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자 가이드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Style

기본 지침

  • 미국식 영어 맞춤법 준수
  • 미국식 구두법 준수
    • 괄호표기
      • 괄호 앞에 띄어 쓴다.
        • 예) the Joseon period(1392-1910) (x), --> the Joseon period (1392-1910) (o)
    • 인용표기
      • 단일 인용 부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마침표는 인용 부호 안에 넣는다.
        • 예) The name Daeungjeon means 'Hall of the Great Hero'. (x), The name Daeungjeon means "Hall of the Great Hero."
    • 연도표기
      • 연도 등을 기재할 때 물결 표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예) the Joseon period (1392~1910) (x), the Joseon period (1392-1910) (o)
    • 쉼표
      • Oxford Comma를 사용한다.
      • 사람의 이름 앞에 사람을 설명 하는 말이 있는 경우 웬만하면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송준길의묘) 조선시대 문신이자 학자인 송준길(1606-1672)과 부인 진주정씨의 합장묘이다. This is the tomb of the civil official and prominent scholar, Song Jun-gil (1606-1672), and his wife, Lady Jeong, who are interred together in a single burial mound. (x) / This is the tomb of the civil official and prominent scholar Song Jun-gil (1606-1672) and his wife Lady Jeong, who are interred together in a single burial mound. (o)
      • 두개의 독립적인 표현으로 이루어진 문장인 경우 연결어(and, but 등) 앞에 쉼표를 사용한다. 독립적인 표현이 아닌 경우엔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예 Song was particularly knowledgeable in the study of rites, and was skilled in writing and calligraphy. (x) / Song was particularly knowledgeable in the study of rites and skilled in writing and calligraphy. (o) / Song was particularly knowledgeable in the study of rites, and he was also skilled in writing and calligraphy. (o)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Revised Romanization)에 준수한다.
  • 숫자는 10번까지 글자로 표현하고 그 이후로 숫자로 쓴다.
    • 예) one, two, three, four, five, six, seven, eight, nine, ten, 11, 12, 13, 14....
    • 예외적으로는 치수(예 : 5 m, 2 km), ~th/~st/~rd로 끝나는 숫자(예 : 7th-generation descendant, 5th century), 구역 또는 문화유산 번호(예 : Tomb No. 3) 등은 10번 이전 숫자는 숫자로 표기한다.
    • 치수는 숫자와 단위 사이에 띄어 쓴다
      • 4.5m (x), 4.5 m (o)

인물 관련 지침

기본 지침

  • 이름은 성씨, 이름 순으로 하며 이름이 두 글자 이상인 경우 이름 각 글자 사이에 하이펜을 넣는다.
    • 이성계 --> Yi Seong-gye, 왕건 --> Wang Geon
  • 현대 인물인 경우 선호하는 또는 널리 사용된 영문 이름이 따로 있는지 확인 필요
    • 이승만 --> Yi Seung-man (x), Syngman Rhee (o)
  • 성씨는 로마자 표기법에 준수하되, 국림국어원에서 2009년도에 제시한 표기 시안에 준수합니다.

생몰년

  • 생몰년은 인물이 처음 언급될 때 이름 뒤에 띄어 쓰고 괄호 안에 연도를 넣으며 연도 사이에 물결표 아닌 하이펜을 씁니다.
    • 예)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 Yi Hwang(1501~1570) (x), Yi Hwang (1501-1570) (o)
  • 생년, 몰년 중에 하나만 있는 경우에는 모르는 연도는 물음표로 대신합니다.
    • 예) 최치원(857~?) --> Choe Chi-won (857-?)
  • 생년, 몰년 다 모르는 경우에는 생몰년을 아예 쓰지 않는다.
    • 필요에 따라 인물의 정의에서 어느 세기에 살았는지 작성할 수 있다.
    • 예) 상륜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활발하게 활동한 뛰어난 조각승이었다. --> Sangnyun was a renowned sculptor-monk active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호, 시호

  • 국문에 호와 이름이 같이 기재된 경우 영어로는 이름만 쓴다.
    • 퇴계 이황 --> Toegye Yi Hwang (x), Yi Hwang (o)
  • 이름 대신에 호칭을 사용한 경우에 해당 인물에 이름으로 바꿔서 쓴다.
    • 퇴계선생 --> Master Toegye (x), Yi Hwang (o)
  • 호는 문화유산 이름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만 제시합니다.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한다.
    • 퇴계종택 (Toegye Head House)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Yi Hwang (1501-1507, pen name: Toegye).
  • 호는 이름과 달리 각 글자 사이에 하이펜을 안 넣는다.
    • 예) 다산 정약용 --> Jeong Yak-yong (1762-1836, pen name: Dasan)
  • 시호, 칭호는 필요에 따라 언급합니다. 보통은 인물에 대한 정의 문단에서 뜻과 같이 풀어서 설명한다. 이유는 인물의 업적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업적을 설명한 후 시호를 언제, 누구로 인해 받았는지, 시호의 의미 등을 설명한다. 그러나 일반 호 처럼 이름 뒤어 괄호에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 그게는 두가지의 형식 : He was bestowed with the posthumous title Chungmugong, meaning "Lord of Loyalty and Valor." 아니면 He was bestowed with the posthumous title Lord of Loyalty and Valor (Chungmugong).
    • 예) (의령 탐진안씨 종택) 이 집은 탐진안씨 헌납공파의 종택이다. 안기종(1556-1663, 시호: 헌납)은 조선시대의 무신으로 탐진안씨의 입산마을 입향조이다.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Heonnapgong Branch of the Tamjin An Clan. An Gi-jong (1556-1633, posthumous title: Heonnap), a military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was the first person from the Tamjin An Clan to settle in Ipsan Village.
    • 예)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입적 후에는 우왕이 '진각'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 After his death, King U (r. 1374-1388) bestowed him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Jingak, meaning “True and Complete Enlightenment.”
    • '~공'으로 끝나는 시호는 먼저 영문 뜻풀이 한 다음 괄호 안에 대문자로 시작하는 로마자 표기를 재기한다. 영문 뜻풀이는 'Lord of A and B'의 형식으로 한다.
      • 예)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1643년에는 인조가 ‘충무공’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 In 1643, King Injo (r. 1623-1649) bestowed him with the title of Lord of Loyalty and Valor (Chungmugong).
      • 예) (논산 충헌사 - 청주양씨의 시조인 양기) 사후에 ‘충헌(忠憲)’의 시호를 받게 되었고, 충헌사는 양기의 시호를 본 따 이름 지어졌다. --> Later, he was honored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Lord of Loyalty and Lawfulness (Chungheongong). The name of this shrine originates from this title.
    • '~군'으로 끝나는 칭호는 'Prince of ____'의 형식으로 한다.
      • 예) (두암사 - 김목경) 1339년에 일어난 반란을 평정하는 데 기여하여 금녕군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He helped pacify a revolt against the king in 1339, for which he was bestowed with the title Geumnyeonggun, meaning "Prince of Golden Serenity."

문중

  • 본관 + 성씨 + Clan 순으로 합니다.
    • 예) 경주이씨 --> Gyeongju Yi Clan
    • Clan은 대문자로 한다

왕족

  • 호칭
    • 왕 King
    • 여왕 Queen
    • 왕비 Queen Consort
    • 왕대비 Queen Dowager
    • 대왕대비 Great Queen Dowager
    • 왕세자(대군) (Crown) Prince
    • 세자(군) Prince
    • 왕세자빈 Crown Prince Consort
  • 공주/옹주 Princess
  • 국문에서 이름을 여러개 쓰더라고 영문에서 독자가 헷갈리지 않도록 일관성 필요하다. 건국시대의 인물은 경우에 따라 왕명으로 소개하고 이름으로 소개도 한다. (왕건, 이성계, 이방원 등)
    • 즉위 이전에 일은 경우에 따라 세자명으로 소개하고 괄호 안에 왕명을 언급한다.
  • 연도
    • 왕은 재위년만 언급한다. (r.)
    • 몰년은 재위년과 몰년도 언급한다. (d.)
    • 경우에 따라 왕의 생년도 언급한다. (b.)
      • 예) Yi Seong-gye (1335-1408; later King Taejo, r. 1392-1398)

스님

  • 법명은 각 글자 사이에 하이펜을 안 넣는다.
  • 법계
    • 국사 State Preceptor
    • 왕사 Royal Preceptor
    • 대사 Master / Buddhist Monk
    • 선사 Seon (Chan/Zen) Master
    • 스님, 승려 (Buddhist) Monk
  • 승려를 소개하는 표현
    • ...the (Buddhist) monk So-and-So...
    • ...So-and-So, an eminent Buddhist monk of the ___ period...
    • 국사, 왕사는 업적 소개하는 부분에 언급한다.
  • 근현대 스님은 Venerable (Ven.)으로 소개한다.

부인

  • 성씨는 Lady So-and-So 방식으로 한다.
    • 예) 남평문씨 Lady Mun of the Nampyeong Mun Clan
    • 예) 이씨 Lady Yi
  • 여성들은 이름 없이 본관+성씨, 또는 성씨만으로 언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성이 문화유산의 주인(열녀비, 묘소 등) 또는 본관 언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본관과 성씨를 같이 언급한다. 그러나 문화유산의 주인이 아니거나 본관을 굳이 알릴 필요가 없는 경우에 성씨로만 언급한다.
    • 예 1) (회안대군 묘) 이곳은 회안대군(1364~1421)과 부인 금씨의 묘이다. --> This is the tomb of Prince Hoean (1364-1421) and his wife Lady Geum.
    • 예 2) (열녀 남평문씨 정려각) --> This pavilion was built to commemorate the virtuous wife Lady Mun of the Nampyeong Mun Clan.
  • 여성은 본관+성씨로만 소개가 자주 되다보니 번역자가 문중으로 오역하는 경우가 있어서 맥락에 따라 문중인지, 여성인지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도, 시대, 사건 관련 지침

  • 두 연도 사이에 물결표 아닌 하이펜으로 연결한다
    • 1392~1910 (x), 1392-1910 (o)
  • 기원전, 기원후 표기는 BCE, CE로 한다
  • 왕년는 표기 안한다 (증 '정조 10년' 등)
  • 확인이 가능한 경우 양력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 예) '병자'년은 보통 1636에 해당되지만 병자호란은 음력 12월에 시작한 전쟁이라 양력으로 1637년에 해당되어서 'Manchu invasion of 1637'로 쓰기로 했다.
    • 예) 고종의 즉위는 음력으로 1863년이지만 양력으로 1864년이라 고종의 즉위년은 '(r. 1864-1907)'으로 표기한다.

시대

  • kingdom, dynasty, period이라는 표현은 경우에 따라 쓴다.
    • 소문자로 쓴다.
    • 기본적으로 period라고 하는데 나라(정부, 왕국 등)를 강조 하고 싶으면 kingdom또는 dynasty라고 한다.
    • 가야는 Gaya confederacy로한다
      • 가야국들은 원칙적으로 '가야' 앞에 띄어 쓴다 (예 Ara Gaya, Bihwa Gaya), 그러나 대가야 지역의 지차제, 학자들의 요청에 따라 띄어쓰지 않기로 했다 (Daegaya).
  • 시대는 처음 언급할 때 연도를 시대명 뒤에 괄호 안에 쓴다. 그 이후로는 연도를 언급 안한다.
  • '전기', '후기'는 조심해서 번역할 필요가 있다.
    • 외국인 독자들은 '전기', '후기'는 어떤 연도까지 해당되는지 모르는 데다가 어떤 정치적, 사회적 의의를 가지는지도 몰라서 가능하면 '전기', '후기'라는 말을 언급 안 하는 것 이 좋다. 시대보다 더 정확한 시기를 언급하고 싶으면 세기로 한다. 그러나 정확한 연도, 세기 모르는 경우 또는 예술적인 작품이어서 그 시대가 의미가 있는 경우에는 쓸 수 있다.
      • 예) This Buddhist statue is presumed to date to the lat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 예) This house is representative of upper-class residences of the late Joseon period.
      • '전기', '후기'는 인물의 소개에서도 어느 시대 사람으로 소개될 때 '전기', '후기' 등을 생락한다. 외국인 독자들은 시대의 전기, 후기는 어떤 의미를 하는지 모르니까 무의미한 표현이 되버린다.
    • 예) 조선전기는 "the early Joseon period (1392-1910)"이라고 하면 한국역사 모르는 사람에게 조선전기 자체는 1392년부터 1910년에 해당되는 것으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라고 한다.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라고 할 수 있으나 'period'가 반복되어서 dynasty 또는 kingdom으로 쓴다.
      • 해설문 앞에는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이라고 이미 언급된 경우 기사 뒷 부분에 "the late Joseon period"라고 해도 된다.
시대 이름, 연도 목록
  • proto-Three Kingdoms period (1st century BCE-4th century CE)
  •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 Gaya confederacy (42-562)
  • Goguryeo (37 BCE-668 CE)
  • Baekje (18 BCE-660 CE)
    • 한성백제(18 BCE-475 CE)
    • 웅진백제(475-538)
    • 사비백제(538-660)
  • Later Baekje (892-936)
  • Silla (57 BCE-935 CE)
  • Unified Silla (668-935)
  • Goryeo (918-1392)
  • Joseon (1392-1910)
  • Korean Empire (1897-1910)
  •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세기

  • 세기는 숫자로 쓴다
    • first century, mid-thirteenth century (x)
    • 1st century, mid-13th century, 12th to 14th centuries, early 9th to late 10th centuries (o)
  • '시대 말, 시대초'표현은 'at the turn of'이라고 표현한다. ~~00년 경도 이 표현 쓴다.
    • at the tur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사건

  • 간지로 표기된 사건은 사건이 일어난 연도 또는 기간으로 쓴다
    • 임진왜란 --> Imjin War (x), Japanese invasion of 1592-1593 (o)
      • '임진왜란'은 1592~1593년에 일어난 전쟁만 의미할 때가 있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통합해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어서 필요에 따라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으로 표기할 때도 있다.
  • 'invasion'은 소문자로 표기한다.

뜻풀이 지침

  • 건물 이름 등의 의미를 설명할 때 마지만 글자를 포함해서 설명한다 (즉, ~당, ~정, ~사 등까지 영어로 쓴다). 뜻풀이 부분은 괄호 안에 넣고 대문자(title capitalization)로 쓴다. 로마자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괄호를 따로 쓰지 않는다.
    • The name Daeungjeon means "Hall of the Great Hero." (o)
    • 'Daeung' in the name means "great hero." (x)
  • 직역이 불가능하거나 길게 설명하는 경우에는 'means', 'meaning'이라고 하지 않고 'can be interpreted as', 'can be interpreted to mean' 으로 하고 뜻 풀이는 괄호 안에 넣고 소문자로 한다.
    • The name Gwansujeong can be interpreted to mean “a pavilion to purify a wicked heart by looking at clear water.”
  • 이름은 고전에서 온 거면 고전을 같이 소개하면 좋다.
    • The name Sangnojae means “House of Frost and Dew,” which is a reference to a passage from the Book of Rites (Liji) that reads “In autumn, when frost lays upon the ground, and in spring, when dew descends, one cannot escape the sad thought of his departed parents.”

용어, 표현 검색 자료

내부 자료

외부 자료


해설문 일반 주의 사항

  • 건축물의 건립, 수리, 재건 등 관련 용어는 맥락에 맞게 번역한다.
유형 국문 영문
make 건립 found, establish
make 설립 found, establish
make 짓다 built, first built, establish
make 설치 install
fix 수리 repair
fix 보수 repair
expand 중창 expand, re-establish, rebuilt
expand 중측 expand
expand 확장 expand
make again 중건 renovate, rebuild, reconstruct
make again 중수 reconstruct
make again 재건 rebuild, reconstruct
make again 복원 renovate, rebuild, reconstruct
make again 새로 짓다 rebuild, reconstruct, build anew
make again 다시 짓다 rebuild, reconstruct, build anew
move 이전 relocate, move
move 옮기다 relocate, move
destroy (fire) 불에 타다 burnt down / was burned down
destroy (fire) 소실 burnt down / was burned down
destroy 황폐한 상태로 방치되었다 was neglected and fell into disrepair
destroy 폐허 fall into disrepair
destroy 퇴락 fall into disrepair
destroy 쇠락 fall into disrepair
destroy 허물어지다 fall into disrepair
destroy 폐사 fall into disrepair (for a Buddhist temple), close down
shut down 폐쇄 shut down
shut down 철폐 shut down
shut down 폐지 shut down
shut down 중단 shut down
dismantle 헤제보수 dismantle and repair
dismantle 헤제복원 dismantle and renovate
  • 해설문 정의 문장에서 비교적 갈략한 고유명사 명칭이 있는 경우 이름으로 시작하고 아닌 경우에
    • 예) Sungnyemun Gate was the main gate of the Seoul City Wall...
    • 예) This stone statue depicts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and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 해당 문화유산이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면 그 유형에 대한 정의, 의의, 설명은 앞에서 언급합니다.
    • 즉, 대웅전, 명부전, 불탑, 승탑, 향교, 봉수, 사직단, 객사, 석빙고 등
    • 필요에 따라 정의 내용을 수정한다
      • 예, 대웅전인데 아미타불을 모신다.


틀리게 쓰이는 단어 모음

  • 'restore(복원)'라는 말은 안 쓰도록한다. 서양에서 'restore'는 남아 있는 건물을 오래된 부분들은 개끗이 수리하는 의미이며, 한국문화유산의 경우 '복원'이라는 말은 손실된 건물을 원래의 모습으로 새로 짓는 뜻으로 보통 쓰이는데 이런 경우에 'restore'라고 하면 오역이 된다. 예외적으로 영어 뜻에 맞게 사용할 수가 있다.
  • 'storage'는 공간을 의미하지 않아요.
    • It is in storage는 '보관중이다'를 의미하며 상태를 말하며 'It is in a storage'는 아예 틀립니다.
    • storage room, storehouse, storage space 등 적합한 표현을 써야한다.
  • 'refuge'는 장소보다 상태를 의미한다.
    • He sought refuge.
    • They took refuge.
    • A place of refuge.

유형별 지침

  • 주위 : 다른 해설문 참조하는 경우 연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간이 되면서 지침이 개선되는데 해설문이 오래될수록 지금의 지침과 안 맞을 수 있다.

인물

  • _Name_, born in __place__, was the student of __Person__. He was known for his __quality__ from a young age.
  •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__year__ and went on to serve various official posts.
  •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he led a civilian army against the enemy. For his contributions, he was bestowed with the title of meritorious subject.
  • He was bestowed with the posthumous title of __title__.
  • He was postumously promoted to the position of __ranks__.

유적건조물

주거, 인물기념

  • 분류:가옥
  • 분류:종택
    • This is the head house of the descendants of _Person_, a __position__ of the __time period__.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 집성촌 여부
    • 인물 소개
    • 건물 연혁
    • 건물 구조, 특징
  • 분류:생가
    • This is the birthplace of _Person_, a __position__ of the __time period__.
    • 집성촌 여부
    • 건물 남았는지, 새로 지엇는지 여부
    • 인물 소개
    • 건물 연혁
    • 건물 구조, 특징
  • 분류:강당
    • This lecture hall was established in __year/period__ by __Person__ as a place for __purpose__.
    • 인물 소개
    • 건물 연혁
    • 건물 구조, 특징
  • 분류:누정
  • 분류:정원
  • 분류:사당
  • 분류:정사
  • 분류:제단
    • 사직단
      • Sajikdan Altar is a place where rituals for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were held. According to records, such altars existed in Korea since ancient times.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y wer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in important loc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capital, and rituals were held biannually in spring and autumn. There were about 300 such altars in the country, but most were abolished by Japanese authorities in 1908, just prior to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in 1910.
    • This altar commemorates/was built to honor __Person__.
  • 분류:태실
    • This is (said to be) (the site of) the placenta chamber of __Person__.
    • A placenta chamber is where a nested jar containing a royal baby’s placenta and umbilical cord were enshrin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 newborn baby’s placenta was regarded as the origin of life, and preserving it would ensure a healthy, advantageous life for the child. Because this was especially important to the royal family, they took great effort to find the most auspicious place and time to build a placenta chamber. It was often buried on a mountain peak, which then came to be known as Taebong, meaning “Placenta Peak.” This ritual of placenta chamber construction is unique to Korea.
  • 분류:재사
  • 분류:재실
    • This ritual house was built in __year__ by __Person__ for preparation of ancestral rituals and the maintenance of the tomb of __Person__.
  • 분류:정려
    • This plaque commemorates the __act__ of __Person__. Commemorative plaques were bestowed by the government to honor a person’s patriotic loyalty, filial devotion, or matrimonial devotion and were meant to be hung on red gates or in pavilions in front of the honored family’s home.
    • 분류:열녀
  • 분류:인물유적

교육

  • 분류:서원
    • Confucian academies, called seowon in Korean, ar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which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 This Confucian academy was founded in __year__ to commemorate the scholarly achievements and virtues of __Person__, __description__.
    • 인물 소개
    • 연혁
      • The academy was demolished in __year__ following a nationwide decree to shut down shrines and Confucian academies.
      • It was once demolished when most shrines and Confucian academies were shut down by a nationwide decree in the late 19th century.
    • 구조
      •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two dormitories, a lecture hall called __Name__, an inner gate, an auxiliary building for preparing rituals, a shrine called __Name__, and a custodian's residence.
      • The shrine area is surrounded by its own stone enclosure wall.
    • 특징
  • 분류:향교
    • Local Confu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 a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nationwide in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o function as local shrines for Confucius and other sage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elites in local districts.
    • 대성전
      • Daeseongjeon is the main shrine of a local Confucian school. The name means “Hall of the Great Sage,” as the spirit tablets of Confucius and other Confucian sages are enshrined in the building. It is believed that the spirits of those being honored may return to and reside in the wooden spirit tablets during the performance of veneration rituals.
    • 명륜당
      • Myeongnyundang refers to the lecture hall of a local Confucian school. The name means “Hall of Illuminated Human Relations” and is derived from a passage in Mencius, which states that “The object of all educational institutions is to illuminate human relations.”
  • 분류:서당
    • Village study halls, called seodang in Korean, were local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to teach classical Chinese and elementary Confucian classics.
    • This village study hall located in _Place_ was established in __year__ by __Person__, __description__.

관아

  • 분류:관아
  • 분류:객사
    • Guesthouses, called gaeksa in Korean, were built nearby local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guesthouse includes a shrine in the center to hold a wooden tablet symbolizing the king and two rooms to either side which were used as temporary lodging facilities for officials visiting from other regions. The wooden tablet enshrined in each local guesthouse exhibited the king’s sovereignty across the country. To acknowledge this sovereignty, the local magistrate and other officials regularly performed a ceremony in which they bowed deeply toward the royal capital.
    • 연혁
    • 구조
    • 특징
  • 분류:석빙고
    • Stone ice storehouses were places where clean ice blocks, cut in winter from surface ice from a nearby river, were stored to be used in spring or summer. According to historical sources, ice blocks were stored in this way in Korea beginning from the Silla period (57 BCE-935 CE). However, the stone ice storehouses remaining today all date to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ice preserved in such storehouses was exclusively for government officials or noblemen, not ordinary people. Stone ice storehouses were built with scientific consideration so that the ice blocks can be naturally preserved without other cooling technology. A hole was dug into the ground and walls were built with stone bricks. The floor was slightly inclined to drain water. The ceiling was made of stones stacked to create a dome. Also, there were several holes on the ceiling for ventilation.
    • 연혁
    • 구조
    • 특징

마을

번역 조언

  • 한번 다 읽어본다
  • 문화유산의 성격을 파악한다
  • 주요 인물, 사건, 용어 등 확인한다
  • 다른 비슷한 문화유산에서 나올 것 같은 표현을 확인한다
  • 사진을 참고한다 (지도, 위성 사진, 로드뷰 사진 등)
  • 여러 건물, 문화유산이 언급되면 사진, 지도 등으로 서로의 위치, 거리 파악한다
  • 참고 자료를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