페이지는 고려대 철학과 대학원 동양철학전공 원전 강독 세미나(의적단)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통서(通書)』1권은 송대 신유학자인 주돈이의 저서이다. 글이 매우 짧고 단순하여 해석하기 어렵고 해석하더라도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려운데, 주자마저도 주석을 단순하게 달아 후학을 고통스럽게 하였다.

이러한 해석의 모호함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이견을 제기하였다. 다양한 이견들이 존재하지만 종합해보면 결국 '『통서』와 『태극도설』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그리고 '정명도, 정이천과 주돈이의 관계는 어떠했는가?'로 집약시킬 수 있다.

전통적으론 이 두 문제 모두 긍정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주희(朱熹)라는 대학자가 이 두 문제에 대하여 긍정하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생겨났다. 주희는 “선생의 학문은 그 오묘함이 『태극도설』 한 권에 구비되어 있으며, 통서는 모두 이 태극도설에 온축되어 있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통서』의 서문에서는 “유독 하남의 정부자(程夫子)께서 일찍이 수학해서 공자와 맹자이래로 전해지지 않던 정통을 얻었기 얻었으니 이로써 그 연원을 대략 알 수 있다.”고 하여 태극도설과 통서가 모두 주돈이의 저작이라고 간주하였으며, 주돈이와 이정의 사승관계를 인정하였다.

하지만 주희 당시에도 이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왕응진(汪應辰)은 “염계선생께서는 고명하시고 순정하시지만 二程이 수학했다고 말한 것은 아마도 완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고 하였고, 육구연(陸九淵)은 형인 육구령(陸九齡)의 말을 인용하며 “형은 『태극도설』과 『통서』가 유사하지 않다고 하였는데 아무래도 주돈이가 지은 것이 아닌 듯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혹 그 학문이 성숙하지 않았을 때의 저작이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다른 사람의 문장을 전한 것인데 후대 사람들이 변별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고 하였다. 명대에도 명나라의 풍방(豊坊)이나 청나라의 전조망(全祖望), 대진(戴震)은 모두 주정수수설을 부정하였다. 주정수수설을 부정하거나 『태극도설』과 『통서』을 별개의 텍스트로 간주하는 주장은 서로 연관을 맺고 있다. 왜냐하면 주정수수설을 부정하는 학자들이 대체로 『태극도설』과 『통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다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학자 중에선 등광명(邓广铭)이 「關於周敦頤的師承和傳授」라는 논문에서 “이정은 결코 理學을 주돈이로부터 배우지 않았다. 특히 그의 『태극도설』과 『통서』를 이정은 모두 접촉한 적도 없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반하여 주정수수의 가능성을 새롭게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도 있다. 예를 들어 정종모는 「정명도의 주역해석과 그 경학사적 의의」에서 “그(정명도)의 경학의 출발점은 『통서』에 드러난 주렴계의 관점과 유사하며, 이런 차원에서 우리는 주정수수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고 하였다.

『통서』는 주돈이가 직접 쓴 본문과 주희의 주해 사이에 몇몇 간극이 존재한다. 하지만 본문만 가지고는 주돈이의 사상을 재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주희의 이해방식을 참조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주희의 이해방식에 근거하면 『통서』의 내용은 크게 셋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통서』는 만물·운동·변화의 근거로서 ‘태극(太極)’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우리 눈 앞에 펼쳐져 있는 현상과 태극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선 ‘誠上第一’, ‘誠下第二’, ‘動靜第十六’, ‘理性命第二十二’ 등에서 보인다. 둘째, 『통서』는 유학자가 지향해야 할 가치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이에 대해선 ‘志學第十’, ‘顔子第二十三’ 등에서 보인다. 셋째, 『통서』는 세상을 경영하는 수단으로서의 ‘예(禮)’와 ‘악(樂)’의 활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선 ‘樂上第十七’, ‘樂中第十八’, ‘樂下第十九’에서 보인다.

원문 및 朱注

번역 없이 원문만 필요할 경우 다음의 링크를 활용하고,[1]
각 장의 번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의 링크를 확인할 것. (발제자가 달라 형식/표점 등이 일정하지 않는데, 추후 교정 필요)

誠上第一

誠下第二

誠幾德第三

聖第四

愼動第五

道第六

師第七

幸第八

思第九

志學第十

順化第十一

治第十二

禮樂第十三

務實第十四

愛敬第十五

動靜第十六

樂上第十七

樂中第十八

樂下第十九

聖學第二十

公明第二十一

理性命第二十二

顔子第二十三

師友上第二十四

師友下第二十五

過第二十六

勢第二十七

文辭第二十八

聖蘊第二十九

精蘊第三十

乾損益動第三十一

家人睽無妄第三十二

富貴第三十三

陋第三十四

擬議第三十五

刑第三十六

公第三十七

孔子上第三十八

孔子下第三十九

蒙艮第四十


통서해 서문


《通書解》序 - 宋 朱熹


通書者, 濂溪夫子之所作也.(夫子性周氏, 名敦頤, 字茂叔). 夫子自少卽以學行有聞於世, 而莫或知其師傳之所自. 獨以河南兩程夫子嘗受學焉, 而得孔孟不傳之正統, 則其淵源因可槪見. 然所以指夫仲尼, 顔子之樂, 而發其吟風弄月之趣者, 亦不可得而悉聞矣. 所著之書, 又多放失. 獨此一篇, 本號易通, 與太極圖說並出, 程氏以傳於世, 而其爲說, 實相表裏. 大抵推一理、二氣、五行之分合, 以紀綱道體之精微; 決道義、文辭、祿利之取舍, 以振起俗學之卑陋. 至論所以入德之方、經世之具, 又皆親切簡要, 不爲空言. 顧其宏綱大用, 旣非秦漢以來諸儒所及; 而其條理之密、意味之深, 又非今世學者所能驟而窺也. 是以程氏旣沒, 而傳者鮮焉, 其知之者, 不過以爲用意高遠而已. 熹自蚤歲旣幸得其遺編而伏讀之, 初蓋茫然不知其所謂, 而甚或不能以句. 壯歲獲遊延平先生之門, 然後始得聞其說之一二, 比年以來, 潛玩旣久, 乃若粗有得焉. 雖其宏綱大用所不敢知, 然於其章句文字之間, 則有以實見其條理之愈密、意味之愈深, 而不我欺也. 顧自始讀以至於今, 歲月幾何! 倏焉三紀. 慨前哲之益遠, 懼妙旨之無傳, 竊不自量, 輒爲注釋. 雖知凡近不足以發夫子之精蘊, 然創通大義, 以俟後之君子, 則萬一其庶幾焉. 淳熙丁未九月甲辰, 後學朱熹謹記.
『통서通書』는 염계 선생의 저작이다. (선생의 성은 周씨이고, 이름은 '돈이敦頤'이며, 자는 '무숙茂叔'이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학문과 행실로 세상에 명성이 있었지만 아무도 그 사승관계의 연원을 알지 못했다. 유독 하남의 정부자 [1] 께서 일찍이 수학해서 공자와 맹자이래로 전해지지 않던 정통을 얻었기 얻었으니 이로써 그 연원은 대략 알 수 있다. 그러나 공자와 안자의 즐거움을 가리켜주고 [2] 음풍농월의 흥취를 일으키게 했던 것 [3] 을 또한 모두 들을 수 없는데다가 저술한 책도 흩어지고 잃어버린 것이 많다. 오직 이 한 편만은 본래 ‘역통易通’으로 불렸는데 『태극도설太極圖說』과 함께 나와서 程氏가 이를 세상에 전하셨으니 그 학설은 실로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서로 표리를 이룬다. 대체로 [그 내용은] 一理와 二氣,五行의 나누어짐과 합해짐을 추론하여 道體의 정밀하고 미묘함을 紀綱으로 삼았고, 道義와 文辭, 祿利 중에 취하고 버릴 것인지 결정해서 세속적 학문의 비루함을 떨치고 일어났으며, 덕德에 들어가는 방도와 세상을 경영하는 도구를 논하는 데 이르러서도 모두 친절하고 간단명료하니, 공허한 말이 아니다. 그 학설의 넓은 대강과 큰 쓰임을 돌아보니 이미 진나라와 한나라 이래 여러 유학자들이 미칠 바가 아니고, 그 조리의 엄밀함과 의미의 심오함 역시 오늘날의 학자들이 갑작스럽게 엿볼 수 있는 바가 아니다. 이 때문에 程氏가 세상을 떠나자 전한 사람이 드물었고, [이 책을] 안다고 하는 사람들도 그 생각이 고원하다고 여길 뿐이었다. 나는 어려서부터 이미 다행히 그 남겨진 책을 얻어 읽었으나, 처음에는 아득하여 이것이 말하는 것이 뭔지 알 수 없었으며,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구두도 뗄 수 없었다. 나이가 들어 연평선생의 문하에서 공부한 뒤에야 비로소 그 학설의 일부를 알 수 있었고, 근년 이래 오랫동안 깊이 완미해보고 나서야 조잡하게나마 뭔가 깨닫는 것이 있게 되었다. 비록 핵심적인 요지와 광대한 쓰임은 감히 알 순 없지만, 장구와 문자의 사이에 조리가 더욱 치밀하고 의미는 더욱 깊어서 진실로 나를 속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고해 보건대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세월이 얼마나 흘렀는가! 어느새 홀연히 36년이 되었다. 앞선 철인들이 점점 더 멀어짐이 개탄스럽고 미묘한 뜻이 멀어지고 있음이 두려워 삼가 나의 역량을 헤아리지도 않고 주해를 달았다. 비록 자질이 용렬하고 식견이 천박해서 선생님의 정밀한 뜻을 드러내기에 부족하다는 것을 알지만, 처음 대강의 의미를 통하게 함으로써 훗날의 군자를 기다리니 만의 하나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순희 정미년(1187년) 9월 갑진일, 후학 주희朱熹는 삼가 서문을 쓰다


주석

  1. 정명도程明道와 정이천程伊川형제를 지칭한다.
  2. 『論語』「雍也」 子曰: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飲,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 回也!"
  3. 『二程遺書』 卷三. “詩可以興. 某自再見茂叔後, 吟風弄月以歸, 有‘吾與點也’之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