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 이미지 모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47번째 줄: | 847번째 줄: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0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 손응성.jpg|<ref>조성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52 손응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2014년 6월 24일.</ref> | 파일: 손응성.jpg|<ref>조성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552 손응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2014년 6월 24일.</ref>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손응성_비원.jpg| 비원, 1963, 캔버스에 유채, 90x73cm | + | 파일:민족기록화_작가_손응성_비원.jpg| 비원, 1963, 캔버스에 유채, 90x73cm<ref>참나무, "[http://blogs.chosun.com/kangquilt/2012/10/08/3-%EB%AC%B4%EB%AC%B4-%EC%9B%90%ED%94%BC%EC%8A%A4%EC%9D%98-%EC%B6%94%EC%96%B5/ 3.무무 원피스의 추억]",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닷컴 블로그』<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2년 10월 08일.</ref> |
파일: 손응성-스키복 입은 여인.jpg| 스키복 입은 여인, 1940, 캔버스에 유채, 129x9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119 스키복 입은 여인]",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 손응성-스키복 입은 여인.jpg| 스키복 입은 여인, 1940, 캔버스에 유채, 129x9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119 스키복 입은 여인]",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파일 : 손응성-여래상.jpg|여래상, 1954, 캔버스에 유채, 128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118 여래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 : 손응성-여래상.jpg|여래상, 1954, 캔버스에 유채, 128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0118 여래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2017년 11월 16일 (목) 16:38 판
개관 목차 작업실 전체 기사 목록 전자지도 파빌+영상 파빌(지침) 신규이미지 수집이미지 Icons 온톨(민족) 온톨(전체) |
중복 이미지의 경우, 아래 '번호(CXXX)'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삭제해 주세요
목차
- 1 중심기사
- 1.1 작품
- 1.1.1 C002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1.1.2 C003 : 박각순-살수대첩
- 1.1.3 C004 : 박창돈-안시성싸움
- 1.1.4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1.1.5 C008 : 오승우-황산싸움
- 1.1.6 C009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1.1.7 C010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 1.1.8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1.1.9 C013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1.1.10 C014 :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1.1.11 C015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1.1.12 C016 : 이용환-귀주대첩
- 1.1.13 C017 : 안재후-여진정벌
- 1.1.14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1.1.15 C020 : 문학진-쌍성수복
- 1.1.16 C021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1.1.17 C024 : 문학진-고려청자
- 1.1.18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1.1.19 C026 김태-육진개척
- 1.1.20 C027 강대운-진주성싸움
- 1.1.21 C028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1.1.22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 1.1.23 C031 : 오승우-행주대첩
- 1.1.24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1.1.25 C033 : 김형구-한산대첩
- 1.1.26 C034 : 김기창-명량대첩
- 1.1.27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1.1.28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1.1.29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1.1.30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1.1.31 C039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1.1.32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1.1.33 C041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1.1.34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 1.1.35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 1.1.36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1.1.37 C046 :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1.1.38 C047 : 손수광-청산리싸움
- 1.1.39 C048 :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1.1.40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1.1.41 C050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1.1.42 C051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1.1.43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1.1.44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1.1.45 C055 : 윤중식-8.15해방
- 1.1.46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1.1.47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X
- 1.1.48 C061 : 이마동-감귤
- 1.1.49 C062 : 천칠봉-경지정리
- 1.1.50 C063 : 천칠봉-대단위뽕밭
- 1.1.51 C064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1.1.52 C066 : 이인영-삼화목장
- 1.1.53 C066 : 이용환-굴뗏목양식
- 1.1.54 C066 : 김창락-원양어업
- 1.1.55 C069 : 문학진-강원탄광
- 1.1.56 C070 : 최덕휴-장성광업소
- 1.1.57 C071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1.1.58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 1.1.59 C073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1.1.60 C075 : 김태-신진자동차
- 1.1.61 C076 : 양인옥-기아산업
- 1.1.62 C077 : 박득순-현대조선소
- 1.1.63 C078 : 박창돈-금성사
- 1.1.64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1.1.65 C080 : 김종하-한일합섬
- 1.1.66 C081 : 박창돈-선경직물
- 1.1.67 C082 : 박항섭-한국기계
- 1.1.68 C083 : 이용환-삼도물산
- 1.1.69 C084 : 최영림-대동공업
- 1.1.70 C086 : 김숙진-한국비료
- 1.1.71 C088 : 하인두-동명목재
- 1.1.72 C089 : 박광진-소양강댐
- 1.1.73 C090 : 김숙진-소양강댐
- 1.1.74 C091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 1.1.75 C092 : 이의주-호남정유
- 1.1.76 C094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1.1.77 C095 :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1.1.78 C096 : 박각순-남해대교
- 1.1.79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 1.1.80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1.1.81 C098 : 박득순-지하철
- 1.1.82 C100 : 박광진-아산방조제
- 1.1.83 C101 : 박서보-수출선박
- 1.1.84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 1.1.85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1.1.86 C104 : 김원-해안사방
- 1.1.87 C105 : 박영선-현충사
- 1.1.88 C106 : 손응성-불국사
- 1.2 작가
- 1.2.1 C107 : 강대운
- 1.2.2 C108 : 김기창
- 1.2.3 C112 : 김종하
- 1.2.4 C115 : 김태
- 1.2.5 C119 : 박광진
- 1.2.6 C120 : 박기태
- 1.2.7 C121 : 박득순
- 1.2.8 C122 : 박서보
- 1.2.9 C123 : 박석호
- 1.2.10 C125 : 박영선
- 1.2.11 C127 : 박항섭
- 1.2.12 C129 : 손응성
- 1.2.13 C130 : 신영상
- 1.2.14 C131 : 안재후
- 1.2.15 C132 : 양인옥
- 1.2.16 C133 : 오승우
- 1.2.17 C134 : 오승윤
- 1.2.18 C137 : 이마동
- 1.2.19 C139 : 이의주
- 1.2.20 C142 : 임직순
- 1.2.21 C143 : 장두건
- 1.2.22 C146 : 정창섭
- 1.2.23 C147 : 천칠봉
- 1.2.24 C148 : 최덕휴
- 1.2.25 C149 : 최대섭
- 1.2.26 C150 : 최영림
- 1.2.27 C151 : 하인두
- 1.3 소장처
- 1.1 작품
- 2 문맥기사
- 2.1 인물
- 2.1.1 이괄
- 2.1.2 의순
- 2.1.3 이시헌
- 2.1.4 백제 의자왕
- 2.1.5 곽재우
- 2.1.6 영규
- 2.1.7 심덕부
- 2.1.8 혜장
- 2.1.9 이병철
- 2.1.10 김종필
- 2.1.11 권율
- 2.1.12 김개남
- 2.1.13 손화중
- 2.1.14 원균
- 2.1.15 이억기
- 2.1.16 전봉준
- 2.1.17 안중근
- 2.1.18 홍범도
- 2.1.19 김시민
- 2.1.20 안창호
- 2.1.21 정기룡
- 2.1.22 김좌진
- 2.1.23 임경업
- 2.1.24 이토 히로부미
- 2.1.25 신돌석
- 2.1.26 이승훈
- 2.1.27 배중손
- 2.1.28 배중손
- 2.1.29 박승환
- 2.1.30 민영환
- 2.1.31 이완용
- 2.1.32 손병희
- 2.1.33 변이중
- 2.2 단체
- 2.2.1 금성사
- 2.2.2 선경직물
- 2.2.3 단광회
- 2.2.4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2.2.5 르 살롱
- 2.2.6 목우회
- 2.2.7 종군화가단
- 2.2.8 후소회
- 2.2.9 태화복지재단
- 2.2.10 한국수력원자력
- 2.2.11 고리원자력발전소
- 2.2.12 한울원자력발전소
- 2.2.13 월성원자력발전소
- 2.2.14 한빛원자력발전소
- 2.2.15 한국비료공업
- 2.2.16 충주비료공장
- 2.2.17 국제연합한국재건단
- 2.2.18 인천판유리
- 2.2.19 쌍용양회 문경공장
- 2.2.20 쌍용양회 동해공장
- 2.2.21 쌍용양회공업
- 2.2.22 롯데정밀화학
- 2.2.23 산림청
- 2.2.24 국립종축원
- 2.2.25 국립축산과학원
- 2.2.26 팔당수력발전소
- 2.2.27 극동건설
- 2.2.28 구상전
- 2.2.29 흥사단
- 2.2.30 대성학교
- 2.2.31 북로군정서
- 2.2.32 화순광업소
- 2.2.33 장성광업소
- 2.2.34 도계광업소
- 2.2.35 대한석탄공사
- 2.2.36 한국광해관리공단
- 2.2.37 보성사
- 2.2.38 포항종합제철
- 2.2.39 기아자동차
- 2.2.40 현대중공업
- 2.2.41 삼도물산
- 2.2.42 대동공업
- 2.2.43 한국도로공사
- 2.2.44 호남정유
- 2.2.45 한일합섬
- 2.2.46 신진자동차공업
- 2.2.47 한국기계공업
- 2.3 장소
- 2.3.1 백운동 별서정원
- 2.3.2 설록다원강진
- 2.3.3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2.3.4 진도 정충사
- 2.3.5 마산자유무역지역
- 2.3.6 진주성
- 2.3.7 소양강댐
- 2.3.8 청천강
- 2.3.9 구월산
- 2.3.10 태화관
- 2.3.11 호남고속도로
- 2.3.12 경부고속도로
- 2.3.13 추풍령휴게소
- 2.3.14 백산성
- 2.3.15 경주 통일전
- 2.3.16 명량
- 2.3.17 서울 탑골공원
- 2.3.18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 2.3.19 소양강댐
- 2.3.20 영월 탄광문화촌
- 2.3.21 정미의병 발원 터
- 2.3.22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 2.4 문화유산
- 2.5 문헌
- 2.5.1 백운첩
- 2.5.2 대동여지도
- 2.5.3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 2.5.4 오승우-황산싸움 관련 기사
- 2.5.5 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
- 2.5.6 독립신문
- 2.5.7 광개토대왕릉비
- 2.5.8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2.5.9 매소성
- 2.5.10 청해진
- 2.5.11 적산 법화원
- 2.5.12 일본 동대사
- 2.5.13 행주산성
- 2.5.14 정읍 전봉준 유적
- 2.5.15 해남명량대첩비
- 2.5.16 경주 석굴암
- 2.5.17 경주 석굴암 본존불
- 2.5.18 경주 불국사
- 2.5.19 아산 현충사
- 2.5.20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 2.5.21 삼도수군통제영
- 2.5.22 비격진천뢰
- 2.6 사건
- 2.7 개념
- 2.8 물품
- 2.1 인물
- 3 기획기사
- 4 주석
중심기사
작품
C002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수집
- 영상 1 : 역사스페셜, 광개토대왕 업적
C003 : 박각순-살수대첩
수집
- 영상 1 : 고구려의 기습!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 이미지 3 :
C004 : 박창돈-안시성싸움
수집
C006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수집
C008 : 오승우-황산싸움
수집
- 영상 1 : 황산벌전투(출처:백제문화단지)
- 이미지 3 :
신규
- 이미지 5 :
C009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수집
신규
- 이미지 5 :
C010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수집
- 영상 1 : 1200년 전, 해상무역의 비밀
신규
- 이미지 9 :
장보고 기념관 1층 전시실[21]
장보고 기념관 장도 디오라마[22]
장보고 기념관 장도 디오라마[23]
장보고 기념관 설명판[24]
장보고 기념관 장보고 초상(이종상 작)[25]
C011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수집
- 영상 2 :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문화재-4.삼국의 고분,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고대건축
- 이미지 4 :
C013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수집
- 영상 1 : 문화유산코리아 세계유산 시리즈- 석굴암,불국사
신규
- 이미지 8 :
석굴암 입구[30]
석굴암 가는 길[31]
석굴암 안내판[32]
석굴암 전경[33]
석굴암 석물[34]
석굴암 앞[35]
석굴암 석등하대석[36]
석굴암에서 내려다 본 토함산[37]
C014 :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수집
- 이미지 2 :
C015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수집
- 영상 1 : 거란의 침입을 물리친 서희의 외교 담판
- 이미지 2 :
C016 : 이용환-귀주대첩
수집
- 이미지 1 :
민족기록화 '이용환-귀주대첩'으로 제작한 우표 [42]
C017 : 안재후-여진정벌
수집(영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76회 윤관
C019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수집
- 영상 1 : EBS 5분 한국사- 27 반원 자주 개혁, 공민왕
C020 : 문학진-쌍성수복
수집
- 영상 1 :동영상 쌍성총관부 공격
C021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수집
- 영상 1 :부여 백제방송 - 홍산대첩문화제
- 이미지 3 :
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
C024 : 문학진-고려청자
수집
- 이미지 2 :
C025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수집
C026 김태-육진개척
수집(이1, 영1)
- 이미지 : 1
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47]
- 영상 1: [NATV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
C027 강대운-진주성싸움
수집
- 영상 2:
국립진주박물관-진주대첩,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충의로 나라를 구한 진주성 전투의 영웅 충무공 김시민
C028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수집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51회 곽재우
- 이미지 1 :
신규
- 이미지 : 11
정암진 전경[49]
정암진 안내판[50]
정암루[51]
정암루 안내판[52]
정암루 현판[53]
정암철교 안내판[54]
정암철교 [55]
의령관문[56]
의령관문과 곽재우[57]
곽재우 친필시[58]
홍의장군 전적비[59]
C030 : 박석호-추풍령싸움
수집(이1)
- 이미지 1 :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60]
C031 : 오승우-행주대첩
수집
C032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수집
- 이미지 3 :
신규
- 이미지 11 :
영규와 조헌 선생을 기려 세운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65]
1603년에 시워진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66]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요약[67]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68]
종용사 내부[69]
종용사 현판[70]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된 순의비각[71]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 안내판[72]
순의비 모습[73]
순의비각 현판[74]
C033 : 김형구-한산대첩
수집
- 영상 1 : 인터넷 통영방송 - 한산대첩 재현장면
- 이미지 1 :
C034 : 김기창-명량대첩
수집
- 영상 1 : 국립진주박물관 - 명량대첩
신규
- 이미지 6 :
C035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수집
- 영상 1 : 역사만화 한국사위인전 17 사명대사
- 이미지 3 :
C036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수집
- 이미지 : 2
C037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수집
- 영상 1 :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이미지 : 3
C038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수집(영2)
C039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신규
- 이미지 1 :
C040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수집
- 이미지 : 2
C041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수집
- 영상 1 : 역사채널e -1894년 '그날'동학농민운동
- 이미지 : 3
C042 : 장리석-홍주성수복
수집
C043 : 정창섭-태백산전투
수집(영1)
- 영상 : 1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8회 신돌석
C044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수집(이3)
- 이미지 : 3
C046 :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수집
- 영상 1 : 안중근 의거 100년, 이토 적격 영상을 찾아라
- 이미지 : 3
C047 : 손수광-청산리싸움
수집
- 영상 1: 대한뉴스 제 880호-이범석 장군 서거
C048 :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수집
- 영상 1 : 독립군 영웅 홍범도는 왜 극장 수위로 생을 마감했나? - 심용환의 근현대사 똑바로 보기
- 이미지 : 2
C049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수집(이4 / 영1)
- 영상 1 :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
- 이미지 4 :
대마도에 위치한 최익현 선생 순국비[107]
C050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수집
- 영상 1 : 관민공동회
C051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수집
- 영상 1 : 도산안창호기념관 - 도산안창호의 생애
- 이미지 4 :
C052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수집(이4 / 영1)
- 영상 1 :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
- 이미지 : 4
C053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수집
- 영상 :
- 이미지 : 4
신규
- 이미지 : 5
건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최대섭-민족대표 독립선언 기록화(1985년 作)[120]
삼일독립선언유적지 기념비[121]
C055 : 윤중식-8.15해방
수집
C057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수집(이1 / 영2)
- 영상 2 : 대한뉴스 제 873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대한뉴스 제 875호-우리 모두 새마을 대열에
- 이미지 1 :
경기도 가평군 개곡리 새마을사업 현장을 돌아보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124]
C058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X
C061 : 이마동-감귤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58호-잘사는 농촌을
- 이미지 : 2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이마동-감귤[125]
C062 : 천칠봉-경지정리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507호-농경지 정리
C063 : 천칠봉-대단위뽕밭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985호-양잠 시범 대회
C064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_KC 제 1025호-조림 사업
C066 : 이인영-삼화목장
수집
- 이미지 3 :
전시된 모습[127]
C066 : 이용환-굴뗏목양식
수집
- 이미지 1 :
1973년 신문에 실린 굴뗏목양식 풍경 [130]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80호-남해안에 큰 굴공장
C066 : 김창락-원양어업
수집
- 이미지 2 :
원양어업 조업 광경[131]
- 영상 3: 분야별기록영상-오대양을 간다,
분야별기록영상-한국의 어업,분야별기록영상-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C069 : 문학진-강원탄광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409호-석탄증산(강원)
- 이미지 1 :
C070 : 최덕휴-장성광업소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1168호-최규하 국무총리 탄광촌 시찰
C071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수집
- 영상 1 : 철강왕 박태준, 대한민국 제철신화를 이루다
C072 : 김원-마산공업단지
수집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마산자유무역지구 제1공구[134]
C073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68호-건설의 메아리, 대한뉴스 제 1181호-울산 석유화학 공장 준공
- 이미지 : 1
1964년 5월, 준공된 울산화학공업단지 전경[135]
C075 : 김태-신진자동차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579호-건설의 메아리
C076 : 양인옥-기아산업
수집
- 영상 1 : 총리 기아산업 시찰-대한뉴스 KC 제 954호
- 이미지 1 :
김종필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회 관람[136]
C077 : 박득순-현대조선소
수집
- 영상 1 : 현대중공업 홍보영화
C078 : 박창돈-금성사
수집
- 영상 : 2
- 이미지 : 7
1975년 준공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137]
1962년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138]
1962년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139]
1971년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140]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레인지[141]
우리나라 최초의 선풍기[142]
C079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수집(이2 / 영1)
- 영상 : 1
- 이미지 : 2
C080 : 김종하-한일합섬
수집(영3)
- 영상 3 : 대한뉴스 제 608호-건설의 새소식, 한일 합섬 섬유 공업 현장(Hanil Synthetic Fiber Co., Ltd.), MBC경남 뉴스특종영상 (2006.4.23 #한일합섬)
C081 : 박창돈-선경직물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121호-나일론도 우리손으로
C082 : 박항섭-한국기계
수집(이2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75호-발전하는 공업 한국
- 이미지 : 2
C083 : 이용환-삼도물산
수집(영1)
- 영상 1 : 1984 삼도물산 써지오바렌테 광고
C084 : 최영림-대동공업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1286호-영농의 기계화
- 이미지 1 :
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 전시장 관람[148]
C086 : 김숙진-한국비료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
C088 : 하인두-동명목재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599호-수출 진흥
C089 : 박광진-소양강댐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954호-소양강댐 준공
C090 : 김숙진-소양강댐
수집
- 이미지 1 :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소양강댐 사진[149]
C091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수집
- 이미지 3 :
C092 : 이의주-호남정유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729호-우리는 건설한다
- 이미지 4 :
C094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784호-경부고속도로 준공
C095 : 손응성-호남고속도로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772호-호남 고속도로 기공, 대한뉴스 제809호-호남고속도로 준공(대전에서 전주간) 79.1Km
- 이미지 1 :
스케치 01[157]
C096 : 박각순-남해대교
수집
- 이미지 2:
- 영상 1 : 대한뉴스 제 938호-남해대교
C097 : 박각순-산업선전철
수집(이1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060호-산업선 전철 영동선 개통
- 이미지 1 :
영동선, 태백선 개통[160]
C098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수집(이3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998호-수도권 전기철도
- 이미지 : 3
C098 : 박득순-지하철
수집(이2)
- 이미지 : 2
C100 : 박광진-아산방조제
수집
- 이미지 1 :
전시회 관람중인 국무총리 김종필[165]
신규
- 이미지 1 :
아산방조제 전경[166]
C101 : 박서보-수출선박
수집
C102 : 정창섭-인천항도크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983호-인천항 도크 준공, 대한뉴스 제 722호-우리는 건설한다
- 이미지 1 :
C103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수집
- 이미지 1 :
박정희 대통령 뒤에 걸린 정창섭-인천항제2도크[168]
C104 : 김원-해안사방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242호-사방사업 촉진, 대한뉴스 제 1074호-사방사업
C105 : 박영선-현충사
수집
- 영상 2 : 대한뉴스 제 690호-충무공의 얼, 대한뉴스 제 724호-현충사
C106 : 손응성-불국사
수집
- 영상 1 : 대한뉴스 제 753호-불국사 복원
작가
C107 : 강대운
수집(이4)
- 이미지 4
계절, 캔버스에 유채, 450×200cm, 대검찰청소장[170]
추양, 1966, 캔버스에 유채, 174x10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1]
공작, 1984, 캔버스에 유채, 145x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2]
C108 : 김기창
수집(이6 / 영3)
태양을 머금은 새, 1968, 두방에 수묵채색, 31.5×39㎝[174]
군마도, 1964, 비단에 수묵담채, 175.5x34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5]
청산청경, 1980, 수묵담채, 88x145.5cm[176]
가을, 1934, 비단에 수묵채색, 170.5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7]
복덕방, 1953, 종이에 수묵담채, 77.5x100cm[178]
C112 : 김종하
수집(이3 / 영1)
- 영상 1 : '여인의 뒷모습' 인터넷 최고 경매가
- 이미지 3 :
자연의 의미, 1971, 캔버스에 유채, 162x11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79]
여인의 뒷모습, 1980, 캔버스에 유채, 92x73cm[180]
자연의 표상, 1974, 캔버스에 유채, 72.7x60.6cm[181]
C115 : 김태
수집(이3)
- 이미지 3
태종대, 1975, 캔버스에 유채, 45.5x52.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2]
卓上靜物(탁상정물)D, 1982,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183]
삼월의 한계령, 1984, 캔버스에 유채, 9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4]
C119 : 박광진
수집(이4)
- 이미지 4 :
국보, 1957, 캔버스에 유채, 130.3x162.2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185]
닭장, 1960, 캔버스에 유채, 112.9x145.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6]
월출산, 1978, 캔버스에 유채, 50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87]
공작, 1992, 캔버스에 유채, 50x150cm, 제주현대미술관 소장[188]
C120 : 박기태
수집(이3)
C121 : 박득순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89호-이런일 저런일
- 이미지 4
자화상, 1964, 캔버스에 유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2]
서울 풍경(風景), 1949, 캔버스에 유채, 162x98cm[193]
나부좌상, 1964, 캔버스에 유채, 127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4]
부인상, 1953, 캔버스에 유채, 117x9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5]
C122 : 박서보
수집(이4 / 영3)
- 영상 3 :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1, PARK SEO-BO. Inside Culture_EBS_Part 2, 작업실(Artist & Space) - ③박서보 화백
- 이미지 4 :
묘법 No.43-78-79-81, 1981, 면천에 유채‧흑연, 193.5x259.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6]
묘법 No.355-86, 1986, 종이에 먹, 194×3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7]
묘법시리즈 4, 1994, 종이에 한지,안료, 103.8×78.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8]
원형질 1-62, 1962, 캔버스에 유채, 162x13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199]
C123 : 박석호
수집(이3)
입항, 1977, 캔버스에 유채, 100x73cm[200]
수난(受難), 1987, 캔버스에 유채, 80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1]
희망, 1987, 캔버스에 유채, 146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2]
C125 : 박영선
수집(이4)
- 이미지 4
농부의 가족, 1970, 캔버스에 유채, 96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4]
모녀, 1989, 캔버스에 유채, 91×117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205]
판타지, 1957, 캔버스에 유채, 53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6]
C127 : 박항섭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849호-제 20회 국전
- 이미지 3 :
가을, 1956, 162x130cm, 캔버스에 유채, 개인소장[208]
수중지대, 1971, 캔버스에 유채, 144x11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09]
마술사의 여행, 1977, 캔버스에 유채, 63x7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0]
C129 : 손응성
수집(이4)
- 이미지 4
비원, 1963, 캔버스에 유채, 90x73cm[212]
스키복 입은 여인, 1940, 캔버스에 유채, 129x9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3]
여래상, 1954, 캔버스에 유채, 128x9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4]
C130 : 신영상
수집(이4)
- 이미지 4 :
오(午), 1980, 종이에 수묵[215]
殘懷(잔회), 1970, 종이에 수묵[216]
조Ⅱ, 1982, 화선지에 수묵, 181x12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7]
율 9925, 2000, 옥양목에 수묵, 245.5x22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18]
C131 : 안재후
수집(이2)
- 이미지 2 :
- 민족기록화 작가 안재후 송도의 소녀.jpg
송도의 소녀, 1952, 종이에 연필, 22.5x18.5cm, 소마미술관 소장
여성동아 1980년 8월호 표지에 안재후가 그린 부인 손재경[219]
C132 : 양인옥
수집(이4)
- 이미지 4
소녀상, 1992, 캔버스에 유채, 117x91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220]
성산 일출, 1995, 캔버스에 유채, 61x7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221]
소망, 1983, 캔버스에 유채, 131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2]
- 민족기록화 작가 양인옥 상.jpg
상, 1989, 캔버스에 유채, 광주광역시 소장
C133 : 오승우
수집(이4)
- 영상 1 : 오승우화백_#빛날_#광주MBC
- 이미지 4 :
법당내부, 1957, 캔버스에 유채, 191x12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4]
팔상전(법주사) 보은 한국, 1959, 캔버스에 유채, 161x112.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5]
설악추경(1078m 강원 인제 속초 고성 양양), 1991, 캔버스에 유채, 259x194.4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6]
C134 : 오승윤
수집(이4)
- 이미지 4 :
대한, 1973, 캔버스에 유채, 19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7]
해녀도, 1985, 캔버스에 유채, 192.5x333cm, 광주시립미술관 소장[228]
회상, 1995,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29]
C137 : 이마동
수집(이4)
- 이미지 4 :
꽃다발이 있는 정물, 1933, 캔버스에 유채, 116.8x9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31]
남자, 1931, 캔버스에 유채, 115x8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32]
자화상, 1932, 캔버스에 유채.[233]
C139 : 이의주
수집(이3)
- 이미지 3 :
C142 : 임직순
수집(이4 / 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36호-제 6회 국전
- 이미지 3
모자를 쓴 소녀, 1970, 캔버스에 유채, 145.5x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38]
화실, 1984, 캔버스에 유채, 72.7x90.8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39]
- 민족기록화 작가 임직순 좌상.jpg
임직순, 좌상, 1957, 캔버스에 유채, 148x95cm
C143 : 장두건
수집(이3)
- 이미지 3 :
한강변 풍경, 1964, 캔버스에 유채, 188x169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40]
투계, 1970, 캔버스에 유채, 100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41]
- 민족기록화 작가 장두건 장미.jpg
장미, 캔버스에 유채, 162.2x130.0, 포항시립미술관 소장
C146 : 정창섭
수집(이3 / 영1)
- 영상 1 : 정창섭 "묵고"전(2015), 조현화랑 페로탱갤러리, Chung Chang-Sup "meditation", Johyun Gallery & Galerie Perrotin
- 이미지 3 :
묵고(默考) 9606, 1996, 캔버스에 닥지, 260x160cm, 개인소장[242]
닥 85099, 1985, 면천에 닥지, 140x24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43]
묵고(默考) 9608, 1996, 캔버스에 닥지․염료, 260x160x5.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44]
C147 : 천칠봉
수집(이3)
- 이미지 3 :
10월, 1980, 캔버스에 유채, 100x80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45]
설경, 1981, 캔버스에 유채, 65x91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46]
토기, 1978, 캔버스에 유채, 112x14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47]
C148 : 최덕휴
수집
- 영상 2 : 네 벌의 군복, 어느 예술가의 초상, 최덕휴 교수 특별전 : 소요유
- 이미지 6
돌산, 1958, 캔버스에 유채, 97x14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49]
원지동의 가을, 1981, 캔버스에 유채, 84.4x180.5cm, 서울시립미술관 소장[250]
불암산의 만추, 1972, 캔버스에 유채, 80.3×100cm[251]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1988, 캔버스에 유채, 109x333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52]
용화산경, 1982, 캔버스에 유채, 76.3x195cm, Oil on Canvas[253]
C149 : 최대섭
수집(이1)
- 이미지 1 :
흔적, 1980, 종이에 먹, 채색, 98x68.5cm, 전북도립미술관 소장[254]
C150 : 최영림
수집
- 이미지 5
무제(남과 여), 연도미상, 종이에 판화, 59x6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55]
원태, 1969, 캔버스에 유채․토분, 116x116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56]
심청전에서, 1967, 캔버스에 유채․토분, 85x8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57]
경사날, 1975, 캔버스에 유채, 75x170cm, 개인소장[258]
모자, 1976, 캔버스에 유채․토분, 91x6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259]
C151 : 하인두
수집(이5)
- 이미지 5
소장처
C151 : 독립기념관
신규
- 이미지 14 :
C152 : 전쟁기념관
신규
- 이미지 1 :
전쟁기념관[265]
C153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집(이1 / 영2)
- 영상 1 :한국학중앙연구원 홍보동영상, 대한뉴스 제 1191호-한국 정신 문화연구원 개원식
- 이미지 1 :
C156 : 인천문화예술회관
수집
- 영상 1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20주년 시립예술단 합동공연
- 이미지 1 :
- 민족기록화 소장처 인천문화예술회관 01.jpg
C157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
신규
- 이미지 1 :
포항철강산업단지관리공단[268]
문맥기사
인물
이괄
수집(이1)
- 이미지 1 :
이괄의 필적[269]
의순
수집(이1 / 영1)
- 영상 1 : 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
- 이미지 1 :
의순의 영정[270]
이시헌
수집(이1)
- 이미지 1 :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271]
백제 의자왕
신규
- 영상 1 : 의자왕 항복의 충격보고서 예식진 묘지명
- 이미지 1 :
곽재우
수집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 한국의 정신, 곽재우
- 이미지 1 :
곽재우 동상[272]
영규
수집(이1)
- 이미지 1 :
영규대사 영정[273]
심덕부
수집(영1)
혜장
수집(영1)
- 영상 1 : U-남도여행길잡이 강진군-백련사
이병철
수집(이1)
이병철 대표사진[274]
김종필
수집(이1)
김종필 국무총리.[275]
권율
수집(이5)
- 이미지 5 :
김개남
수집(이1,영1)
- 영상 1 : 동학농민군의 마지막 격전지, 우금치
- 이미지 1 :
김개남[281]
손화중
수집(영1)
- 영상 1 : 동학농민혁명
원균
수집(이4)
이억기
수집(이 3)
전봉준
수집(이 1)
전봉준[289]
안중근
수집(이 1)
안중근 [290]
홍범도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카자흐스탄 홍범도 장군묘역
- 이미지 1 :
홍범도 [291]
김시민
수집(영상2)
안창호
수집(이미지 1)
- 이미지 1 :
안창호 [292]
정기룡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정신문화기획시리즈 오래된 약속 16편 60전 무패신화 정기룡 장군
- 이미지 1 :
정기룡 [293]
김좌진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청산리 대첩을 승리로 이끈 항일운동의 영웅 백야 김좌진
- 이미지 1 :
김좌진 [294]
임경업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 67회 임경업 난세에 못다핀 애국 충정
- 이미지 1 :
임경업 [295]
이토 히로부미
수집(이 1)
이토 히로부미 [296]
신돌석
수집(영1, 이 1)
- 영상 1 : NATV 국회방송 그날을말하다 10회 신돌석
- 이미지 1 :
신돌석 생가[297]
이승훈
수집(이 1)
이승훈 [298]
배중손
수집(이 1)
- 영상 1 : 배중손 사당
신규(이 6)
- 이미지 6 :
배중손
수집(영상 1, 이미지 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지혜와 용맹으로 북방을 개척한 큰호랑이 절재 김종서
- 이미지 1 :
김종서 유허지 [305]
박승환
수집(이미지 1)
- 이미지 1 :
박승환 [306]
민영환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한국의 정신 사이불사, 2천만 동포에게 죽음으로 남긴 애국정신 계정 민영환
- 이미지 1 :
민영환 [307]
이완용
수집(영상1, 이미지 1)
- 영상 1 : 친일파 이완용 재산, '여의도 7.7배 규모'…후손 대물림 여전
- 이미지 1 :
이완용 [308]
손병희
수집(영상1)
- 영상 1 : '손병희 선생의 애국정신 다시 새기자' 탄신제 열려
변이중
수집(영상1)
단체
금성사
수집 (이미지 6)
금성사 로고[309]
금성라디오 A-501(1959년)[310]
금성사 상품전시장(1965년)[311]
금성사 근로자 작업광경(1970년)[312]
금성사 금오기술학교(1976년)[313]
김영삼대통령 금성사방문 근로자격려(1994년)[314]
선경직물
수집 (이미지 4)
단광회
수집(이미지 2)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수집(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162호-역대 국전 수상작품전
르 살롱
수집(영1)
목우회
수집(이미지 1)
오승우, 십장생도, 목우회 회원전 출품[322]
종군화가단
수집(이미지 4)
김환기, 피난열차, 1951, 캔버스에 유채, 37x52, 개인소장[323]
이수억, 전선야곡, 1952, 캔버스에 유채, 72.7x60, 개인 소장[324]
이중섭, MP, 1952, 종이에 먹과 색연필, 19x11, 개인소장[325]
1952년 군복 차림의 화가들이 문교부·보건부가 청사로 쓰던 옛 부산시청에 걸릴 '자유의여신'을 그리고 있다.[326]
후소회
수집(이1)
후소회 창립전, 12×16, 1936.11.3
[327]
태화복지재단
수집(이 1/영 1)
태화복지재단 로고[328]
- 영상 1 : 태화복지재단 홍보영상
한국수력원자력
수집(이 1)
한국수력원자력 로고[329]
고리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영 1)
한울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
월성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
한빛원자력발전소
수집(이 3)
한국비료공업
수집(영 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605호-전진의 맥박
충주비료공장
수집(이 3/영 4)
국제연합한국재건단
수집(이 3/영 1)
인천판유리
수집(이 3/영 1)
- 영상 1: 대한뉴스 제 146호-인천 판유리 공장
쌍용양회 문경공장
수집(이 3/영 1)
- 영상 1: 대한뉴스 제 133호-문경시멘트 공장 준공
쌍용양회 동해공장
수집(이 3)
쌍용양회공업
수집(이 4/영 2)
롯데정밀화학
수집(이 1)
롯데정밀화학 로고[361]
산림청
수집(이 1/영 1)
산림청 로고[362]
- 영상 1: 대한뉴스 제 605호-산림청 발족
국립종축원
수집(이 4)
국립축산과학원
수집(이 1)
국립축산과학원 로고[367]
팔당수력발전소
수집(이 1/영 3)
팔당수력발전소 전경[368]
극동건설
수집(이 1/영 1)
극동건설 로고[369]
- 영상 1: 대한뉴스 제 394호-건설의 새소식
구상전
수집(이 1)
2015년 제 44회 구상전 공모대전 대상 수상작품, 김은영 <작은소망>[370]
흥사단
수집(이 1/영 1)
흥사단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371]
- 영상 1 : pcs4134 - 흥사단홍보영상
대성학교
수집(이 1)
대성학교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372]
북로군정서
수집(이 1)
김좌진과 북로군정서의 모습을 담은 옛 사진. [373]
화순광업소
수집(이 2/영 1)
- 영상 1 : 여수MBC - 화순탄광 폐쇄 위기 넘겨
장성광업소
수집(이 4/영 1)
</gallery>
- 영상 1 : 대한석탄공사 - 석탄의 생산에서 출하까지
도계광업소
수집(이 4/영 1)
갱내(坑內)로 들어가는 광부들 모습 [380]
갱내(坑內)에서 캔 석탄을 밖으로 운반하는 광부 모습 [381]
갱내(坑內)에서 채탄(採炭)작업하는 광부들 모습 [382]
광업소 소속 광부의 모습 [383]
- 영상 1 : YTN 실시간뉴스 - 석탄공사 폐지 수순
대한석탄공사
수집(이 1/영 1)
대한석탄공사 로고.[384]
한국광해관리공단
수집(이 1/영 1)
한국광해관리공단 로고.[385]
- 영상 1 : 한국광해관리공단 홍보영상
보성사
수집(이 1)
독립기념관 소장 독립선언서.[386]
포항종합제철
수집(이 1/영 2)
포스코 로고.[387]
기아자동차
수집(이 6/영 1)
기아자동차 로고.[388]
1956년 기아산업 자전거 생산 광경[389]
1972년 기아산업 오토바이 생산 광경[390]
1972년 기아산업 공장내부[391]
1976년도 기아산업 공장전경 항공촬영[392]
1977년 기아산업 포.장갑차 조립장면[393]
현대중공업
수집(이 6/영 1)
현대중공업 로고.[394]
울산 미포항 현대조선소 공사 현장 시찰[395]
울산 현대조선소 전경[396]
울산 현대조선소 선박 제작 현장[397]
울산 현대조선소 내부 전경[398]
현대조선소 유조선 전경(1976년)[399]
삼도물산
수집(이 3)
대동공업
수집(이 6/영 1)
대동공업 로고.[403]
진주 대동공업 내부 모습[404]
박정희의장 대동공업사 시찰[405]
대동공업 농기구 작업 과정[406]
공장 내부의 경운기[407]
공장내에서 제작중인 경운기[408]
- 영상 1 : 대동공업, 70주년 기업 홍보 영상
한국도로공사
수집(이 6/영 1)
한국도로공사 로고.[409]
한국도로공사 창립 현판식 모습[410]
한국도로공사 서울영업소 전경[411]
김재규 건설부장관, 영동·동해고속도로 공사장 시찰[412]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교통정보센터 전경[413]
한국도로공사본사전경[414]
호남정유
수집(이 3)
한일합섬
수집(이 7)
한일합섬공업주식회사 준공식(1967년)[418]
한일합섬 공장 내부 작업자 기계 관리 모습(1970년)[419]
한일합섬 방직공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1972년)[420]
마산 한일합섬 공장 전경(1973년)[421]
한일합섬 수원공장 시찰(1976년)[422]
마산 한일합섬 편직쉐타 작업 광경(1976년)[423]
노태우대통령), 한일합섬 내 한일여고학생 방문 격려(1992년)[424]
신진자동차공업
수집(이 5)
신진자동차의 조업 광경(1966년)[425]
신진자동차 공장 작업 모습(1970년)[426]
수밀시험장(Water test)에서 생산된 자동차를 시험하는 광경(1970년)[427]
신진자동차 공장 전경(1976년)[428]
신진자동차 공장 작업 모습(1976년)[429]
한국기계공업
수집(이 5/영 1)
한국기계공장 작업광경(1965년)[430]
한국기계공장 작업광경(1965년)[431]
박정희대통령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 시찰(1968년)[432]
김종필국무총리 인천 한국기계 디젤엔진공장 준공식 참석(1975년)[433]
한국기계 공장내부(1976년)[434]
- 영상 1 :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장소
백운동 별서정원
신규(이26)
수집(영1)
- 영상 1 : 월출산 백운동의 재발견
설록다원강진
신규(이2)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신규(이16)
수집(영1)
진도 정충사
수집(영2)
신규(이4)
마산자유무역지역
수집(이2)
진주성
신규(이미지 20)
진주성 촉석루 전경[463]
김시민장군 전공비[464]
김시민장군상[465]
북장대[466]
비석군[467]
쌍충사적비[468]
암문[469]
영남포정사[470]
임진대첩 계사순의 단[471]
의기사[472]
의암[473]
의암사적비 [474]
촉석루 현판 - 영남제일형승 [475]
청계서원[476]
촉석루중삼장사기실비[477]
촉석루중수기 - 하수일[478]
포루[479]
촉석문[480]
우물[481]
하공진사적비[482]
소양강댐
수집 (이미지 3)
청천강
수집 (이미지 1)
청천강 전경[486]
구월산
수집 (이미지 1)
청천강 전경[487]
태화관
수집 (이미지 1)
옛 태화관 모습.[488]
호남고속도로
수집 (이미지 1)
호남고속도로 전경.[489]
경부고속도로
수집 (이미지 1)
경부고속도로 전경.[490]
추풍령휴게소
신규 (이미지 2)
백산성
신규 (이미지 15)
경주 통일전
신규 (이미지 15)
명량
수집 (영상 1)
신규 (이 3)
- 이미지 3 :
서울 탑골공원
수집 (영상 1)
신규 (이 25)
- 이미지 25 :
서울부산간고속도로준공기념탑
신규 (이미지 9)
소양강댐
수집 (이미지 3)
- 이미지 3 :
영월 탄광문화촌
수집 (영상1)
- 영상 1 : 강원탄광문화촌
신규 (이미지 64)
- 이미지 64 :
정미의병 발원 터
수집 (영상1, 이미지1)
- 영상 1 :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 이미지 1 :
표지석[496]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수집 (영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107호-울산 공업단지 동정
문화유산
금산 종용사
수집(영2)
민영환 유서
수집(이2)
- 이미지 2 :
금성 라디오 A-501
수집(이3)
경기도 이천시 지산로 167-72 (주)LG에 소장된 금성 라디오 A-501[499]
1960년 2월 23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금성 라디오 A-501 광고[500]
1959년 금성 라디오 A-501을 조립하는 장면[501]
금산 칠백의총
수집(영1)
고성 유점사
수집(이8)
능인보전과 구층석탑[502]
1912년 무렵 유점사 승탑들[503]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고성 유점사(오른쪽 상단부에 빨강색 네모)[504]
유점사 전경[505]
유점사 구층석탑[506]
능인보전 전경[507]
능인보전 천장[508]
고성 유점사 종[509]
진도 굴포당
수집(이1)
굴포당 정면 사진[510]
강진고려청자요지
수집(영2)
안시성
수집(이1)
안시성 모습.[511]
이천 설봉산성
수집(이1)
이천 설봉산성 모습.[512]
홍성 홍주성
신규(이4)
거북선
신규(이1)
거북선 모습.[517]
청구도
신규(이1)
청구도 모습.[518]
문헌
백운첩
수집(이5)
백운첩[519]
대동여지도
수집(이2 / 영1)
- 영상 1 : 역사를 새로 쓰게 한 발견 -대동여지도 목판
- 이미지 2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수집(이3)
- 이미지 2 :
오승우-황산싸움 관련 기사
수집(이1)
- 이미지 1 :
김기창-명량대첩 관련 기사
수집(이1)
- 이미지 1 :
독립신문
수집(이3 / 영1)
- 영 1 SBS 뉴스 - 역사적 가치' 한성순보·독립신문 문화재 된다
- 이미지 3 :
광개토대왕릉비
수집(이1 / 영1)
- 영상 1 : (고대사 숨은 이야기) 광개토대왕비의 비밀①
- 이미지 1 :
광개토대왕비 [533]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수집(이3 / 영1)
- 영상 1 : 역사&추적 광개토대왕 호우 왜경주에 묻혔나
- 이미지 3 :
매소성
신규(이 5)
- 이미지 5 :
청해진
신규(이 5)
- 이미지 5 :
적산 법화원
수집(이 1)
- 이미지 1 :
적산 법화원[547]
일본 동대사
신규(이 12)
- 이미지 12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도다이지[548]
도다이지 사슴[549]
도다이지 남문[550]
도다이지 인왕[551]
도다이지 청동등롱[552]
대불전 01[553]
대불전 02[554]
대불전 03[555]
대불전 비로자나불[556]
국보 범종[557]
대불전 허공장보살[558]
대불전 빈두로존자상[559]
행주산성
수집(이 8)
- 이미지 8 :
정읍 전봉준 유적
신규(이 11)
- 이미지 11 :
해남명량대첩비
신규(이 5)
- 이미지 5 :
경주 석굴암
수집(이 9)
- 이미지 9 :
석굴암 내부 전경[573]
석굴암 본존불 정면[574]
석굴암 천정[575]
석굴암 사천왕상[576]
석굴암 금강역사상(향좌)[577]
석굴암 십일면관음상[578]
석굴암 십대제자상[579]
석굴암 감실보살상[580]
석굴암 인왕상[581]
경주 석굴암 본존불
수집(이 5)
- 이미지 5 :
경주 불국사
수집(영상1, 이 4)
- 영상 1 :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 이미지 4 :
아산 현충사
신규(이 34)
- 이미지 34 :
충무문[591]
타루비[592]
타루비 안내판[593]
성역화사업 기념석[594]
성역화 사적기[595]
현충사 안내판[596]
현충사 안내도[597]
홍살문[598]
충의문[599]
현충사 현판[600]
현충사[601]
현충사 전경[602]
이순신 영정[603]
십경도[604]
십경도[605]
구현충사 안내판[606]
구현충사[607]
구현충사 주련 설명판[608]
구현충사 중수비[609]
정려 안내판[610]
정려 전경[611]
정려 전경[612]
이순신 정려[613]
이완 정려[614]
이홍무 정려[615]
이봉상 정려[616]
이제빈 정려[617]
옛집 안내판[618]
옛집 전경[619]
옛집 내부[620]
후손묘 안내판[621]
후손묘[622]
이면 묘소[623]
이면 묘소 안내판[624]
계백장군 유적 전승지
신규(이 7)
- 이미지 7 :
삼도수군통제영
신규(이 30)
- 이미지 30 :
통제영 안내도[632]
통제영 관람안내도[633]
통제영 안내판[634]
통제영 복원전[635]
발굴 전경[636]
통제영 디오라마[637]
수항루[638]
산성청[639]
망일루[640]
세병관 지과문[641]
세병관 안내판[642]
세병관[643]
세병관 현판[644]
세병관 천장[645]
세병관 괘궁정기[646]
세병관 석수조[647]
동개방 안내판[648]
동개방[649]
화원방 안내판[650]
화원방[651]
패부방[652]
입자방[653]
상자방[654]
삼도통제사 비석24기[655]
비석군[656]
두룡포기사비 안내판[657]
두룡포기사비[658]
두룡포기사비 이수[659]
문화동 벅수 안내판[660]
문화동 벅수[661]
비격진천뢰
수집(영상1, 이 4)
- 영상 1 : 조선의 비밀병기, 비격진천뢰
- 이미지 1 :
비격진천뢰[662]
사건
사카린 밀수사건
수집(이1)
- 이미지 1 :
전주화약
수집(영1)
- 영상 1 : 동학농민혁명 제122주년, 전주화약기념제
황산벌싸움
수집(영1)
- 영상 1 : 황산벌전투와 5천결사대
진주전투
수집(이1)
- 이미지 1 :
진주대첩 기록화[664]
1차 진주전투
수집(영1)
- 영상 1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
거란침입
수집(이1)
- 이미지 1 :
거란침입[665]
홍산전투
수집(이1, 영1)
- 영상 1 : 최영장군의홍산대첩
- 이미지 1 :
홍산대첩비[666]
고려말 왜구의 침입
수집(이1, 영1)
- 영상 1 : 제29회 황산대첩 재현
- 이미지 1 :
고려말 왜구 침입[667]
연안성싸움
수집(이2)
- 이미지 2 :
한산대첩
신규(이8)
- 이미지 8 :
만민공동회
수집(영1)
- 영상 1 : 5분사탐 한국근현대사, 독립협회
정미의병
수집(영1)
- 영상 1 : EBS 경술국치 100년 기억, 그리고 미래 1부 의병
- 이미지 1 :
정미의병[670]
새마을운동
수집(이1, 영2)
- 영상 2 : 대한뉴스 제 870호-거국적인 새마을 운동을, 세계가 인정한 빈곤퇴치 롤모델,'지구촌 새마을운동'이란?
- 이미지 1 :
새마을운동 로고[671]
진포대첩
수집(이1, 영1)
- 영상 1 : 진포대첩
- 이미지 1 :
진포대첩 기념탑[672]
개념
서울 지하철 1호선
수집(이2)
- 이미지 2 :
영동선 전철 X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수집(이1 / 영1)
- 영상 1 : 그때그시절 - 번영하는 우리조합 5 -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이미지 1 :
제1회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경진대회장 광경[675]
지부복궐상소
수집(영1)
구상미술X
추상미술
수집(영1)
근대미술
수집(영1)
- 영상 1 : 대한뉴스 제 1518호-문화계 소식
다다이즘
수집(영1)
- 영상 1 : 마르셀 뒤샹의 작품 샘_A&C아트스쿨 11회
한국화
수집(영1)
서양화
수집(이2)
- 이미지 2 :
비엔날레
수집(영1)
- 영상 1 : 현대 한국화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화차
수집(영상 1, 이미지 1)
- 영상 1 :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
- 이미지 1 :
화차[678]
대일청구권자금
수집(영상 1)
일관제철소
수집(영상 1, 이미지 1)
- 영상 1 : 포스코 제철 공정, 포항제철소
- 이미지 1 :
일관제철소 [679]
물품
변이중화차
수집(이3 / 영1)
- 영상 1 : 남도의보물100선 77회 - 호국의 비밀병기 '변이중의 화차'의 사본(게시일: 2016년 07월 26일)
- 이미지 3 :
기획기사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수집(이10)
- 이미지 10 :
주석
-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살수대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0",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13(황산벌전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3월 31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기웅, "쌍영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한국학대학원 2015년 춘계 답사 (2015년 04월 15일 촬영)
- ↑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콘텐츠산업정보포털』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세계 여행 문화원형의 효시, 혜초의 대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콘텐츠산업정보포털』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민족기록화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영혼샘, "강감찬의 귀주대첩",
『네이버 블로그 - 영혼샘의 작은 사랑방』online , 작성일: 2008년 09월 06일. - ↑ "민족기록화1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청자",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청자상감운학문매병(고려)",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3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6 ",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31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서산대사휴정)",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관련사진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 ↑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민족기록화1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민족기록화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 ↑ 국가보훈처, "이승훈", 네이버 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2011년 2월 22일. - ↑ 김호일,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3·1독립선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29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3월 1일)
- ↑ 고병우, "새마을과 박정희 대통령 : 가난추방 눈물의 결정", 『이코노미톡!뉴스』, 작성일: 2015년 10월 29일.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아이엠피터, "제주도민이 추앙하던 박정희, 제주를 ‘미군기지’로",
『The 아이엠피터』online , 작성일: 2013년 3월 19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 국무총리 충남 서산 삼화목장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김종필 국무총리 충남 서산 삼화목장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잡는 漁業에서 기르는 漁場으로", 『경향신문』, 1973년 1월 19일.
- ↑ 김삼곤, "원양어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종필 국무총리 부산 감천항 원양어업 전용부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김종필국무총리 민족기록화관람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강인범, "창원시 '마산자유무역지역' 재도약", 『조선일보』, 작성일: 2011년 03월 02일.
- ↑ 김종경, "울산공단 50년 ⑧ 석유화학단지·현대자동차·중공업", 『울산신문』, 작성일: 2011년 06월 29일.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1975 준공 직후 금성사 창원공장 전경",
『산업단지 출범 50주년 역사관』online , 산업단지 50주년 기념행사. - ↑ "금성사 전화기 제작 광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금성사 라디오 제작 현장",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부산 금성사 TV조립 광경",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광복 70년, 국민과 함께 역사를 만들다 – 광복 70년 특별기획전을 빛낸 LG 제품들",
『LG 공식 블로그』online , LG. - ↑ 추연화, "1960년 수출 선풍기", 『news1』, 작성일: 2016년 8월 30일.
- ↑ "금성 흑백TV VD-191, 1966", 한국의 생활 디자인,
『네이버캐스트』online , 네이버. - ↑ "구미전자공업단지(항공촬영)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구미전자공단근로자작업광경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2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6월 30일. - ↑ "'특등급' 소양강댐 내진설계기준 청평댐보다 낮아", 『연합뉴스』, 작성일: 2011년 03월 15일.
- ↑ "팔당수력발전소", 관광지정보,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 "팔당댐 방류",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팔당댐 방류",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참관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4",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야경", 정부기록사진첩,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여수국가산업단지",
『나무위키』online .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전경",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남해대교' 가설 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지하철 1호선 시청역 부근 공사현장",『연합뉴스』, 작성일: 2015년 2월 10일.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2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9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37쪽.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2월 17일)
- ↑ "인천항 갑문에 대해 알아보자!", useful/특파룡의 현장취재,
『인천항만공사 공식 블로그』online , 인천항만공사. - ↑ "박정희대통령민족기록화전시회개관식참석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강대운", 미술세계명감,
『미술세계』online . - ↑ 좌영길, "예술작품산책 : 대검 청사 '계절'", 『법률신문』, 2012년 3월 5일.
- ↑ "추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공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김희만, "김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은주,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중부일보』, 2016년 6월 3일.
- ↑ "군마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한국화 판타지-한국화의 감각적 재해석",
『네오룩』online . - ↑ "가을",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거부기, "마지막 회 - 근대에서 현대로" , 그림으로 보는 우리의 근대,
『김선주학교』online , 작성일: 2011년 01월 31일. - ↑ "자연의 의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데일리안, "김종하 화백 ´여인의 뒷모습´ 경매 기록 깰까?", 『데일리안』, 작성일: 2008년 01월 16일.
- ↑ "자연의 표상", 미술품 경매,
『포털아트』online , (주)포털아트. - ↑ "태종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탁상정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삼월의 한계령",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국보", 소장품검색,
『제주현대미술관』online . - ↑ "닭장",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월출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공작", 소장품검색,
『제주현대미술관』online . - ↑ 자유로, "2010 이철명 수채화전 주요작 & 초대 출품직",
『다음 블로그 - 자유로의 작은여유』online , 작성일: 2010년 10월 25일. - ↑ "2004 울산광역시 수채화 협회전,
『울산아트닷컴』online , 울산갤러리." - ↑ "박기태, 출향작가 갤러리,
『한국미술협회경상북도지회』online .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재봉틀, "서양화가 박득순(朴得錞)", 『네이버 블로그 - 재봉틀의 국어방』,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 ↑ "부인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43-78-79-81",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 No.355-86",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묘법시리즈 4",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형질 1-62",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후아, "박석호",
『네이버 블로그 - 후아 전중관의 그림과 글 세상』online , 작성일: 2015년 10월 13일. - ↑ "수난(受難)",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희망",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심재욱, "박영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농부의 가족",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모녀",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판타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박항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미정, "깊어가는 겨울, 좋은 것을 보는 안복(眼福)",
『SMARTK』online , 한국미술정보개발원. - ↑ "수중지대",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마술사의 여행",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조성운, "손응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2014년 6월 24일. - ↑ 참나무, "3.무무 원피스의 추억",
『조선닷컴 블로그』online , 작성일: 2012년 10월 08일. - ↑ "스키복 입은 여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여래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신영상", 예술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 예술자료원. - ↑ "조Ⅱ",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율 9925",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소와달, "화가들의 여인극장",
『다음 블로그 - 소와 달』online , 작성일: 2011년 02월 19일. - ↑ "소녀상",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성산일출",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소망",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오승우", 회원소개,
『대한민국예술원』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법당내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대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해녀도", 소장품 검색,
『광주시립미술관』online . - ↑ "회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이마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 2016년 4월 8일. - ↑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 ↑ 미사, "한국근대미술걸작전2(작품감상)",
『네이버 블로그 - AIC 아트인시티(ART IN CITY)』online , 작성일: 2009년 01월 25일. - ↑ 회남자, "412. 이마동 <자화상(1932)>",
『네이버 블로그 - 회허백 겸선재』online , 작성일: 2008년 02월 06일. - ↑ "부산항",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종근당, "이의주",
『다음 블로그 -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online , 작성일: 2015년 06월 21일. - ↑ 종근당, "이의주",
『다음 블로그 -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online , 작성일: 2015년 06월 21일. - ↑ 이구열, "임직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모자를 쓴 소녀",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화실",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한강변 풍경,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투계,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묵고 No.9606",
『미술작품』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닥 No. 85099",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묵고 No.9608", 소장품,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10월",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설경",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토기", 상세검색,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서유리, "최덕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돌산",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지동의 가을", 소장품,
『서울시립미술관』online . - ↑ "불암산의 만추",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 최덕휴 기념관. - ↑ "도큐호텔을 중심으로 본 서울",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용화산경", 작품보기,
『CHOIDUKHYU MUSEUM』online , 최덕휴 기념관. - ↑ "흔적", 소장품소개,
『전북도립미술관』online . - ↑ "무제(남과 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원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심청전에서",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경사날", 소장품 검색,
『감성DB』online , 호남학연구원. - ↑ "모자",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환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만다라", 소장품보기,
『부산시립미술관』online . - ↑ "혼불-빛의 회오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04일 촬영)
-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online . - ↑ 김정희, "인천문화회관" ,
『디지털인천남구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 (2017년 05월 12일 촬영)
- ↑ 하현강, "이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태식, "다산이 차를 요청한 편지", 『연합뉴스』, 작성일: 2007년 3월 4일.
- ↑ 좋은 습관 블로그,"대구 망우공원 홍의장군 곽재우 동상",
『티스토리』online - ↑ 김영길, "영규",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희종, 조은효, "이병철 탄생 100년.. 삼성의 ‘일류 DNA’ 원천을 찾는다", 『파이낸셜뉴스』, 2010년 1월 13일
- ↑ 위키백과 기여자, "김종필",
『위키백과』online , 작성일: 2017년 10월 21일.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권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용덕, "김개남",
『디지털남원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원균 선무공신교서",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원균장군묘",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이억기", 우리지역문화재,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창수, "전봉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세창, "안중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홍범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안창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장희, "정기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강훈, "김좌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차문섭, "임경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Ito Hirobumi",
『위키미디어』online . - ↑ "신돌석",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호일,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6일)
- ↑ "김종서유허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박승환",
『이달의 독립운동가』online , 국가보훈처. - ↑ 김성균, "민영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차문섭, "이완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창훈, "금성사 전자레인지 '34년 만의 귀향'",
『한국일보』online , 2017년 8월 24일. - ↑ "금성라디오 A-501", 문화재검색,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금성사상품전시장광경",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금성사작업광경9",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금성사금오기술학교2",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영삼대통령금성사방문근로자격려",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1950년대 선경직물",
『수원시 권선구 디지털갤러리』online , 수원시 권선구청. - ↑ ""선경직물공장내부2",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선경직물공장항공촬영3",
『국가기록원 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1977년 4월 선경합섬 전경",
『수원시 권선구 디지털갤러리』online , 수원시 권선구청. - ↑ 앞줄 오른쪽 두 번째 자리에 앉은 사람이 단광회 창립을 주도했던 야마다 신이치이다.
- ↑ 김용철, 「총력전시기 재조선일본인 미술가의 역할과 위상」, 『일본학보』, 100권, 100호, 한국일본학회, 2014, 409쪽.
- ↑ 김용철, 「총력전시기 재조선일본인 미술가의 역할과 위상」, 『일본학보』, 100권, 100호, 한국일본학회, 2014, 409쪽.
- ↑ "십장생도", 회원전,
『목우회』online .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맹수열, "6.25 특집 - 쏟아지는 포화 속에서도…종군화가들, 예술혼 태우다", 『국방일보』, 2015년 06월 24일.
- ↑ 윤범모, "길을 찾아서(31), 국방부 종군화가단의 활동", 『한겨레신문』, 2017년 08월 24일.
- ↑ 김달진, "한국화 단체와 전시회의 역사 : 1936-2016 (1)", 외부칼럼,
『김달진미술연구소』online . - ↑ "『태화복지재단』
online , 사회복지법인 감리회 태화복지재단." - ↑ "『한국수력원자력』
online ." - ↑ "『고리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고리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고리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울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울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울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월성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월성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월성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빛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빛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한빛원자력본부』
online , 한국수력원자력." - ↑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충주비료 공장",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전후경제복구기",
『사진!대한민국』online , 국가기록원. - ↑ "전후경제복구기",
『사진!대한민국』online , 국가기록원. - ↑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KKKK8155, "인천판유리(인천판초자) 공장", 『네이버 블로그 - 인천의 어제와 오늘』, 작성일: 2016년 09월 07일.
- ↑ "전후복구와 재건기", 국가기록원 - 한국과 유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천판유리 공장 준공기념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쌍용양회 문경공장 ‘산업유산’ 등재 시동", 『대구일보』, 2017년 6월 19일.
- ↑ "문경 시멘트공장 기공식(1)",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문경시멘트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이승만 대통령",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쌍용양회 동해공장 가보니 녹색성장 '활짝'", 『아시아경제』, 2012년 9월 17일.
- ↑ "『쌍용양회』
online ." - ↑ "생산시설이 대폭 늘어난 영월 쌍용양회 공장 모습",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태완선 경제기획원장관 쌍용양회 영월공장 100만 톤 증설 준공식 참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쌍용양회공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롯데정밀화학』
online ." - ↑ 『산림청』
online , 산림청. - ↑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국립종축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정원식 국무총리 국립종축원 방문",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국립축산과학원』
online , 국립축산과학원. - ↑ "팔당수력발전소", 관광지정보,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 한국관광공사. - ↑ "CI.BI",
『극동건설 홈페이지』online , 극동건설. - ↑ "2015년 제44회 구상전 공모대전 수상작품", 구상전 공모대전,
『사단법인 구상전』online . - ↑ "흥사단",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대성학교",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좌진과 북로 군정서군",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화순탄광 '폐업설' 술렁…노조 파업 추진", 『연합뉴스』, 2016년 5월 31일.
- ↑ "화순광업소 비정규직 편법 운영 여전", 『화순투데이』, 2016년 1월 14일.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78년 1월 9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국가기록원 (1962년 7월 23일 촬영)"
- ↑ 『대한석탄공사』
online , 대한석탄공사. - ↑ 『한국광해관리공단』
online , 한국광해관리공단. - ↑ "독립선언서",
『소장자료 사진집』online , 독립기념관. - ↑ "다운로드", 홍보채널,
『posco』online . - ↑ "CI", company,
『KIA』online . - ↑ "기아산업주식회사자전거생산광경6",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오토바이생산광경2",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공장내부",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항공촬영1,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기아산업포.장갑차조립4",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중공업 CI",
『현대중공업』online . - ↑ "울산미포항현대조선소공사현장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내부광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현대조선소유조선전경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삼도물산 봉제품공장 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삼도물산직원들체조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삼도물산직원들체조",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 CI",
『대동공업』online . - ↑ "진주대동공업주식회사공장1",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의장대동공업사시찰5",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농기구작업과정",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농기구1",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대동공업근로자농기구제작광경2",
『기록물 검색』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 CI",
『한국도로공사』online . - ↑ "한국도로공사현판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의서울영업소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재규건설부장관영동고속도로공사장시찰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의고속도로교통정보센터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도로공사본사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공장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호남정유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새마을산업시찰단호남정유시찰",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공업주식회사준공식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작업과정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방직공장작업광경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공장전경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큰영애한일합섬수원공장시찰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일합섬근로자작업광경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노태우대통령한일합섬내한일여고학생방문격려",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제작광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전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수밀시험장",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공장전경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신진자동차공장작업근로자",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2-사진복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사진복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박정희대통령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시찰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 국무총리 인천 한국기계 디젤엔진공장 준공식 참석",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공장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4월 27일)
- ↑ 손승호, "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30일. - ↑ 이원호, "마산자유무역지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9월 27일.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 (2016년 11월 13일 촬영)
- ↑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김주환, "청천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 2008, (사)평화문제연구소. 온라인 참조: "구월산",조선향토대백과 자연지리정보관 : 지형지물(원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상협, "태화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호남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박양춘, "경부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 ↑ "소양강댐 방류, 국가기록사진,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댐 건설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소양강 다목적 댐 준공식",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한국정책방송원. - ↑ "정미의병발원 터",
『중구 문화관광』online , 서울특별시 중구청. - ↑ 김정형, "김정형의 알아서 남주자②'혈죽(血竹)'으로 다시 피어난 민영환의 자결", 『프리미엄조선』, 작성일: 2013년 12월 4일.
- ↑ 플러스, "고려대학교 박물관③역사·민속전시실",
『네이버 블로그 - 발길 닿는대로...홀로 다니는 길』online , 작성일: 2014년 12월 11일. - ↑ "금성 라디오 A-501",
『문화재청』online . - ↑ "라디오로 수신하는 근대 (2)",
『파워라이터 ON』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라디오로 수신하는 근대 (2)",
『파워라이터 ON』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유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점사",
『위키백과』online . - ↑ 한승동,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되살아나다", 『한겨레』, 작성일: 2017년 6월 22일.
- ↑ "유점사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구층석탑",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능인보전 전경",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유점사 능인보전 천장과 내부 가구",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이동명, "30. 유점사 청동범종", 『강원도민일보』, 작성일: 2014년 9월 10일.
- ↑ 나경수, "굴포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임기환, "영성자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길식, "이천설봉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 촬용(2017년 2월 1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용(2017년 2월 1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용(2017년 2월 16일)
- ↑ 민족기록화팀 촬용(2017년 2월 16일)
- ↑ 박혜일, "거북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홍시환, "청구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리마빈, "강진-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바람 속 갈팡질팡』, 작성일: 2015년 06월 26일.
-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골목길 조선사 : 강진산책 - 백운동 별서정원", 『네이버 블로그 - 한국레저경영연구소』, 작성일: 2016년 04월 11일.
- ↑ 여름개굴,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summerfrog...beyond』, 작성일: 2015년 08월 19일.
- ↑ 茶泉, "백운동 원림(園林)", 『네이버 블로그 - 취월당 유람록』, 작성일: 2016년 03월 07일.
- ↑ 茶泉, "다산을 찾아서 (1) - 다산 초당", 『한국사상 현장순례』, 작성일: 2001년 5월 5일.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일본 갑옷",
『나무위키』online - ↑ "하치노헤 역사", 하치노헤 10가지 이야기,
『하치노헤 관광정보 사이트』online - ↑ "시대별 특징",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 한국콘텐츠진흥원. - ↑ 김재근, "판옥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최초신문원조독립신문편집실",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독립신문1896년4월7일자",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독립신문", 주요 소장품 검색,
『국립중앙박물관』online . - ↑ 서영수, "광개토왕릉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호우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3월 12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04월 26일 촬영)
- ↑ "법화원",
『우리역사넷』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4년 03월 15일)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행주산성",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민족기록화팀(2017년 4월 26일 촬영)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경주 석굴암 석굴",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영자, "경주 불국사 청운교백운교",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하호숙, "경주 불국사 다보탑",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장남진, "경주 불국사 가구식 석축",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강명운,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작가갤러리,
『문화유산채널』online , 한국문화재재단.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5월 1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03월 31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6년 11월 12일)
- ↑ "비격진천뢰", 문화재검색,
『문화재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재현, "한국비료(韓肥) 사카린 밀수사건",
『네이버 블로그 - 따뜻한 고향』online , 작성일: 2016년 08월 21일. - ↑ 전쟁기념관
- ↑ 이용범, "거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구경욱, "태봉산성", 『다음블로그 - 소설가구경욱』, 작성일: 2009년 09월 01일.
- ↑ 왜구의 주체는 조선인과 중국인", 『한국교육신문』, 작성일: 2004년 11월 03일.
- ↑ "연성대첩비",
『네이버지식백과』online 조선향토대백과. - ↑ "연성대첩비",
『원각사성보박물관』online 원각사. - ↑ "의병부대",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새마을운동CI",
『새마을운동중앙회』online . - ↑ "진포대첩 기념탑", 영상이미지 속 우리 역사,
『우리역사넷』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46쪽.
- ↑ 서울역사박물관, 『두더지 시장 양택식2』, 서울역사박물관, 2015, 43쪽.
- ↑ "제1회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경진대회장광경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이구열, "서양화",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서양화",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용희, "변이중 화차, 지축을 흔들다",『장성군민신문』, 2011년 11월 29일.
- ↑ "'王회장의 꿈' 이루어지다…현대제철, 일관제철소 화입식", 한국경제, 『네이버 뉴스』, 2010년 01월 05일.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 ↑ "포스코의 45년 히스토리, 들어보실래요?", 포스코 소식/기업소식,
『hellp,posco』online , 포스코 기업 블로그. - ↑ "포스코의 45년 히스토리, 들어보실래요?", 포스코 소식/기업소식,
『hellp,posco』online , 포스코 기업 블로그. - ↑ "광양제철 제1기 준공식",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현석, "금성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SK네트웍스의 발자취",
『사이버역사관』online , SK네트웍스. - ↑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SK에너지』online ,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 - ↑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SK에너지』online ,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 - ↑ "SK네트웍스의 발자취",
『사이버역사관』online , SK네트웍스. - ↑ "SK네트웍스의 발자취",
『사이버역사관』online , SK네트웍스. - ↑ SK에너지, "선경직물의 탄생과 성장",
『SK에너지』online , 작성일 : 2013년 08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