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이성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자문의견)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하남_이성산성.jpg
 
|사진=하남_이성산성.jpg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사적 제422호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산 36 일대
+
산성이란 적의 침입에 대비해 전투에 유리한 산을 이용하여 쌓은 성을 말한다. 이성산성은 이성산(해발 209.8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싼 포곡식 산성이다. 남쪽은 평야를 둘러싼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나지막한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뒤쪽의 평야 지역을 방어하고 강 넘어 북쪽의 적으로부터 한강 유역을 지키기에 매우 유리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성을 쌓은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인 6세기 중반 무렵 쌓아 만들었다.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으로 다시 쌓았으며 고려시대 초기 이후부터 산성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조선시대 『남한지』, 『대동지지』를 비롯해 초기 백제와 관련된 왕성으로 보는 기록도 있어 백제의 흔적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성산성은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이성산에 있는 높이 209m의 포곡형(包谷刑) 석축(石築) 산성이다.(면적 160,361㎡ 48,509평). 이 산성은 한강에 접한 여러 성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인 중요성과, 성내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유물 등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중요시되어 왔다. 한양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86년부터 2003년까지 10차례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장방형, 9각, 8각, 12각 등의 건물지와 2개소의 저수지, 신앙유적 등의 유구가 노출되었고, “무진년정월십이일 붕남한성도사(戊辰年五月十二日 朋南漢城都使 - 608년으로 추정)”가 기록된 목간(木簡),자(尺),목제인물상, 철제농구와 무기, 벼루를 비롯한 토제품, 토기, 기와 등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
총 둘레 1,665m(2018년 하남 이성산성 13차 발굴 보고서)로 삼국시대의 성곽 중에서는 큰 편이다. 1986년부터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치성* 1곳, 건물 11곳, 문 2곳, 저수지 3곳, 저장 구덩이 3곳, 의례 유구** 4곳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9각, 12각 등 다각형 건물이 많다. 유물은 6~8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 도끼, 쇠스랑***, 짚신, 요고****, 바구니, 팽이, 목간***** 등이 출토되었다.
  
이성산성은 두 차례 이상 대규모의 수축을 거친 것으로 생각된다. 성을 처음 쌓은 세력이 백제 또는 고구려라는 학설도 있으나, 현재 드러낸 고고학적인 유물과 성의 구조는 신라에 의해 축성되고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
 +
*치성: 성벽에 기어오르는 적을 쏘기 위해 성벽 밖으로 여기저기 내밀어 쌓아 놓았던 돌출부
 +
*유구: 옛날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
*쇠스랑: 쇠로 서너 개의 발을 만들고 자루를 박아 갈퀴 모양으로 만든 농기구
 +
*요고: 허리에 차거나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연주하는 타악기, 오늘날 장구의 원형
 +
*목간: 글을 적은 나뭇조각
  
===수정 국문===
+
===영문===
====초고====
+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1차 수정====
+
Iseongsanseong Fortress is situated around the summit of Iseongsan Mountain (209.8 m above sea level) and its southern valley. The fortress commands a view of the plain surrounded by tall mountains to the south and the Hangang River basin to the north. It occupies a strategically advantageous location from which it can defend the northern plain and also defend the Hangang River basin from potential attacks from the north.
이성산성은 이성산(해발 209.8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싼 포곡식 산성이다.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 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 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정확한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축성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6세기 중반 무렵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말기에서 통일신라시대까지 주로 사용되었으며,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인 개축이 이루어진 후 고려 초기 이전에 기능을 잃은 것으로 여겨진다.
+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excavated artifact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was built in the mid-6th century by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which was undergoing a northward expansion at the time and needed to secure its newly conquered lands along the Hangang River. The fortress underwent a major reconstruction at the turn of the 7th and 8th centurie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stopped being used as a military facility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sometimes mention the fortress as connected to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이성산성의 총 둘레는 1,665m로 삼국시대의 성곽 중에서는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한다. 1986년부터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치 1곳, 건물지 11곳, 문지 2곳, 저수지 3곳, 저장구덩이 3곳, 의례유구 4곳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성산성에서 발견된 건물들은 9각, 12각 등 다각형 평면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성벽은 두 차례에 걸쳐 서로 다르게 만든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1차 성벽을 쌓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성이 붕괴되자 1차 성벽에 덧붙여 2차 성벽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
The perimeter of the fortress measures 1,665 m, which is quite large when compared to other fortresses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Since 1986, several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that have identified one bastion site, 11 building sites, two gate sites, three reservoirs, three storage pits, and four religious building sites. Some of the building sites have octagonal, nonagonal, and dodecagonal layouts. The excavated artifacts date to the 6th to 8th centuries and include earthenware, roof tiles, axes, pitchforks, straw shoes, drums, baskets, spinning tops, and wooden tablets with inscriptions.
  
성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6~8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성 안에 있던 저수지에서는 철제 도끼, 쇠스랑, 짚신, 목제인형, 바구니, 팽이 등 다양한 생활도구들이 출토되었다. 나무 조각에 글자를 적은 목간도 다수 발견되어 당시 사회생활이나 신라의 지방지배 체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영문 해설 내용===
 +
이성산성은 이성산(해발 209.8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싸 쌓은 성이다. 남쪽은 평야를 둘러싼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나지막한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뒤쪽의 평야 지역을 방어하고 북쪽의 적으로부터 한강 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자문의견====
+
성을 쌓은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이성산성은 6세기 중반 무렵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던 시기에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으로 다시 쌓았으며, 고려시대 초기 이후로는 산성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기록에는 백제와 관련된 성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 분야별 자문위원 1
 
#* <font color= "red"><s>정확한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s> 신라가 한강유역에 진출하기 이전 백제와 고구려가 축조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발굴된</font> 축성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6세기 중반 무렵 <font color= "red"><s>처음</s></font>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 분야별 자문위원 2
 
#* 어려운 한자어는 한자 병기: 포곡식(包谷式)
 
#* ‘정확한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아직도 이성산성을 백제 때 쌓은 도읍이라고 믿는 사람들을 고려한 표현 같으나 고고학적인 발굴조사 결과 그러한 흔적이 전혀 없으므로 생략할 필요가 있겠음
 
#* 이성산성의 역사적인 의미를 마지막 문단으로 추가: ‘이성산성은 신라가 한강 하류지역으로 진출한 후 설치한 신주(新州)의 치소성으로 구축되었으며, 이후 한산주(漢山州)의 치소성으로서 행정과 군사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1) 남쪽은 평야를 둘러싸고 있는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작은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남쪽은 평야를 둘러<font color= "red">싼</font>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font color= "red">나즈막한</font>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 2) 정확한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축성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6세기 중반 무렵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말기에서 통일신라시대까지 주로 사용되었으며,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인 개축이 이루어진 후 고려 초기 이전에 기능을 잃은 것으로 여겨진다. ⇒ 정확한 축성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축성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font color= "red">후인</font> 6세기 중반 무렵 처음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font color= "red">이성산성은</font> 신라 말기에서 통일신라시대까지 주로 사용되었으며,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인 개축이 이루어진 후 고려 초기 이전에 <font color= "red">산성으로써의</font> 기능을 잃은 것으로 <font color= "red">보인다.</font>
 
  
====2차 수정====
+
이성산성의 총 둘레는 1,665m로 삼국시대의 성곽 중에서는 큰 편이다. 1986년부터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치성 1곳, 건물터 11곳, 문터 2곳, 저수지 3곳, 저장구덩이 3곳, 의례유구 4곳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성산성에서 발견된 건물들은 8각, 9각, 12각 등 다각형 평면이 많다. 출토된 유물들은 6~8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 도끼, 쇠스랑, 짚신, 요고, 바구니, 팽이, 목간 등이 있다.
이성산성은 이성산(해발 209.8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싼 포곡식 산성이다. 남쪽은 평야를 둘러싼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나지막한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성산성은 배후의 평야 지역을 방어하고 강북의 적으로부터 한강 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축성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이성산성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인 6세기 중반 무렵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말기에서 통일신라시대까지 주로 사용되었으며,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인 개축이 이루어진 후 고려 초기 이전에 산성으로써의 기능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
=='''권역 및 개별 안내판'''==
 
+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이성산성의 총 둘레는 1,665m로 삼국시대의 성곽 중에서는 비교적 큰 규모에 속한다. 1986년부터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치 1곳, 건물지 11곳, 문지 2곳, 저수지 3곳, 저장구덩이 3곳, 의례유구 4곳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성산성에서 발견된 건물들은 9각, 12각 등 다각형 평면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성벽은 두 차례에 걸쳐 서로 다르게 만든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1차 성벽을 쌓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성이 붕괴되자 1차 성벽에 덧붙여 2차 성벽을 쌓은 것으로 보인다.
+
파일:하남이성산성_안내판설치계획.jpg
 
+
</gallery>
성 주변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6~8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성 안에 있던 저수지에서는 철제 도끼, 쇠스랑, 짚신, 목제인형, 바구니, 팽이 등 다양한 생활도구들이 출토되었다. 나무 조각에 글자를 적은 목간도 다수 발견되어 당시 사회생활이나 신라의 지방지배 체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문맥요소'''==
 
===Nodes===
 
 
 
===Links===
 
  
 +
===권역안내판===
 +
*[[하남 이성산성 12각 건물지 권역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동문지 권역 (하남 이성산성)]]
  
 +
===개별안내판===
 +
*[[하남 이성산성 성벽잔존구간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A지구 저수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권역 장방형 건물지1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권역 장방형 건물지2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C지구 저수지 권역 12각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동문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동문지 권역 8각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동문지 권역 장방형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동문지 권역 9각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
*[[하남 이성산성 서문지 (하남 이성산성)]]
  
 
=='''참고자료'''==
 
=='''참고자료'''==
77번째 줄: 80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경기도 문화유산]]
+
[[분류:하남시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분류:성곽]]
 
[[분류:성곽]]
83번째 줄: 86번째 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12월 15일 (수) 10:56 기준 최신판

하남 이성산성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하남 이성산성
영문명칭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한자 河南 二聖山城
주소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산36번지 외
지정번호 사적 제422호
지정일 2000년 9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231,313㎡
웹사이트 하남 이성산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성이란 적의 침입에 대비해 전투에 유리한 산을 이용하여 쌓은 성을 말한다. 이성산성은 이성산(해발 209.8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싼 포곡식 산성이다. 남쪽은 평야를 둘러싼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나지막한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뒤쪽의 평야 지역을 방어하고 강 넘어 북쪽의 적으로부터 한강 유역을 지키기에 매우 유리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성을 쌓은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인 6세기 중반 무렵 쌓아 만들었다.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으로 다시 쌓았으며 고려시대 초기 이후부터 산성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조선시대 『남한지』, 『대동지지』를 비롯해 초기 백제와 관련된 왕성으로 보는 기록도 있어 백제의 흔적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총 둘레 1,665m(2018년 하남 이성산성 13차 발굴 보고서)로 삼국시대의 성곽 중에서는 큰 편이다. 1986년부터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치성* 1곳, 건물 11곳, 문 2곳, 저수지 3곳, 저장 구덩이 3곳, 의례 유구** 4곳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9각, 12각 등 다각형 건물이 많다. 유물은 6~8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 도끼, 쇠스랑***, 짚신, 요고****, 바구니, 팽이, 목간***** 등이 출토되었다.


  • 치성: 성벽에 기어오르는 적을 쏘기 위해 성벽 밖으로 여기저기 내밀어 쌓아 놓았던 돌출부
  • 유구: 옛날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 쇠스랑: 쇠로 서너 개의 발을 만들고 자루를 박아 갈퀴 모양으로 만든 농기구
  • 요고: 허리에 차거나 무릎 위에 올려 놓고 연주하는 타악기, 오늘날 장구의 원형
  • 목간: 글을 적은 나뭇조각

영문

Iseongsanseong Fortress, Hanam

Iseongsanseong Fortress is situated around the summit of Iseongsan Mountain (209.8 m above sea level) and its southern valley. The fortress commands a view of the plain surrounded by tall mountains to the south and the Hangang River basin to the north. It occupies a strategically advantageous location from which it can defend the northern plain and also defend the Hangang River basin from potential attacks from the north.

Bas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excavated artifact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was built in the mid-6th century by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which was undergoing a northward expansion at the time and needed to secure its newly conquered lands along the Hangang River. The fortress underwent a major reconstruction at the turn of the 7th and 8th centuries. It is presumed that the fortress stopped being used as a military facility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sometimes mention the fortress as connected to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The perimeter of the fortress measures 1,665 m, which is quite large when compared to other fortresses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Since 1986, several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that have identified one bastion site, 11 building sites, two gate sites, three reservoirs, three storage pits, and four religious building sites. Some of the building sites have octagonal, nonagonal, and dodecagonal layouts. The excavated artifacts date to the 6th to 8th centuries and include earthenware, roof tiles, axes, pitchforks, straw shoes, drums, baskets, spinning tops, and wooden tablets with inscriptions.

영문 해설 내용

이성산성은 이성산(해발 209.8m)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싸 쌓은 성이다. 남쪽은 평야를 둘러싼 높은 산들이 있으나 북쪽은 나지막한 구릉만 있어 한강 주변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뒤쪽의 평야 지역을 방어하고 북쪽의 적으로부터 한강 유역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한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성을 쌓은 기법과 출토 유물 등으로 보아, 이성산성은 6세기 중반 무렵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던 시기에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7세기 후반~8세기 초반에 대대적으로 다시 쌓았으며, 고려시대 초기 이후로는 산성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기록에는 백제와 관련된 성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성산성의 총 둘레는 1,665m로 삼국시대의 성곽 중에서는 큰 편이다. 1986년부터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치성 1곳, 건물터 11곳, 문터 2곳, 저수지 3곳, 저장구덩이 3곳, 의례유구 4곳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성산성에서 발견된 건물들은 8각, 9각, 12각 등 다각형 평면이 많다. 출토된 유물들은 6~8세기 무렵 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 도끼, 쇠스랑, 짚신, 요고, 바구니, 팽이, 목간 등이 있다.

권역 및 개별 안내판

권역안내판

개별안내판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