誠下第二
DH 교육용 위키
誠下第二
주돈이의 통서 제2장의 원문 및 朱注이다.
- 聖, 誠而已矣.
- 성인다워지는 것은 성실히 해나가는 데에 달렸을 뿐이다.
- 聖人之所以聖, 不過全此實理而已, 即所謂“太極”者也.
- 성인이 성인다워지는 이유는 이 현실의 理를 온전히 실현해서이다. [‘이 현실의 理’란] 바로 ‘태극’을 일컫는다.
- 誠, 五常之本ㆍ百行之源也.
- 성실은 주요 덕목들[五常]의 근원이자 온갖 덕행들의 원천으로,
- 五常, 仁·義·禮·智·信, 五行之性也.[1] 百行, 孝·悌·忠·順之屬, 萬物之象也. 實理全, 則五常不虧, 而百行修矣.
- ‘五常’은 仁義禮智信인데, 五行 각각에 해당하는 덕성이다. ‘百行’은 孝悌忠順 등인데, 뭇 사람들의 행위로 드러나는 것이다. 현실의 理가 온전히 실현되면 五常이 어긋나지 않고 百行이 잘 행해진다.
- 静無而動有, 至正而明達也.
- 静의 차원에 머물러있을 시에는 감각할 수 없으면서도 動의 차원으로 드러나 나오면 감각할 수 있으니, 아주 본원적인 것이면서도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이자 사방에 통하는 것이다.
- 方静而陰, 誠固未嘗無也, 以其未形, 而謂之無耳[2]; 及動而陽, 誠非至此而後有也, 以其可見, 而謂之有耳.[3] 静無, 則至正而已; 動有, 然後明與達者可見也.
- 멎어들어 陰이 되려 하는 경우를 보아도 誠이 본디부터 없어본 적은 없는데 다만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해서 ‘無’로 일컬은 것일 뿐이다. 움직여 양이 되고 난 경우를 보아도 誠이 그 상태에 이른 이후라야 있게 되는 건 아닌데 다만 볼(감각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有’로 일컬은 것일 뿐이다. ‘静無’의 단계란 단지 正하고 그치는 것뿐이다. ‘動有’된 뒤라야 明과 達을 볼 수 있는 것이다.
- 五常百行非誠, 非也, 邪暗塞也.
- 주요 덕목들과 온갖 덕행들은 성실히 해나가지 않으면 그릇되어, 타락하고 흐려지고 막다르게 된다.
- 非誠, 則五常百行皆無其實, 所謂不誠無物者也. 静而不正, 故邪; 動而不明不達, 故暗且塞.
- 성실히 해나가지 않으면 五常과 百行이 예외없이 본모습을 잃게 되는데 이것이 ‘성실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없다’[4]는 말씀의 뜻이다. 멎어들되 본연의 상태에 맞지 않으면 타락하게 되고, 움직이되 분명하지도 못하고 통하지도 못하면 흐려지고 막다르게 된다.
- 故誠則無事矣.
- 그러니까 성실히 해나가면 문젯거리가 없게 된다.
- 誠則衆理自然無一不備, 不待思勉而從容中道矣.
- 성실히 해나가면 理가 많아도 자연히 하나도 빠뜨리는 게 없게 되고 골머리 앓으며 낑낑대지 않아도 시나브로 道에 들어맞게 된다.
- 至易而行難.
- 자연스럽게 이르도록 하면 쉽게 되지만 억지로 하려 들면 해내기 어렵다.
- 實理自然, 故易; 人偽奪之, 故難.
- 현실의 理는 자연스러우므로 쉽다. 억지스러운 짓이 그것을 방해하니까 어려운 것이다.
- 果而確, 無難焉.
- 추진력있게 밀어붙이되 지킬 것은 확실히 지켜 가면서 해나가면 방해물이 없을 것이다.
- 果者, 陽之決; 確者, 陰之守. 決之勇, 守之固, 則人偽不能奪之矣.
- ‘果’는 陽적으로 드러나는 실천이고 ‘確’은 陰적으로 감추어져 있는 지키는 바이다. 실천이 맹렬하고 지키는 바가 확고하면, 억지스러운 짓이 바른 실천을 방해하지는 않게 된다.
- 故曰: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 이러한 맥락에서 “하루만이라도 사욕을 해소하여 禮로 되돌아가면 사람들이 仁을 다 받아들일 것이다.”라는 말씀이 나온 것이리라.
- 克去己私, 復由天理, 天下之至難也. 然其機可一日而決, 其效至於天下歸仁, 果確之無難如此.
- 자신의 사욕을 극복하고 해소하여 천리로 되돌아가는 것은 세상에서 참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그렇긴 하지만 그 출발점 정도는 하루만에라도 결심할 수 있는 것이고, 그 결심의 효과는 사람들이 仁을 다 받아들이는 데에까지 이르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추진력있게 밀어붙이되 지킬 것은 확실히 지켜 가면서 한다면 방해물이 없을 것이다’라는 말씀의 뜻도 이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