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중화차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대표명칭 변이중화차
한자표기 邊以中火車
이칭 변이중 화차
유형 화차
시대 조선
관련인물 변이중
관련물품 문종화차


정의

조선 중기 문신인 변이중임진왜란 중에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화차이다.

내용

변이중화차의 탄생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 이 중 네 번째로 발명된 변이중화차는 임진왜란중인 1592년(선조 25) 문신이자 학자였던 변이중(邊以中)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총통기를 설치하고 총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1]
변이중은 문중의 지원에 자비를 더해 변이중화차 3백여 대를 제작했다. 1593년 2월 12일의 행주대첩 당시 권율(權慄)장군에게 그 중 40대를 지원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2]

망암집에 묘사된 변이중화차

변이중의 후손들이 그가 남긴 글을 모은『망암집』 권(卷)3 부록에 실린 「총통화전도설(銃筒火箭圖說)」과 「화차도설(火車圖說)」에는 문종화차에 대한 도면과 설명문, 자신이 개량한 '변이중화차' 도면이 들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한 줄의 간단한 설명과 도면만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Quote-left.png 수레 하나에 40개의 구멍을 열어 승자총통 40개를 도화선을 연결하여 발포한다
一車開四十穴勝字筒四十連心發火
Quote-right.png
출처: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86쪽.[4]


변이중화차의 구조

변이중화차의 수레 구조는 일반 수레와 같이 차체가 바퀴의 축 위에 바로 올려져 있다. 또 네 방향으로 방호벽을 설치하고 세 방면에 총통기를 달았다. 총통기에는 각 40개의 승자총통을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네 방향의 방호벽에는 각기 1개의 관측 구멍을 설치하여 화차 안에서 밖을 관측하고 조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른 화차들이 한 방향 즉 공격방향 중심으로만 화기를 설치한 것과 달리 변이중화차는 전면은 물론이고 좌우측면도 전면과 동일하게 총통을 설치했고, 화차의 총통수를 보호하기 위해 전 방위 즉 네 방향에 방호벽을 설치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어느 화차보다도 탁월한 공격력과 방호력을 구비하였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변이중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변이중화차 변이중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변이중화차 행주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화차도설 변이중화차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화차도설 변이중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망암집 화차도설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망암집 변동렬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변이중 변동렬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변이중화차 문종화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문종화차 조선 문종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영상

  • [treasure Namdo]남도의보물100선 77회 - 호국의 비밀병기 '변이중의 화차'의 사본(게시일: 2016년 07월 26일)

갤러리


주석

  1.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3.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4.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86쪽.
  5.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6.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7.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논문
    • 김평원, 「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 『한국과학사학회지』, 33권, 3호, 한국과학사학회, 2011년, 477-508쪽.
  2. 웹 자원
    •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변이중화차(邊以中火車)", 한민족 전투원형,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유용한 정보

  1. 박석무, "망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