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윤선도 유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해남윤선도유적.jpg |사진출처=해남군, (재)마한문화연구원, 『해남 윤선도유적』, (재)마한문화연구원, 2016. |대표명...)
 
36번째 줄: 36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pre>
+
{|
 
+
|
</pre>
+
<googlemap width="800" height="500" lat="37.283529" lon="127.016201" type="normal"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label}.png">
 +
(A) 37.282341, 127.013251, [[수원 화성행궁]]
 +
(B) 37.286892, 127.020052,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C) 37.287980, 127.018200, [[용연]]
 +
(D) 37.281992, 127.012984, [[봉수당]]
 +
(E) 37.282363, 127.012935, [[낙남헌]]
 +
(F) 37.281586, 127.013275, [[유여택]]
 +
(G) 37.281861, 127.014367, [[신풍루]]
 +
(H) 37.283130, 127.012547, [[화령전]]
 +
(I) 37.285498, 127.009668, [[화서문]]
 +
(J) 37.288868, 127.014308, [[장안문]]
 +
(K) 37.280744, 127.010215, [[서장대]]
 +
(L) 37.277505, 127.016692, [[팔달문]]
 +
</googlemap>
 +
|
 +
*A - [[수원 화성행궁]]
 +
*B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C - [[수원 화성 - 용연|용연]]
 +
*D - [[봉수당]]
 +
*E - [[낙남헌]]
 +
*F - [[유여택]]
 +
*G - [[신풍루]]
 +
*H - [[화령전]]
 +
*I - [[수원 화성 - 화서문|화서문]]
 +
*J - [[수원 화성 - 장안문|장안문]]
 +
*K - [[수원 화성 - 서장대|서장대]]
 +
*L - [[수원 화성 - 팔달문|팔달문]]
 +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19년 3월 10일 (일) 12:14 판

해남 윤선도 유적
Historic Site Related to Yun Seon-do, Haenam
해남군, (재)마한문화연구원, 『해남 윤선도유적』, (재)마한문화연구원, 2016.
대표명칭 해남 윤선도 유적
영문명칭 Historic Site Related to Yun Seon-do, Haenam
한자 海南 尹善道 遺蹟
주소 해남군 현산면 구시리 산 181
지정번호 사적 제432호
지정일 2001년 8월 17일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역사유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49,402㎡
웹사이트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설문

국문

해남 윤선도 유적은 금쇄동(金鎖洞)과 금쇄동 안에 있는 현산고성을 가리킨다. 고산 윤선도가 54세 되던 해인 인조 16년(1640)에 황금 자물쇠로 잠긴 상자인 금쇄석궤(金鎖石櫃)를 얻는 꿈을 꾼 후 며칠 지나지 않아 꿈속에서 보았던 이곳을 찾아서 금쇄동이라 이름 지었다.

금쇄동은 넓은 자연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조성한 거대한 원림(園林)*이다. 윤선도는 수정동, 금쇄동, 문소동을 조성하고 10여 년간 세상을 피해 숨어 살면서 「금쇄동기」, 「금쇄동집고」, 「산중신곡」 등 많은 작품을 남겼다. 또한 주변의 명소 22곳에 이름을 붙여 금쇄동의 아름다운 경치를 소개했다.

2015년 금쇄동 유적을 부분적으로 발굴하고 조사하여 교의재, 회심당, 휘수정 등 주요 건물의 규모와 성격을 밝혀 냈다. 금쇄동을 둘러싼 현산고성은 고려 시대에 쌓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동문, 서문, 북문 등 문터 세 곳이 확인되었다.

윤선도는 현종 12년(1671)에 완도 보길도 낙서재에서 85세로 생을 마감한 뒤 이곳 금쇄동에 묻혔다.

  • 원림: 경치 좋은 곳에 정자와 폭포 등을 만들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꾸민 정원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