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맹경(姜孟卿)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2월 22일 (금) 01:33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410년(태종10)~1461년(세조7) = 52세]. 조선 초기 세종(世宗)~세조(世祖) 때 활동한 문신. 세조의 책사(策士). 자는 자장(子章)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여말선초(麗末鮮初)의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 강회백(姜淮伯)의 손자이고, 세종의 동서 강석덕(姜碩德)의 조카이다.

세종~단종 시대 활동

1429년(세종11) 나이 20세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정원(承政院)주서(注書)로 임명되었다가 사헌부(司憲府)감찰(監察)로 옮겼으며, 이조(吏曹)좌랑(佐郞)에 제수되었다. 뒤이어 의정부(議政府)의 검상(檢詳)·사인(舍人)을 거쳐, 1450년(세종32) 사헌부집의(執義)로 승진하여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는데, 부임하는 곳마다 명성과 실적이 모두 첫째로 꼽혔다. 전고(典故)에 정통하고 사려가 깊어서 항상 조정의 기무(機務)를 도맡아 처리하니, 사람들은 그가 정승의 자리에 오를 것으로 기대하였다.

문종(文宗)·단종(端宗) 교체기에 도승지(都承旨)를 지냈는데, 숙부 강석덕의 부탁을 받고, 임금에게 아뢰어 관노비였던 박거소(朴去疎: 심온의 사위)의 종들을 빼돌렸다가 말썽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1453년 문종이 승하한 다음 황보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 등 조정의 대신들과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 사이에 치열한 권력 다툼이 벌어질 때, 수양대군의 오른팔 역할을 하면서 조정의 중요한 기밀을 누설하다가, 김종서 일파에 의하여 도승지에서 밀려나 이조참판, 예문관(藝文館)제학(提學)이 되었다. 1453년(단종1)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병을 핑계하여 사직하고, 권람(權擥), 한명회(韓明澮) 등과 함께 거사할 계획을 수립하면서 수양대군과 밀서(密書)를 주고받았으나, 이것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계유정난 이후 1454년(단종2) 한성부판사(漢城府判事)를 거쳐, 의정부(議政府)우참찬(右參贊)·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하고, 이듬해 병조판서가 되어 군권을 장악하여 반대파를 막았다.

세조 시대 활동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강맹경은 좌익공신(佐翼功臣) 일등에 책훈되었다. 이어 여러 번 승진하여 1456년(세조2) 의정부의 좌찬성(左贊成)을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오르고, 하등극사(賀登極使)가 되어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1458년(세조4) 좌의정(左議政)이 되었다가, 1459년(세조5) 나이 50세에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가 되었고,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러나 수중다리[水腫]를 앓다가 1460년(세조6) 갑자기 악화되어 정침(正寢)에서 죽으니, 향년 52세였다. 강맹경의 병이 악화되었을 때 세조가 내의(內醫) 전순의(全順義)를 보내어 치료하게 하고 매일 병의 증세를 보고 받으며 몸소 약방문을 처방하는 등 병을 고치기 위해 무척 애를 썼다.

성품과 개혁 정책

세조는 새로운 개혁 정치를 펴는 과정에서 강맹경이 건의한 정책을 많이 택하였다고 한다. 강맹경은 의정부에 있던 4년 동안은 대신(大臣)의 체통을 지켰고, 일을 차분하고 엄격하게 추진하였다. 타고난 자질이 영민하고 예절과 법도에 밝아서 나라의 빈례(賓禮)나 제례(祭禮) 등 큰 의식이 있을 때마다 세조가 반드시 그에게 찬빈(贊儐)을 맡겼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격식에 어긋나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묘소와 비문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묘소는 경기도 광주 양근(楊根)의 북쪽 5리 지점에 있고, 신숙주(申叔舟)가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문종실록(文宗實錄)』
  • 『단종실록(端宗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보감(國朝寶鑑)』
  • 『국조방목(國朝榜目)』
  • 『사마방목(司馬榜目)』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임하필기(林下筆記)』
  • 『연경재집(硏經齋集)』
  • 『필원잡기(筆苑雜記)』
  • 『해동잡록(海東雜錄)』
  • 『사가집(四佳集)』
  • 『동인시화(東人詩話)』