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진주전투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차 진주전투(1次 晉州戰鬪)
김시민장군 전공비
대표명칭 1차 진주전투
한자표기 1次 晉州戰鬪
이칭 1차 진주성 전투, 1차 진주성 싸움
유형 전투
시대 조선
날짜 1592년 10월 05일-10월 11일
관련인물 김시민, 이광악, 김성일, 최득량, 이눌, 이찬종, 최경회
관련유물유적 진주성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경상남도 진주에서 진주성을 중심으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제1차 전투이다.[1]

내용

진주성과 김시민

1592년(선조 25) 9월 김해에서 출발한 왜군은 창원을 거쳐 10월 5일 진주성 외곽에 도착했다. 당시 진주성은 진주목사(牧使) 김시민(金時敏)이 지휘한 3,800명의 조선군이 왜군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고 일반 양민 약 2만 명이 진주성 내에 있었다. 남강과 주변의 지형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진주성은 천혜의 요새로 공략하기 쉬운 성채가 아니었다.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병들과 함부로 응대하지 않고 적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2]

왜군 격퇴

하세가와 히데카즈(長谷川秀一),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기무라 시게코레(木村重玆) 등이 이끄는 왜군 3만여 명은 전라도로 진격하기 위해 진주성을 포위공격했다. 수천 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공격하는 왜군을 맞아, 김시민의 관군은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大岐箭)을 쏴서 성벽을 기어오르는 왜군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는 등의 방법으로 왜군을 물리쳤다.[3]
10월 9일에는 다시 쳐들어온 왜군의 총공격을 격퇴하였다. 곽재우·최강·이달 등의 의병부대는 성 밖에 진을 치고 왜군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병력과 무기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필사적으로 싸운 끝에 무려 열 배 병력인 왜군의 공세를 분쇄하였다. 왜군은 수장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의 동생(長岡玄蕃之允)이 이광학이 쏜 총에 맞아 사망하는 등 6일간의 대접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10월 10일에 패주하였다.[4]
그러나 탁월한 지도력으로 진주성을 지킨 진주목사 김시민은 이마에 총상을 입고 그해 10월 18일에 전사하였다.[5]

의의와 평가

제1차 진주성전투는 임진왜란 중 3대첩(三大捷)의 하나로서 임진왜란 역사에 길이 남는 전투로 평가받고 있다. 더욱이 임진왜란 초기에 각종 전투에서 모두 패한 조선 관군의 무기력한 전세를 역전시키는 전과를 올린 전투라는 점에 의의가 크다. 또한 관료도 군사도 아닌 일반 백성들이 전투에 직접 참여한 진주성 주민의 희생정신은 후대 진주 사람들에게 긍지와 교훈이 되고 있다.[6]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주전투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2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1차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김시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성수경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광악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곽재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진주 창렬사 진주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시민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최경회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비격진천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질려포통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임진왜란 3대첩 진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강병수, "1차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6. 강병수, "1차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